목차
1. 합리/합법적 모델
1)관료제 이론
2)과학적 관리론
3)행정적 관리론
2. 인간관계론
3. 개연성 이론
4. 정치경제 이론
5. 제도 이론
6. 최근의 조직 관리 이론
1)전문적 관료조직
2)품질 경영과 QC, Z 이론
3)TQM(Total Quality Management, 총괄품질관리)
4)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비즈니스과정재설계)
5)학습 조직(learning organization)
6)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
7. 사회복지조직의 이해
1)관료제 이론
2)과학적 관리론
3)행정적 관리론
2. 인간관계론
3. 개연성 이론
4. 정치경제 이론
5. 제도 이론
6. 최근의 조직 관리 이론
1)전문적 관료조직
2)품질 경영과 QC, Z 이론
3)TQM(Total Quality Management, 총괄품질관리)
4)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비즈니스과정재설계)
5)학습 조직(learning organization)
6)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
7. 사회복지조직의 이해
본문내용
히 돈을 쓰는 것보다 칭찬받아야 한다.
③촉매주의: 노를 젓기보다는 조정에 초점을 두고, 정부는 무엇이 이루어져야 할지를 결정하지만, 스스로 하지는 않아야 한다.
④지역사회-소유: 지역사회가 소유하면서 참여를 통해 임파워된 프로그램들이 작동이 잘된다. 관료제에 의해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들은 그렇지 못하다
⑤경쟁주의: 서비스 공급에서 독점보다는 경쟁을 선호한다. 그것이 보다 높은 질의 서비스를 보다 혁신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도출해내기 때문
⑥사명 지향: 정부는 규정에 의존하기보다는 사명과 비전에 의해 살아 움직이는 것이 되어야 한다.
⑦결과 지향: 자금 지원의 방식은 투입이 아니라 성과 측면에 근거해야 한다.
⑧고객 지향: 정부는 관료제의 욕구가 아닌 고객과 시민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⑨예방화: 문제의 치유보다는 예방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⑩분권화: 위계보다는 참여와 팀워크를 더 강조되어야 한다.
신공공관리론 접근에 입각한 행정 방식은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정부 조직 단위와 민간 조직들과의 관계를 설정함
⑵신공공서비스 접근(new public service)
신공공서비스 관점은 신공공관리론에 반대되는 입장
-공공 행정의 목적은 정부 조직의 효율적 운영뿐만 아니라, 공평성과 책임성, 시민적 권리 등과 같은 공적 가치들을 보존하는 것에도 있음
-신공공서비스 접근에서 정부의 사명과 집합적 공공의 이익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초점을 가짐
-사회자본이나 시민 임파워먼트 개념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냄
사회 자본(social capital) 이론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관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신뢰(trust)와 규범(norms), 네트워크(network) 등을 중요하게 여긴다.
휴먼서비스를 사회복지적 가치 목적에 비추어서 보자면, 휴먼서비스를 실행하는 사회복지 행정은 신공공 관리론보다 신공공서비스 접근에 보다 부합함
7. 사회복지조직의 이해
특정 조직의 특수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어떤 조직 이론이 유용할지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필요하다.
사회복지조직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개방체계적 관점에서 조직을 이해하는 관리 이론들, 특히 신제도 이론과 정치경제 이론의 결합이 유용하다는 평가가 있다.
사회복지행정은 조직과 조직 관리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요구
-조직현상이란 고착적이지 않으며 역동적이다.
-조직관리를 위한 지식 습득도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조직 과정이나 절차들의 반경에 머물러서는 안됨
③촉매주의: 노를 젓기보다는 조정에 초점을 두고, 정부는 무엇이 이루어져야 할지를 결정하지만, 스스로 하지는 않아야 한다.
④지역사회-소유: 지역사회가 소유하면서 참여를 통해 임파워된 프로그램들이 작동이 잘된다. 관료제에 의해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들은 그렇지 못하다
⑤경쟁주의: 서비스 공급에서 독점보다는 경쟁을 선호한다. 그것이 보다 높은 질의 서비스를 보다 혁신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도출해내기 때문
⑥사명 지향: 정부는 규정에 의존하기보다는 사명과 비전에 의해 살아 움직이는 것이 되어야 한다.
⑦결과 지향: 자금 지원의 방식은 투입이 아니라 성과 측면에 근거해야 한다.
⑧고객 지향: 정부는 관료제의 욕구가 아닌 고객과 시민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⑨예방화: 문제의 치유보다는 예방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⑩분권화: 위계보다는 참여와 팀워크를 더 강조되어야 한다.
신공공관리론 접근에 입각한 행정 방식은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정부 조직 단위와 민간 조직들과의 관계를 설정함
⑵신공공서비스 접근(new public service)
신공공서비스 관점은 신공공관리론에 반대되는 입장
-공공 행정의 목적은 정부 조직의 효율적 운영뿐만 아니라, 공평성과 책임성, 시민적 권리 등과 같은 공적 가치들을 보존하는 것에도 있음
-신공공서비스 접근에서 정부의 사명과 집합적 공공의 이익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초점을 가짐
-사회자본이나 시민 임파워먼트 개념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냄
사회 자본(social capital) 이론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관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신뢰(trust)와 규범(norms), 네트워크(network) 등을 중요하게 여긴다.
휴먼서비스를 사회복지적 가치 목적에 비추어서 보자면, 휴먼서비스를 실행하는 사회복지 행정은 신공공 관리론보다 신공공서비스 접근에 보다 부합함
7. 사회복지조직의 이해
특정 조직의 특수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어떤 조직 이론이 유용할지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필요하다.
사회복지조직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개방체계적 관점에서 조직을 이해하는 관리 이론들, 특히 신제도 이론과 정치경제 이론의 결합이 유용하다는 평가가 있다.
사회복지행정은 조직과 조직 관리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요구
-조직현상이란 고착적이지 않으며 역동적이다.
-조직관리를 위한 지식 습득도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조직 과정이나 절차들의 반경에 머물러서는 안됨
추천자료
[조직사회학] 관료제 이론, 과학적 관리론 요약 정리
사회복지조직의 수행력 평가
사회복지조직에 바람직한 리더십
사회복지조직에서 관료제와 관련된 논쟁과, 관료제를 사회복지조직에 적용할 때 나타날 수 있...
조직이론인 인간관계론이 현대사회에 주는 의미를 논리적으로 서술할 것(과학적관리론 대비)
경영이론의 발전 - 경영이론의 정의, 고전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행동과학이론, 조직행위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사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회복지조직의 구조를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총체적 품질관리(TQM : Total Quality Management)의 적용가능성
최근 장기요양서비스,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 등은 한국 사회복지조직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
사회복지행정의 특징과 사회복지조직의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복지...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행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관리, 사회복지프로그...
기업마케팅관리와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관리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비교해보고 학습자...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조직의 필요성과 원리, 기획과 의사결정의 관련성을 설명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