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근로자 복지(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역사, 직종, 임금, 승진, 휴가및보육, 성희롱, 근무여건)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 근로자 복지(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역사, 직종, 임금, 승진, 휴가및보육, 성희롱, 근무여건)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배경
2.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의 역사
3. 여성근로자의 근무 직종
4. 여성근로자의 임금
5. 여성근로자의 승진
6. 여성근로자의 퇴직
7. 휴가 및 보육
8. 여성근로자의 정신건강
9. 여성근로자에 대한 성희롱
10. 여성근로자 근무 여건의 예

본문내용

려나가기를 교육하는 것이다.
- 사업장은 아동이나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급여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EX) 휴가 제공, 가변근무제, 의뢰서비스, 교육, 부양비 환급 등,
많이 사용하는 방법 : 직장, 가족위원회 ( 노동조합 회원이나 근로자의 요구를 사정하고 이와 관련하여 해당 근로자에게 추가로 필요한 급여와 서비스를 추천, 이 위원회는 이와 관련하여 사업장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방법을 구상해보고 평가를 실시한다.
이 경우 복지사는 관련법을 잘 숙지하여 근로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3) 스트레스성 심장질환의 발생
- 주부와 비교해 볼 때, 직장 여성의 심장발생 빈도가 특별히 높지 않다.
- 직장 남성의 심장질환 발생률 보다 낮게 나왔다.
- 미혼 여성이 기혼 여성보다 심장 질환 발생률이 높게 나왔다.
- 직장여성은 자녀수가 많을수록 심장 질환 발생률이 높게 나왔다.
- 주부는 자녀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이 약간 감소하였다.
: 여성의 정신 건강과 관련한 체계적인 연구
( 헤인즈 페인리브 (1995: 85-87)에서 재인용
- 프레이밍햄에 사는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 프레이밍햄 심장연구 )
4) 실직
미국 남미계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
① 여성이 직장을 그만두면 가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므로 스트레스를 많이 겪는다.
- 가족이 예전에 당연하게 여겼던 것을 더 이상 제공할 수 없다.
- 직장을 그만둔 후 자녀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② 새로운 일자리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며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가진다.
∴ 직업은 여성에게 단지 임금을 받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 그러므로 실직은 여성에게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
9. 여성근로자에 대한 성희롱
1) 개념과 본질
① 성희롱의 개념
- 권력을 동등하게 가지지 않은 관계의 상황에서 개인이 원하지 않는 성적 요구를 강요하는 것을 말한다.
- 성에 대한 태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 권력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2) 성희롱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새로운 인식 및 그 여파
(1) 과거의 통념
① 성희롱에 대한 잘못된 인식
- 성희롱은 아주 소수에게만 피해를 준다.
- 여성은 성희롱을 요구한다.
- 성희롱에 대한 주장은 거짓인 경우가 많다.
∴ 이러한 사회적 통념 때문에 여성들이 성희롱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이 어렵다. 주장을 해도 무시되거나 믿어지지 않거나 비난되는 경우가 많다.
(2) 새로운 인식과 여파
- 미국 : 시민권법 상 성희롱 불법 차별을 규정 (1964년)
근로자는 자신이 심리적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고도 자신이 성희롱을 당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 우리나라 : 남녀고용평등법 상 사업주가 성희롱 예방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
성희롱을 한 사람에게는 인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었다. (1999년)
3) 현황과 여파
(1) 현황
- 성희롱은 모든 작업환경에서 발생한다.
- 현재 50% 정도가 성희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우리나라 여성근로자의 경우는 87%가 사업장에서 성희롱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 2000년에 36개의 사업장에서 363건의 성희롱 사건이 노동부에 정식으로 접수되었다.
∴ 우리나라 사업장에서의 성희롱 정도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2) 발생 직종에 따른 특징
- 여성이 많은 직종의 경우에 성적 요구를 따르지 않을 때에는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위협이 가해진다.
- 남성이 많이 일하는 직종의 여성근로자일 경우에는 성희롱을 더 많이 겪게 된다.
남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여성이 위협함에 따라 보복의 형태로 성희롱이 가해지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3) 여파
① 성희롱이 미치는 영향
- 성희롱은 여성이 자신을 근로자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특히 사회적 지지망이 없을 경우 여성의 고통은 심하다.
- 성희롱은 기업에게 피해를 입힌다.
② 사회복지사의 역할
- 성희롱을 방지하는 교육을 주관하고 실행한다.
-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를 상담하고 그 근로자에게 가장 적절한 대처 방안을 찾아준다.
EX) 수치심 극복, 대인관계 문제 조정
10. 여성근로자 근무 여건의 예
1) 생산직 근로자
- 여성은 생산직에 빠른 속도로 참여하고 있다.
① 생산직의 특징
- 생산직에 근무하는 여성은 반(半)숙련 기계작동자로서 고용된 경우가 많으며 남성근로자 보다 임금이 적다.
- 생산직 여성근로자가 일하는 직종에서는 성 분절 현상이 있다.
EX) 여성은 비(非)내구제 업종에 고용 , 주로 조립라인에 고용
(Andersen, 2000:125-127)
2) 서비스직 여성
- 서비스직은 여성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직종이다.
- 임금을 가장 적게 받는 층의 하나이다.
- 서비스직의 특성
① 성 분절이 높게 되어 있다.
EX) 주방근로자, 카운터 근로자는 여성이 75%
보수가 좋은 경찰, 소방관 등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는 남성이 많다.
② 이직율이 높고 파트 타임 고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③ 여성에게는 질이 떨어지는 근무형태일 수 있다.
④ 성에 대한 어떤 기대를 가지냐에 따라서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이 경험하는 바가
영향을 미친다. EX) 웨이트리스 - 젊고 섹시할 것이 기대된다.
【 참고 문헌 】
노병일. 현대산업복지론
최선화. 2005 여성복지론
여성복지론 서울: 대학출판사
박래영. 1997. 대만 싱가포르의 근로자 복지제도: 주택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심명. 2000. “육아휴직-우리의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월간 복지동향 9월: 34-36
통계청. 2000. “2000년 한국의 사회지표.”
http://www.nso.go.kr/report/-data/ssin2000...
통계청. 1999. “1998년 사회통계조사 주요결과(요약): 가족복지노동 부문.”
http"//www.nso.go.kr/report/data/ssss99.htm.
통계청. 1997. 한국의 사회지표 1997. 서울: 통계청.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0.29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