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과 음양오행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역과 음양오행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역(周易)
1) 주역이란?
2) 주역의 저자
3) 주역의 구성
4) 주역의 의의
2.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1) 추연(騶衍)
2) 음양(陰陽) 사상
3) 오행(五行) 사상
3. 주역과 음양오행론

본문내용

은 금, 신장은 수(이상은 오장), 동쪽은 목, 남쪽은 화, 중앙은 토, 서쪽은 금, 북쪽은 수(이상은 방위), 8은 목, 7은 화, 5는 토, 9는 금, 6은 수(이상은 숫자) 등이다.
이런 종류의 계열화를 어떻게든 억지로 추진하여 세계의 구석구석까지 침투시킨 결과, 세계에 고립된 현상은 무엇 하나 존재하지 않게 되었으며, 오행설은 순환의 원리에 의해 세계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체계로 성립되었다. 그 실제적인 지배력은 크게는 정치 제도에서 작게는 일상생활의 예의범절이나 습관에 이르기까지 넓고도 깊이 퍼져 나갔다.
오행이 순환하는 순서는 성립 초기에는 상승설뿐이었으나, 전한(前漢) 말경에 유향(劉向, BC 1세기 AD1 세기 전후)이 “어머니가 아들에게 전한다”는 관점에서 순차적으로 전자가 후자를 낳는다는 이법을 제창하여 처음으로 상생설(相生說)이 성립되었다.
음양과 오행 사상은 세계를 운동 변화하는 과정으로 본다는 점에서 커다란 특징이 있다. 먼저, 경험적으로 알려진 물질에서 법칙을 인식하고 그것을 확대해 가는 방법을 취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의가 인정된다.
3. 주역과 음양오행론
대부분은 중국철학의 출발을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라고 여기는데 이견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살펴본 대로 철학적 사유는 분명 그 이전부터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춘추전국 시대 이전의 문헌기록들의 사실성과 함께 저자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 연구가 미흡할 뿐이라고 생각된다. 공자의 경우도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술이부작(述而不作)이라고 표명했는데, 여기서도 이전 시기 사람들의 철학적 사유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음양 사상이나 오행 사상의 경우 서양의 사고방식과 좋은 대조를 나타내고 있다. 서양의 경우 단일한 원리로 세계를 이해하려는 반면, 음양오행론의 경우 세계를 이해함에 있어 항상 전체적이며 유기적인 관점 속에서 변화를 수용하며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오이환, 동아시아의 사상, 서울, 예문서원, 2003
시게자와 도시로, 역사 속에 살아 있는 중국 사상, 이혜경 역, 서울, 예문서원, 2003
김충렬, 김충렬 교수의 중국철학사, 서울, 예문서원, 1994
강길중, 박종현, 정재훈 공저, 中國 歷史의 理解, 진주, 경상대학교출판부, 2003
서대원, 주역강의, 서울, 을유문화사, 2008
박영식, 서양철학사의 이해, 서울, 철학과현실, 2004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1.09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