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짓기(글쓰기, 작문) 개념과 원칙,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 단계,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 원리와 실제,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 유의점,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 방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짓기(글쓰기, 작문) 개념과 원칙,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 단계,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 원리와 실제,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 유의점,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글짓기(글쓰기, 작문)의 개념

Ⅲ. 글짓기(글쓰기, 작문)의 원칙
1. 도입(introduction)대신 개요(overview)를 사용하라
2. Make the dialogue sound real, not stilted(대화문은 과장되지 않은, 실제와 같이 구성하라)
3. 흥미를 자아내는 사례연구와 역할연기를 만들어라
4. 명확한 단어와 어구를 사용해라
5. 강조를 위해 의견의 위치를 정하라
6. 연결 관계를 보여줘라
7. 문장 유형과 길이를 바꿔라
8. 완곡하고 번거로운 표현은 피하라
9. 문법에 주목하라
10. 호감이 가는 지면배정(레이아웃)을 하라

Ⅳ.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의 단계
1. 1단계: 브레인스토밍/ 개요 작성(Brainstorming and prewriting)
2. 2단계: 초고작성하기(drafting)
1) 형식(Format)
2) 명칭달기(label)
3) 강조(emphasis)
4) Prewriting or not
5) Writing Forms
6) 독자(Audiences)
7) 목적
8) 글의 시작
9) 초안 복제 금지(No copying drafts)
3. 3단계: 글다듬기(Crafting:스스로 교열과 교정을 하는 단계)
4. 4단계: 상호 평가(Peer response)
5. 5단계: 교열하기(Revising)
1) 첨가(addition)
2) 대체하기(substation)
3) 삭제(deletion)
4) 재정렬(rearrange)
6. 6단계: 교정하기(editing)
1) 교정보기
2) 오류 고치기(correcting errors)
7. 7단계: 출판하기(Publishing)
8. 8단계: 교사가 점검하기(Teacher Check)

Ⅴ.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의 원리와 실제
1. 짓기의 원리
2. 짓기의 실제
3. 각 학년에 맞는 글짓기 원리와 실제
1) 1학년의 경우
2) 2학년의 경우
3) 3학년의 경우
4) 4학년의 경우
5) 5학년의 경우
6) 6학년의 경우

Ⅵ.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의 유의점
1. 마음가짐
2. 교실환경

Ⅶ.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의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질적으로 통합되어야 하는 것이다.
대개 짓기 교육의 타성으로는 지도 없이 활동만 강조되는 예가 허다하다. 이는 ‘어떤 것에 대해 지어보라’는 지시보다는 ‘어떻게 지어야 하는지’의 지도가 있어야 한다. 아울러 실제 글을 지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도 해 주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이런 점을 전제로 하고 짓기의 원리와 실제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짓기의 원리
(1) 글짓기의 기본 원리
(2) 글짓기에 있어서 내용 선정의 원리
(3) 글의 내용 조직의 원리
(4) 표현과 전달의 원리
2. 짓기의 실제
(1) 정보 전달을 위한 글짓기
(2) 설득을 위한 글짓기
(3) 친교와 글로써 표현을 위한 글짓기
(4) 기초적인 글짓기의 태도와 습관
3. 각 학년에 맞는 글짓기 원리와 실제
현행 교육과정에서 글짓기의 원리와 실제는 대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에 맞게 지도함이 좋다.
1) 1학년의 경우
(가) 그림을 보고, 그 내용을 바른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나) 주어진 낱말을 활용하여 짧은 글을 짓게 한다.
(다) 자기가 쓴 문장에서 틀린 글자나 부호를 찾아 바르게 고쳐 쓰게 한다.
2) 2학년의 경우
(가) 자기가 한 말을 글자로 옮겨 문장이 되게 지도한다.
(나) 읽거나 들은 내용을 간단히 글로 표현케 한다.
3) 3학년의 경우
(가) 겪은 일 중에서 주제를 나타내기에 알맞은 글감을 찾아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나) 글을 읽고 주요 내용을 간추려 쓸 수 있게 한다.
(다) 일을 차례가 드러나게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라) 사물의 특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낱말을 사용하여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4) 4학년의 경우
(가) 겪은 일 중에서 주제를 나타내기에 알맞은 글감을 찾고, 제목을 정하여 글을 지울 수 있게 한다.
(나) 긴 이야기를 듣거나 일고, 중요한 내용을 가려 뽑아 간단히 쓸 수 있게 한다.
(다) 이어진 그림을 보고, 시간과 공간의 바뀜이 잘 드러나게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지울 수 있게 한다.
(라) 둘 이상의 대상을 비교해 보고, 차이점과 공통점이 드러나게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마) 자기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소개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바) 자기 작품과 남의 작품을 일고, 틀린 곳을 고쳐 쓸 수 있게 한다.
5) 5학년의 경우
(가) 글짓기의 과정을 알 수 있게 지도한다.
(나) 주장하는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다) 보고서나 설명문을 지을 수 있게 지도한다.
(라) 책을 읽거나 남의 이야기를 듣고, 감상문을 지을 수 있게 지도한다.
☞ 자기가 지은 글을 모으는 습관을 들이게 한다.
6) 6학년의 경우
(가) 독자의 대상에 따라 글의 내용과 표현이 다르게 지을 수 있게 한다.
(나)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감상문을 지을 수 있게 한다.
(다) 남을 설득할 수 있는 글을 짓게 한다.
(라) 사건이나 사물을 이루는 요소들이 잘 드러나게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지을 수 있게 지도한다.
(마) 연결된 그림이나 만화를 보고, 완결된 이야기로 꾸며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바) 속담, 격언, 남의 말 등을 인용하여 자기주장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논설문을 지을 수 있게 한다.
(사) 비유법을 사용하여 자기 생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아) 문장의 순서, 짜임 등에 유의하여 글을 지을 수 있게 한다.
Ⅵ.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의 유의점
1. 마음가짐
- 아동이 글짓기 능력 발단단계를 존중해야 한다.
- 일반 작가들이 사용하는 글쓰기 단계를 따라 해 보도록 한다.
- 아동이 자기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도록 한다.
- 아동이 직접 글짓기 단계와 써 보고 싶은 문학의 장르를 선택하도록 한다.
- 선생님에게 의지하기 보다는 스스로 글을 쓸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아동이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되도록 많이 주어야 한다.
- 아동이 글짓기를 즐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글을 다듬을 때, 원칙을 지키면서도 그 속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법을 지도한다.
2. 교실환경
가. 글짓기 공책
나. 글짓기포트폴리오와 그에 필요한 항목들
다. 교사가 아동의 최종작품을 검사하는 장소
라. 선반에 아동 스스로 다양한 소재와 재재를 찾아 볼 수 있는 재료들을 마련해 둔다.
마. 새로운 글짓기 재료를 만든다.(예를 들어, 주인공들의 이름을 모아놓은 작은 책, 마그네틱 시 모음집)
바. 좋은 글짓기 작품을 아동에게 본보기로 제시
사. 글짓기의 단계를 가르치되, 학기 초에는 아동이 글짓기의 소재를 고를 수 있도록 의견을 내는 활동과 개요 만들기를 해 본다.
Ⅶ. 글짓기지도(글쓰기지도, 작문지도)의 방법
일반적 지도 방법에는 부분적 작품 기능을 훈련시킬 때 문자 대신 말로 나타나게 하는 구두 작문,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분석시키고 그와 같은 방식으로 쓰게 하는 모방에 의한 지도 방법, 흥미를 집중시킬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약화에 의한 지도 방법, 글의 부분을 이루는 요소들을 독립적, 집중적으로 다루는 부분적 접근 방법과 부분적 접근 방법을 통해 한편의 글을 완성시키는 전체적 접근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쓰기 과정에 따른 지도 방법은 주제 정하기 → 글감 찾기 → 개요 표 작성하기 → 표현하기 → 고쳐 쓰기 순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면 쓰기 과정은 기술 이전의 단계인 구상과 기술 단계로 단순화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홍, 짓기 능력 향상을 위한 실험적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사회과학과 글쓰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 박종대, 창의적인 쓰기 수업모형이 창의성 및 글짓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 이용숙 외, 작문학습에서의 동료평가활동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정우상·최현섭, 글짓기 지도의 실제, 서울 : 배영사, 1977
◈ 장병학, 학습 방법의 학습을 통한 글짓기 기능 신장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