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분들이다. 아이들은 주말에 가끔 보일 뿐이다. 이러다보니 동네에는 친구가 없다. 학교 같은 반에 가야 친구를 만날 수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사회생활을 덜 하게 되면 여기서 도태되어지는 힘 없는 어린이들은 왕따가 되는 것이다. 왕따가 되면 죽음으로까지 이어지게된다. 그래서 한국의 자살율 증가로 이어진다. 마치 나비효과와 같은 현상이다. The Dead의 사회상은 지금 우리의 사회상을 비추고 있다. Gabriel은 우리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 꼭 읽어봐야 할 책인 것 같다. 이 책을 읽고나서 우리의 모습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되었다. 조금만 먼저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고 생각하면 그야말로 유토피아가 실현되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 주변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을 읽어보라고 권해야겠다.
추천자료
[설득커뮤니케이션] 조건화 학습이론에 관한 연구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American Dream.
파킨슨 병에 대한 조사 (약리학적인 내용위주로)
Germain Grisez의 자연법사상연구
주홍글씨의 작품분석
[마케팅 전략] 브랜드 관리
[프리미엄 베스트 자료]현재의 석유위기와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심층...
언론의 신뢰성 조사
에너지 물류에 대한 국가간의 정치•경제적 대립 : 카스피해 에너지를 기준으로
니케아종교회의와 아타나시우스
야고보서의 신학 (야고보서의 “온전한”(tevleio") 연구)
관료제 문제점, 구체적 해결 방안(한국 사례, 정치, 부정부패)
에드워드 리 손다이크 Edward Lee Thorndike (1874~194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