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한일을 대표하는 정신 붓과 칼
- 선비란 무엇인가?
- 사무라이란 무엇인가?
3. 선비와 사무라이의 탄생
- 선비의 탄생
- 사무라이의 탄생
- 선비는 붓으로 싸우고, 사무라이는 칼로 싸운다
- 사무라이의 고유신앙
- 선비와 사무라이의 교육
- 선비와 사무라이의 인생목표
4.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 조선의 성리학이 일본 학풍의 원류가 되다
- 일본의 성리학, 그리고 후지와라 세이카
-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5. 나가며
6. 부록
2. 한일을 대표하는 정신 붓과 칼
- 선비란 무엇인가?
- 사무라이란 무엇인가?
3. 선비와 사무라이의 탄생
- 선비의 탄생
- 사무라이의 탄생
- 선비는 붓으로 싸우고, 사무라이는 칼로 싸운다
- 사무라이의 고유신앙
- 선비와 사무라이의 교육
- 선비와 사무라이의 인생목표
4.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 조선의 성리학이 일본 학풍의 원류가 되다
- 일본의 성리학, 그리고 후지와라 세이카
-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5. 나가며
6. 부록
본문내용
하고 그 내용을 조선 침략론의 근거로 제시하였다. 그들 중 노리나가라는 학자는 소위 진구황후의 삼한 토벌을 역사적 사실로 보고 한반도를 역사적으로 일본의 속국이라고 보는 시각을 부각시켰다. 여기서 더 앞서나가 신 일본국의 세계 제패라는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구축한 사람이 사토 노부히로였다. 그는 일본이 세계에서 제일 먼저 생긴 나라로서, ‘세계만국의 근본’이라고 보고, 전 세계를 일본의 군현으로 만들어 만국의 군장들을 일본 천황의 신복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막부 말의 일본 사상가나 지식인은 조선을 일본의 해외 웅비, 대륙침략의 발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사실로서 근거가 없는 <고사기>와 <일본서기> 등의 신화를 사실로 보고 구성되었다는 데 특징이 있다.
5. 나가며
우리나라에 있어 일본은, 상투적인 표현을 빌리자면 ‘가까우면서도 먼 나라’이다.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침략으로 인한 아픔과 슬픔은 과거 한반도의 자취를 더듬을 때마다 되새김질 하여 되돌아왔다. 이로 인해 일본은 마음만 먹으면 비행기를 타고 1시간 반만에 갈 수 있는 아주 가까운 나라이지만, 일본에 대해 물을 대마다 왜놈, 일본 원숭이와 같은 비하적 표현들을 심심찮게 들을 수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물론 최근은 일본의 문화를 받아들여 일본에 대한 감정이 호의적인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 속 일본이 이질적인 나라임에는 분명하다.
분명히 조선의 선비와 일본의 사무라이는 매우 상반된 존재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의 속을 한 껍질, 한 껍질 벗겨 나가듯이 살펴보았고, 우리나라와 일본의 근간을 이루는 정신은 물론이고 현재 우리나라와 일본의 정신에 대해서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비록 책 한권을 통해 얻은 지식이지만, 양국에 대한 이해관계와 현재의 모습에 대해서 보다 제대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6. 부록
조선 통신사 공식 홈페이지: http://www.tongsinsa.com/
올해 5월 4일, 부산 중구 용두산 공원과 광복로 일대에서는 한ㆍ일 문화교류사업을 위한 <조선 통신사> 축제가 열렸다. 조선 통신사의 행렬을 재현하거나, 양국의 전통 복장을 패션쇼 형식으로 보여주는 등의 행사를 통해 한ㆍ일 양국의 문화교류와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행사는 2002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지역은 부산에 한정되지 않는다)
5. 나가며
우리나라에 있어 일본은, 상투적인 표현을 빌리자면 ‘가까우면서도 먼 나라’이다.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침략으로 인한 아픔과 슬픔은 과거 한반도의 자취를 더듬을 때마다 되새김질 하여 되돌아왔다. 이로 인해 일본은 마음만 먹으면 비행기를 타고 1시간 반만에 갈 수 있는 아주 가까운 나라이지만, 일본에 대해 물을 대마다 왜놈, 일본 원숭이와 같은 비하적 표현들을 심심찮게 들을 수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물론 최근은 일본의 문화를 받아들여 일본에 대한 감정이 호의적인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 속 일본이 이질적인 나라임에는 분명하다.
분명히 조선의 선비와 일본의 사무라이는 매우 상반된 존재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의 속을 한 껍질, 한 껍질 벗겨 나가듯이 살펴보았고, 우리나라와 일본의 근간을 이루는 정신은 물론이고 현재 우리나라와 일본의 정신에 대해서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비록 책 한권을 통해 얻은 지식이지만, 양국에 대한 이해관계와 현재의 모습에 대해서 보다 제대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6. 부록
조선 통신사 공식 홈페이지: http://www.tongsinsa.com/
올해 5월 4일, 부산 중구 용두산 공원과 광복로 일대에서는 한ㆍ일 문화교류사업을 위한 <조선 통신사> 축제가 열렸다. 조선 통신사의 행렬을 재현하거나, 양국의 전통 복장을 패션쇼 형식으로 보여주는 등의 행사를 통해 한ㆍ일 양국의 문화교류와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행사는 2002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지역은 부산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천자료
어부사시사의 시간성에 대한 연구 : 윤선도
유가와 묵가
방송통신대학 1학기 국어 과목 출석수업대체시험 Text강좌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
정사 삼국지속 종교
시대별 한국 및 서양교육의 특성 비교분석
[동북공정]동북공정의 배경과 추진과정
위진남북조 시대의 분열과 통일
[조지훈의 시 봉황수][조지훈의 시 낙화][조지훈의 시 고풍의상][조지훈의 시 고사][조지훈의...
전쟁의 현대적 의미와 전쟁 방지방안
문학 속에서 찾아보는 조선시대 신분제
채동번의 중화민국역사소설 민국통속연의 상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