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사회를 벗어나 학벌 사회로 진입하는 한국사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실태

Ⅱ. 문제제기

Ⅲ. 문헌연구

Ⅳ. 현장연구

Ⅴ. 결론

본문내용

주의는 공정사회를 무너뜨리는 암적인 요소다. 학벌과 간판이 우선시되는 사회에서 능력은 뒷전으로 밀릴 수 밖에 없다. 대학을 못 간 사람은 대학을 못가서, 명문대를 못 간 사람은 명문대를 못 가서, 명문대지만 서울대가 아닌 사람은 서울대를 못가서, 서울대지만 법대를 못간 사람은 법대를 못가서 컴플렉스를 가진다. 한국 사회 전체로 볼때 자식의 명문대 입학을 원하는 학부모 중 명문대 출신 비율이 적을 것이다. 객관적인 실력이 있어서는 부족함이 없지만, 단지 '학벌'때문에 비틀어진 자신의 인생을 자식에게는 물려주기 싫은 마음이 있는 것이다. 학벌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남아있으며, 이에 따른 악영향이 한국사회에는 너무도 많다.
Ⅴ. 결론
이제까지 학벌이 한국 사회에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증가한 대학교의 수와 그에 따른 학력 인플레는 학벌주의를 정착시켰다. 대학졸업이 지닌 의미를 이제는 학벌이 대신하고 있다. 서울대와 고연대를 비롯한 명문대를 위시로 대학졸업장은 개인의 능력을 나타내는 합리적 기제이다. 하지만 여러 분야를 통틀어 명문대학 출신이 독점한 현 상황은 학벌의 이익집단화 현상을 우려하게 만든다. 특정 대학 출신을 선호하는 사상이 아직까지 한국사회에 남아있으며, 이는 특정 대학 출신들이 자기들만의 이권을 확보하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나 우려되는 일은 학벌이 대물림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대 신입생의 경우 부모님이 자영업자인 학생 비율이 줄어들고, 고소득전문직 부모님을 둔 신입생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한국사회에 만연한 학벌주의를 없애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선 의식구조 개혁을 위해 학벌주의가 만연한 현실을 직시하고 그것을 없애기 위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취직시 학벌을 중시하는 기업들에 제재를 가하는 제도적인 보완책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득권층의 양보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학연을 위시로 이루어지는 선후배의 낙하산인사와 끌어주기를 없애려는 기득권층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고등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대학이 아닌 다른 방면으로도 그 사람의 재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교육제도의 개혁이 필요하다. 또 대학별 자유경쟁체제를 통한 수능 점수 줄 세우기 방식도 사라져야 한다. 대학이 자율적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대학이 자율적으로 학생을 선발함으로써, 수능에만 목메는 현실이 바뀔 것이다.

키워드

한국,   한국사회,   학벌,   원인,   배경,   결론,   대안,   대책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01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