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급성 림프성 백혈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사례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문헌고찰.

2.연구기간 및 방법.

3.간호과정.

4.참고문헌.

본문내용

장 질환과의 관계가 커서 신장기능
지표가 됨
없음
Na
135~145(mEq/L)
136
혈액농축
신 염
유문 부 협착
점액수종.
Addison's disease
K
3.5~5.5(mEq/L)
3.9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Addison's disease
당뇨성 산증
설사
구토
Cl
98~110(mEq/L)
102
신염
요관협착
빈혈
에테르 마취
당뇨병
설사
구토
폐렴
중금속중독
쿠싱병
화상
장협착
열성상태
<약물 요법>
-대표적인 약물-
DVP(Daunorubicin, Vincristin, prednisolone)을 1주기로 하여 사용한다.
1.corticosteroid(prednisolone, dexamethasone)-항 스테로이드.
2.L-asparaginase-항암제
3.Daunorubicin-예후가 좋지않은 ALL 환자에게 사용하는 표준 기준 치료약.
4.MTX(Intrathecal)
-처방된 약물-
약 물
용법
효능
부작용
금기증
tramadol HCL
(ing)
1회50~100mg
통증감소, 진통제.
발작. 과민증. 심계항진. 냉한,혈압저하
안면창백. 부정맥.
졸음.두통. 우울
배뇨장애.
스티븐슨-존슨
증후군.
급성 알콜리즘 환자
중추신경계 작용-알콜중독환자.
심한 호흡억제 사상태 환자.
두부손상 환자
임부, 수유무
humalog(ing)
insulin lispro
1000U/10ml
초기량:4~20U/day
식전 15분내
피하.
유지량:4~100U
피하주사
당뇨병 치료약.
다른 인슐린 제제
보다 빠른 치료
작용
저혈당. 탈진, 공복감. 심계항진, 창백, 발한, 두통, 불안.
shock, 두드러기
발적 및 종창
과민증 환자
zanadipin
(칼슘 채널
길항제)
1일 1회 식사 최소 15분전 10mg
최대 20mg 사용.
본태성 고혈압
hot flash, 말초부종.
빈맥, 저혈압, 흉통
협심증, 무력증,
피로, 기면,
소화불량.
오심, 구토
상 복부 통증.
치은비후
발진, 근육통
다른 리히드로피리딘계
약물 또는 이약에
과민증이 병력이 있는 환자
임신부, 수유 부
좌심실 유출로 폐색전
환자.
치료되지 않은 울혈성
심부전.
apovel
1일 1회 150mg식사
상관없이 복용.
본태성 고혈압
상기도 감염
부비동이상,
인플렌자, 인두염.
비염, 근골격통.
현기증
임부, 수유부, 과민증 환자
medilac-Ds enteric
1회125~250mg
유산균제제로 장내균을 정상적으로 장을 튼튼하게 해준다. 장내 균총이상에 의한 여러증상개성-정장, 변비
묽은변, 복부팽만감.
장내이상발효
없음.
없음
zyloric
통풍:1일 100~200mg
과뇨산 혈증:
1일 100~200mg
요산 신장병증:
1일 600~800mg을 2~3일간 복용.
통풍 치료제
고요산 치료제-요산 생성 억제.
발진, 발열, 구역, 빈맥, 무과립구증.골수 억제 설사, 간헐적 복통. 식욕부진
백내장
소아, 임부, 수유뷰,
특발성 색소증
duphalac
처음3일:하루에 20~45ml
그후 16~24ml 복용
변비 완하제.
아침식전에 복용.
간성 혼수 예방
복부팽만, 트림,
경련성 복부 불쾌감.
오심, 구토, 설사
저 갈락토스,
식이요법 환자.
tenormin
성인:1일1회 50mg.
1~2주 내에 효과 없으면 1회 100mg
증량 투여.
혈압 강하제
협심증 치료약
발진, 가려움증.
시각장애. 안구건조
서맥, 심부전,
심계항진.
AST/ALT높은 환자.
혈소판 감소 증.
발기부전 .자반 증
중증 기관지 천식 환자.
폐질환 환자.
당뇨병성 케톤산증.
서맥
<기타 치료법>
두개 방사선 치료.
척수 강 내 methotrexate(제암제, 백혈병 치료제)
4)간호사정.
간호진단1:백혈구 감소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 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s>
:"며칠째 열이 계속
나고 피로해요.
(5월 1일)
o>
혈액 검사 실시.
(5월 1일)
WBC:0.41(×10³/㎕)
monocyte(0.1%)
fever:37.8
ANC 415.8 로 check
감염으로 부터 예방하여 백혈구 수치를 높이도록 한다.
1.혈구 수 등을 검사한다.
2.역 격리를 시행한다.
-환자를 볼 때 반드시 손 소독을 하고 마스크와 가운을 착용한다.
3.백혈구 저하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대해 설명한 후 이해정도를 확인한다.
4.개인위생의 청결 습관을 강화시킨다.
5.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6..V/S 체크한다.
7..장기간 입원으로 인한피부감염도 사정한다.
8..처방에 따른 항생제를투여한다.
*2~7번계획 한것을
수행함.
1.검사를 통해 백혈구 수치를 알수 있다.
2.교차감염이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항상 감염에 대해 조심한다.
3.증상에 대해 알아 두어 환자의 상태에
대해 대처한다
4.개인위생은 감염으로 부터 환자를 보호한다.
6.V/S은 환자의 기본적인 상태를 말해준다.
7.오랜 침상생활로 인해 욕창과 같은 피부감염이 나타날
수 있다.
5월 3일)
감염의 증상은 여전히있다.
fever:36.9(5월 2일)
백혈구 수치:1.00
(×10³/㎕)로 여전히
낮게 측정됨.
ANC336 으로 check.
*간호진단2.: 출혈과 관련된 신체적 위험성.
간호 사정
간호 목표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5월 3일. 13시)
S> 피가 한번 나면
멈추질 않아요
O>
혈액 검사.
RBC2.08(×10^6/ ㎕)
PLT41(×10³/㎕)
다량의 출혈 증상이 없도록 한다.
1.출혈여부를 확인한다.
2.수혈이 필요하다면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3.부드러운 칫솔과 전기면도기 사용권장,
과도한 기침과 코풀기, 재채기를 금한다.
4.코를 후비지 않도록 한다.
5.잇몸 출혈이나 불편감없는지 사정한다.
*1.3.4.5. 계획한것을
수행함.
2.수혈을 할 경우
알레르기반응,열성반응,폐부종, 철분과다,용혈성 수혈등의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3.4.과도한 기침,재채기,코풀기 등은 출혈부위를 더욱 자극 시켜 출혈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출혈현상 없다
(5월 3일. 18시)
4.참고문헌
성인 간호학<현문사> 진단 검사 가이드<정담 미디어>
경희대 동서신의학 병원-NEOMED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2.01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3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