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식품의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효식품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된장
2. 고추장
3. 식추
4. 청국장
5. 간장
6. 포도주
7. 게장
8. 단무지
9. 막걸리

본문내용

무침
▲재료=꽃게 손질한 실량(500g), 풋고추 2개, 홍고추 1개, 대파 1뿌리, 양파 1/2개 (100g), 참기름 2큰술, 깨소금 1큰술
▲양념장 재료=간장 4큰술, 청주 3큰술, 올리고당 3큰술, 조선간장 1큰술, 다시마 우린 물 1/2컵, 생강즙 1작은술, 설탕·굵은 고추가루·참기름 2큰술씩, 고운 고춧가루 5큰술, 다진마늘 2큰술
▲ 만드는 법=①꽃게는 손질한 후 몸통만 4등분 한다. ②냄비에 간장, 청주, 올리고당, 조선간장, 다시마 우린 물, 생강즙, 설탕을 넣고 1/2로 조린다. ③조린 국물을 식혀 고춧가루와 참기름을 넣어 양념을 만든다. ④손질한 꽃게에 양념과 어슷 썬 고추, 대파, 다진마늘을 넣고 살살 무쳐낸다. ⑤하루 정도 숙성시키면 더 맛있다.
8.단무지
<단무지 만드는 법>
재료
맵지않은 무(왜무) 1개, 사과쥬스(농축된 냉동 사과 쥬스) 2C, 소금, 물
농축된냉동 파인애플 쥬스 2C, 매운 통고추, 마늘, 생강, 치자가루 조금
만드는법
1) 무는 딱딱하고 맵지 않은 것으로 골라 2센치미터 두께로 잘라 소금에 간을 해서 1-2시간 절인다.
2) 마늘과 생강을 곱게 간다.
3) 모든 재료를 무 절인 물에 섞어서 무가 국물에 잠기도록 부어1-2일 두었다가 먹는다. ( 김밥용 무로 사용하면 좋음 )
4) 무를 크게 썰어 절일 경우엔 절이는시간이 오래 걸리고 3-4일 후에야 간이 배어 든다.
5) 색깔을 곱게 사용하기 원할 경우에는 치자가루를 조금 국물에타서 부어 놓는다.
9.막걸리
막걸리 만드는 법
쌀겨로도 막걸리 가능합니다.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책을 보면 백여가지는 되는 것 같습니다.
거의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른 것을 보면 상당한 융통성이 있는 것 같아요.
첫째,
쌀은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오래 씻으세요.
쌀의 전분만 필요할 뿐, 쌀 표면의 영양분은 잡맛을 낸다나요.
항아리도 필히 소독해 주세요.
(끓는 물, 또는 에틸알코올로 )
둘째,
온도는 25도~28도 정도로 유지해 주시고요. 30도가 넘으면
산패할 우려가 있답니다.
셋째,
물과 고두밥의 비율은 쌀 1kg당 1.3~1.6ℓ(1.6ℓ면 알콜도수 16도, 1.5ℓ면 17도,
1.4ℓ면 18도의 술이 나옵니다.)로 합니다.
넷째,
일주일 정도 발효시키면 술이 다 됩니다.
다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항아리에 성냥불(라이타불)을 넣어 보아서
꺼지지 않고 잘 타면 다 된 것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술은 상온에서 보관해도 알콜도수가 높기 때문에
식초가 되거나 부패하지는 않습니다.
물을 탔을 경우에는 냉장고에 넣어서 보관하세요.
다섯째,
술이 다 되면 용수를 박아서 술을 떠 내거나 광목천 자루로
맑은 술을 걸러 내서 일주일 정도 2차 숙성을 시키면 맛이 아주 좋아집니다.
더 좋게 마시려면 술 담근 지 4~5일째 즈음에 고두밥을 새로 해서
물을 적게 붓고 덧술을 하면 더욱 맛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술은 좋은 막걸리의 조건인 오미(시고 떫고 달고 짜고 쓴맛)가 고루 갖춰줘 더욱 맛있습니다.
걸러내고 남은 막걸리는 물을 타서 체에 걸러 탁주로 마십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2.02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