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문학][아동문학단체][아동문학지도][아동][문학]아동문학의 개념, 아동문학의 장르, 아동문학의 효용성, 아동문학의 조건, 아동문학의 기능, 아동문학과 아동문학단체, 아동문학의 지도 방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문학][아동문학단체][아동문학지도][아동][문학]아동문학의 개념, 아동문학의 장르, 아동문학의 효용성, 아동문학의 조건, 아동문학의 기능, 아동문학과 아동문학단체, 아동문학의 지도 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아동문학의 개념
1. 아동문학의 독자
2. 아동문학의 작자
3. 아동문학의 소재

Ⅲ. 아동문학의 장르
1. 동시
2. 동요
3. 동시조
4. 동화
5. 아동극본
6. 수필

Ⅳ. 아동문학의 효용성
1. 즐거움을 주는 것
2. 미(美)에 대한 인식
3. 문학적인 감동
4. 사물에 대한 친밀감
5. 새로운 인식의 폭
6. 생활의 지혜
7. 언어발달의 촉진

Ⅴ. 아동문학의 조건
1. 내용면의 특질
1) 로만주의 문학 - 이상성과 몽환성이 있어야 한다
2) 인도주의 문학 - 논리성과 교육성 있어야 한다
2. 형식적인 특질
1) 원시문학으로서의 아동문학 - 원시성과 단순명쾌성
2) 본격문학으로서의 아동문학 - 예술성과 비안이경우가 많다

Ⅵ. 아동문학의 기능

Ⅶ. 아동문학과 아동문학단체
1. 새싹회
2. 색동회

Ⅷ. 아동문학의 지도 방법
1. 아동문학의 지도관
2. 아동문학의 지도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념 학생작품 공모전”(대한 적십자사 추진 조선일보사와 공동주최), “나의 고학수기 모집”(동성장학금 타기)등의 다채다양 한 것이 있었으며, 이밖에도 “새싹회 합창단” 결성, “사랑의 열매달기 운동” “학급문고 발간”(1956년이래)등 실로 그 활동은 광범위한 것이었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소파상” 시상은 가장 중심사업이기도 했는데 이 상은 주로 아동을 위해 헌신한 공로자들에게 주어진 것으로서, 1957년 제1회가 동요작곡가인 윤극영에게 수여된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어린이를 위한 사업유공자를 드높이고, 주로 매스컴을 통하여 아동인권옹호에 크게 진력하였다. 현재 윤석중 선생이 회장이며 중구 남대문로5가 54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2. 색동회
색동회는 1923년 봄 일본 토오코오에서 조직된 아동문학운동을 위한 문화단체로서 동인은 방정환을 비롯하여 손진태, 윤극영, 정순철, 고한승, 진장섭, 조재호, 정병기 등이었고 후일에 마해송, 정인섭, 이헌구, 윤석중 등이 참가했다. 색동회가 조직되던 같은해 본국에서 어린이운동의 획기적인 부르짖음을 선보이자는 의견이 진장섭씨와 방정환씨 사이에 이루어 졌는데 이것이 곧 “어린이날”의 제정이었다.
또한 이들은 어린이지를 만들어 1923년부터 1934년까지 12년간에 걸쳐 통권123호를 냄으로써 우리 초창기 아동문학계를 명실 공히 진장했다.
그러나 그 후 2차대전 등으로 활동을 못하다가 1945년 “어린이”가 복간되어 1.2.3.호까지 개벽사이에 출판되더니 1949년에 더 이상 계속하지 못하고 폐간되고 말았다.
중요한 활동을 개관하면, “어린이날 행사”를 매년 주관하며 1976년 11월 어머니가 어린이들에게 동화를 들려주게 함으로써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마음속에 사랑과 교훈이 싹트게 하고 동화를 통하여 그들에게 즐거움과 감동을 주어 그들이 고운 꿈과 바른 생각을 가꾸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어머니 동화 구연대회”를 만들었으며 1978년 5월부터는 “전국 어린이 동화 구연대회”를 매년 열고 있다.
그리고 동화구연법 강습회를 열고 있으며 “색동회 아동문학 전집” “색동회 회보”를 발행하고 있다.
또한 연중 매주 목요일 어린이에게 동화 들려주기와 새 노래 지도, 각 지방에서 동화 들려주기 대회, 기타 수시로 실행위원회를 열어 일반회무에 관한 일을 상의한다.
색동회는 현재 종로구 묘동 148-1 백양빌딩 3층에 위치하고 있다.
Ⅷ. 아동문학의 지도 방법
1. 아동문학의 지도관
가. 읽고 싶은 의욕을 높인다.
나. 문제의식을 가지게 한다.
다. 현실 생활을 즐겁고 보람 있게 할 수 있다
라. 문장의 이해에 자신을 가지게 된다.
2. 아동문학의 지도과정
가. 독서의 의식화 : 학습활동 이전의 단계
나. 줄거리 읽기 : 글을 읽고 나서 줄거리를 파악
다. 작품의 주제 잡기 : 주제 파악은 읽고 내용을 완전히 이해한 독해활동 이후 가능
라. 작자의 의도 알기 : 작품 구성의 기본적인 사항으로, 작자는 반드시 의도한바가 있다.
특히 소설 속에 뚜렷하게 나타난다.
마. 감상이나 문제의식 갖기 : 작자가 제시하는 문제의식을 파악
바. 인간 형상 : 보다 나은 생활을 추구하는 자기 형성의 과정
참고문헌
김서정(1998) : 아동문학에 대한 몇 가지 오해, 문학과 교육5호, 문학과교육연구회
김신연·최재선(2001) : 아동문학의 이해와 활용, 민속원
김경희(1986) : 아동 심리학, 박영사
송홍철(1999) : 독자 반응 중심의 동시교육 방법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점열(1994) : 창작동화의 문학적, 교육적 가치와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일조각(1983) : 아동 문학 평론, 아동문학평론 통권 26호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2.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