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러시아 회화 10작품 짧은 분석
본문내용
으로 상처받은 악마의 표정이 사랑하는 여자를 잃은 남자의 모습처럼 쓸쓸하고 고독해 보이며 금방이라도 눈물을 흘릴 듯 슬프고 절망적으로 보인다. 화면을 가득채운 독특한 붓 터치와 푸른빛과 붉은빛이 섞인 듯한 몽환적이고 강렬한 색상이 인상 깊었고 어두운 음영으로 표현된 악마의 얼굴과 표정에서 염세적이고 비극적인 느낌을 받았다. 이러한 색상 표현은 브루벨이 악마적 형상을 추상적으로 상징화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한다.
이 그림은 말랴빈의 그림의 대표 격인 ‘Peasant Women’이라는 작품으로서 풍부한 색채의 강렬한 원색을 사용해서 소작농 여인들의 초상화를 그려낸 작품이다. 여러 색채를 섞지 않고 거친 필치로 하나하나 바르면서 전체적으로 강렬하고 생동감 있고 역동적인 그림을 완성해낸 그의 원색적인 초상화는 후기 인상주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화면 가득 채워진 자유로운 색채의 사용은 여러 찬란한 색들이 섞여 소용돌이치는 듯한 흥분되고 고조된 느낌을 주는 것 같았다. 이 작품의 매력은 웅장한 규모와 현란한 색채에 있다고 한다.
이 그림은 샤갈의 ‘나와 마을’ 이라는 작품으로 샤갈의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상상력의 예술관을 가진 샤갈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자신이 떠나온 고향 비텝스끄를 떠올리며 그렸다는 이 그림은 원색적인 강렬한 색채와 공간의 깊이를 무시한 평면적임, 비구상적 회화기법, 과장과 생략 등의 신원시주의적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동물과 사람이 비현실적으로 그려져 있으며 강렬한 원색의 색채를 맑고 투명하게 표현하여 몽환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어린 아이들이 읽는 동화책 속에서나 나올 법한 그림처럼 꿈꾸는 듯 신비로운 느낌을 준다. 샤갈만의 자유분방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 같다.
이 작품은 말레비치의 ‘흰색 위의 흰색(흰 사각형)’ 이라는 작품으로 선적 절대주의(수프레마티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추상적인 기하학적 요소로 이루어진 그림을 처음 그린 화가인 말레비치는 미술에서 모든 관능과 묘사를 배제하고, 순수하고 지적인 구상 작품을 만들려고 노력했다고 하며, 그 결과 도형으로만 이루어진 극단적 환원주의적인 작품을 선보이게 되었다고 한다. ‘제로’ ‘완전한 비구상’을 지향하는 그는 ‘나는 내 자신을 형식의 제로 속으로 환원’ 시킨다고 말을 하고 있다. 결국 극단적 환원주의는 흰색으로 표현된 ‘절대 무(無)’의 경지로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그림은 말랴빈의 그림의 대표 격인 ‘Peasant Women’이라는 작품으로서 풍부한 색채의 강렬한 원색을 사용해서 소작농 여인들의 초상화를 그려낸 작품이다. 여러 색채를 섞지 않고 거친 필치로 하나하나 바르면서 전체적으로 강렬하고 생동감 있고 역동적인 그림을 완성해낸 그의 원색적인 초상화는 후기 인상주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화면 가득 채워진 자유로운 색채의 사용은 여러 찬란한 색들이 섞여 소용돌이치는 듯한 흥분되고 고조된 느낌을 주는 것 같았다. 이 작품의 매력은 웅장한 규모와 현란한 색채에 있다고 한다.
이 그림은 샤갈의 ‘나와 마을’ 이라는 작품으로 샤갈의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상상력의 예술관을 가진 샤갈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자신이 떠나온 고향 비텝스끄를 떠올리며 그렸다는 이 그림은 원색적인 강렬한 색채와 공간의 깊이를 무시한 평면적임, 비구상적 회화기법, 과장과 생략 등의 신원시주의적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동물과 사람이 비현실적으로 그려져 있으며 강렬한 원색의 색채를 맑고 투명하게 표현하여 몽환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어린 아이들이 읽는 동화책 속에서나 나올 법한 그림처럼 꿈꾸는 듯 신비로운 느낌을 준다. 샤갈만의 자유분방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 같다.
이 작품은 말레비치의 ‘흰색 위의 흰색(흰 사각형)’ 이라는 작품으로 선적 절대주의(수프레마티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추상적인 기하학적 요소로 이루어진 그림을 처음 그린 화가인 말레비치는 미술에서 모든 관능과 묘사를 배제하고, 순수하고 지적인 구상 작품을 만들려고 노력했다고 하며, 그 결과 도형으로만 이루어진 극단적 환원주의적인 작품을 선보이게 되었다고 한다. ‘제로’ ‘완전한 비구상’을 지향하는 그는 ‘나는 내 자신을 형식의 제로 속으로 환원’ 시킨다고 말을 하고 있다. 결국 극단적 환원주의는 흰색으로 표현된 ‘절대 무(無)’의 경지로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