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파괴하고 약탈한 우리문화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이 파괴하고 약탈한 우리문화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한국 정부는 일제의 조선총독부가 반출해 간 고분 출토품과 일본인이 개인적으로 약탈 해 간 문화재 등 모두 4,479점의 문화재를 반환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 대상은 조선에 통감부가 설치된 1905년부터 1945년 사이에 약탈해 간 문화재였습니다.
대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선총독부가 반출해간 고분 출토품 689점(도쿄국립박물관, 도쿄대 소장), 통감 및 총독이 반출해 간 도자기 103점, 데라우치 총독이 소장한 서화 245점, 불상 8점, 통감부 전적 1,015점, 일본 국유에 해당하는 분묘 출토품과 체신관련 문화재 758점, 오쿠라 컬렉션 80점, 기타 개인 소장품 1,581점 등 입니다.
그러나 일본은 개인 소유 문화재를 제외한 채 국유 공유 문화재 1,431점만 반환하고 끝내 버렸습니다(이 가운데 창녕 교동 고분군 출토품 106점은 1958년에 반환) 당시 한국 정부가 강력히 반환을 요청했던 경남 양산 부부총 출토품 489점도 돌아오지 않았는데, 소장처인 도쿄국립박물관의 반대 때문이었습니다.
그 때 반환된 것은 반환 요청 문화재의 32%에 불과하다.일제가 실제로 약탈해 간 문화재에 비하면 지극히 일부였습니다. 이같은 반환 결과는 당시 한국 정부의 안일한 대응 탓이었습니다. 문화재 반환 협약에 '개인 소유 문화재는 자발적인 기증을 권고한다' 고만 해 놓았던 것입니다.
그럼에도 당시 문화재 반환 협정 관련 문건을 보면 , 한국 정부는 '일본 측의 강력한 소망과 우리나라에 이보다 월등이 우수한 유사 문화재가 국립박물관에 진열되어 있다는 사실을 고려' 해 반환포기한 것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1.06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