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호이징하의 놀이 특성 정의
1) 놀이의 정의
2) 놀이의 특성
2. 카이와의 놀이 특성 정의
1) 놀이의 특징적 요소
(1) 아곤
(2) 아레아
(3) 미미크리
(4) 이링크스
2) 놀이의 특징
(1) 자유성
(2) 분(격)리성
(3) 미확장성
(4) 비생산성
(5) 규칙성
(6) 허구성(적)
3. 기타 학자들의 놀이 정의
1) 사포라와 미첼의 특성 정의
2) 메이어의 정의
4. 놀이의 정의
1) 놀이의 정의
2) 놀이의 특성
2. 카이와의 놀이 특성 정의
1) 놀이의 특징적 요소
(1) 아곤
(2) 아레아
(3) 미미크리
(4) 이링크스
2) 놀이의 특징
(1) 자유성
(2) 분(격)리성
(3) 미확장성
(4) 비생산성
(5) 규칙성
(6) 허구성(적)
3. 기타 학자들의 놀이 정의
1) 사포라와 미첼의 특성 정의
2) 메이어의 정의
4. 놀이의 정의
본문내용
어떤 결과를 의식하지 않고 행해지는 활동이다.
(3) 놀이란 하고 싶기 때문에 행하는 것이다.
(4) 놀이는 자기 자발적이고 자기 만족적인 활동이다.
(5) 놀이는 그들 자신을 위해 자유스럽고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인간의 제 활동이다. 그 속에서 얻는 흥미는 자립적인 점에 있고, 그것은 내적, 외적 강제에 의해 계속되어 지는 것이 아니다.
2) 메이어의 정의
메이어는 그가 놀이의 두 가지 요소를 “놀이 자세”라고 부르며, 놀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놀이는 필수적인 것 (활동)으로 강요되지 않으며, 의무도 아니며, 필요성, 강제 의무에 쫓기지도 않는 자발적인 노력이다.
실로 놀이에 참여하는 순간 인간은 자기 자신의 “완전한 주인이 되는 것이다”
(2) 놀이는 자기 목적적인 활동이다.
그것은 놀이가 본능적인 것으로 수단이 아니며, 독립적인 것이고, 그 자체를 위하여 참여하는 것임을 뜻한다.
놀이는 외적 결과나 목적에 대한 수단이 아니다.
실용적 물질적 관심은 놀이를 더 이상 유지, 존속하기 어렵게 만든다.
놀이는 생산적인 방향으로 기울기보다는 오히려 그 과정에 (의미가) 있다.
보상은 그 행위 속에 있다.
요약하면 놀이는 본래의 내적 목적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수행되는 활동이다.
4. 놀이의 정의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놀이의 특성으로 강조된 것은 자유성(자발성), 분리성(격리성), 허구성, 비생산성 등이다.
이런 요소 중 자발성에는 쾌락성(즐거움의 추구)이 동반된 것이다.
그리고 카이와가 제시한 규칙성과 미확정성도 제외할 수 는 없는 요소이다.
그러나 놀이에는 엄격한 규칙이 적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과 지향적이 아닌 놀이도 있다.
그러므로 규칙성과 미확정성은 게임이나 스포츠의 특성에 가깝다고 하겠다.
따라서 “놀이란 허구적이고 비생산적인 활동으로써 현실의 생활을 떠난 특정의 시공에서 즐거움을 추구하며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활동이다.” 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김대식 외, 체육철학, 서울 : 도서출판 나남, 1993
-김현덕, 김기용 역, 운동이야기, 서울 : 홍익출판사 1990
-맥인토시 P.지음, 하남길,권판근,페어 플레이,서울 : 21세기교육사, 1997
-블랑차드,K, &A.T.체스카 지음,박기동 외,스포츠 인류학,서울: 동문선,1985
-신성휴, 한왕택, 현대 스포츠론, 서울: 성균관대 출판부, 1993
-하남길 지음, 움직임 예술과학의 이해, 2002
(3) 놀이란 하고 싶기 때문에 행하는 것이다.
(4) 놀이는 자기 자발적이고 자기 만족적인 활동이다.
(5) 놀이는 그들 자신을 위해 자유스럽고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인간의 제 활동이다. 그 속에서 얻는 흥미는 자립적인 점에 있고, 그것은 내적, 외적 강제에 의해 계속되어 지는 것이 아니다.
2) 메이어의 정의
메이어는 그가 놀이의 두 가지 요소를 “놀이 자세”라고 부르며, 놀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놀이는 필수적인 것 (활동)으로 강요되지 않으며, 의무도 아니며, 필요성, 강제 의무에 쫓기지도 않는 자발적인 노력이다.
실로 놀이에 참여하는 순간 인간은 자기 자신의 “완전한 주인이 되는 것이다”
(2) 놀이는 자기 목적적인 활동이다.
그것은 놀이가 본능적인 것으로 수단이 아니며, 독립적인 것이고, 그 자체를 위하여 참여하는 것임을 뜻한다.
놀이는 외적 결과나 목적에 대한 수단이 아니다.
실용적 물질적 관심은 놀이를 더 이상 유지, 존속하기 어렵게 만든다.
놀이는 생산적인 방향으로 기울기보다는 오히려 그 과정에 (의미가) 있다.
보상은 그 행위 속에 있다.
요약하면 놀이는 본래의 내적 목적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수행되는 활동이다.
4. 놀이의 정의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놀이의 특성으로 강조된 것은 자유성(자발성), 분리성(격리성), 허구성, 비생산성 등이다.
이런 요소 중 자발성에는 쾌락성(즐거움의 추구)이 동반된 것이다.
그리고 카이와가 제시한 규칙성과 미확정성도 제외할 수 는 없는 요소이다.
그러나 놀이에는 엄격한 규칙이 적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과 지향적이 아닌 놀이도 있다.
그러므로 규칙성과 미확정성은 게임이나 스포츠의 특성에 가깝다고 하겠다.
따라서 “놀이란 허구적이고 비생산적인 활동으로써 현실의 생활을 떠난 특정의 시공에서 즐거움을 추구하며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활동이다.” 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김대식 외, 체육철학, 서울 : 도서출판 나남, 1993
-김현덕, 김기용 역, 운동이야기, 서울 : 홍익출판사 1990
-맥인토시 P.지음, 하남길,권판근,페어 플레이,서울 : 21세기교육사, 1997
-블랑차드,K, &A.T.체스카 지음,박기동 외,스포츠 인류학,서울: 동문선,1985
-신성휴, 한왕택, 현대 스포츠론, 서울: 성균관대 출판부, 1993
-하남길 지음, 움직임 예술과학의 이해, 2002
추천자료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정의와 분류,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 적용배경과 시기, ...
민속놀이지도(전래놀이학습, 전통놀이교육) 의의와 현실, 민속놀이지도(전래놀이학습, 전통놀...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필요성,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
풍물놀이교육(농악지도, 풍물굿학습)의 필요성과 구성, 풍물놀이교육(농악지도, 풍물굿학습)...
민속놀이(전통놀이) 사례1 망차기놀이, 사례2 다방구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 사례3 장기놀...
민속놀이(전통놀이) 사례 콘티찐빵놀이, 장기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 사례 깃대쓰러뜨리기...
수업집중놀이 사례(가라사대 게임, 만세 놀이), 수업집중놀이 사례(낱말 맞추기, 독 안의 수)...
전통민속놀이 사례 땅차지하기놀이, 사례 바보술래잡기놀이, 전통민속놀이 사례 와리가리(왔...
놀이(놀이문화)의 의의, 놀이(놀이문화)와 놀이성, 놀이(놀이문화)와 우리민족(한민족), 놀이...
[가족놀이치료] 부모자녀놀이치료(부모-자녀 놀이치료의 개념정의 및 이론배경, 부모-자녀놀...
[놀이치료자] 놀이치료자(놀이치료사)의 성격 및 자질, 놀이치료자의 역할과 태도(자세), 놀...
[놀이의 중요성] 유아들에게 놀이의 중요성, 놀이에서 부모와 교사의 역할 - 유아들에게 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