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뇌혈관 조영술(Cerebral Angiography)
요추천자(Lumbar puncture)
유발전위검사(Evoked Potential Studies)
신경전도 검사 & 근전도 검사(NCV & EMG)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장시간 비디오 뇌파검사(EEG Monitoring)
수면 다윈검사(PSG : polysomnography)
뇌혈류 & 경동맥 초음파(TCD & CUS)
전기안진검사 (Electronystamography : ENG)
요추천자(Lumbar puncture)
유발전위검사(Evoked Potential Studies)
신경전도 검사 & 근전도 검사(NCV & EMG)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장시간 비디오 뇌파검사(EEG Monitoring)
수면 다윈검사(PSG : polysomnography)
뇌혈류 & 경동맥 초음파(TCD & CUS)
전기안진검사 (Electronystamography : ENG)
본문내용
류가 가장 잘 잡힌다. 경측두골측정에서 이용되는 동맥은 중 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 전뇌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 후뇌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이 있다.
2) 경안와검사(Transorbital approach)
2MHz의 hand-held probe를 이용한다. 백내장과 수정체의 손상을 막기위해 초음파의 power는 17w/cm²을 넘지 않도록 한다. 환자에게 렌즈 착용 유무를 확인하여 제거 후 검사한다. 경안와측정에서 이용되는 동맥은 안동맥(opthalmic artery),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이 있다.
3) 후두골하검사(Suboccipital approach)
후두골의 occipital protuberance 아래에 probe를 대고 약간 위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기저 동맥의혈류를 측정한다. 후두골하측정 동맥은 추골동맥(vertebral artery), 기저동맥(basilar artery)이 있다.
4) 하악골하검사(Submandibular spproach)
하악골 아래 부위에서 내경동맥의 맥박을 촉지하고 그 부위에 hand-held 4MHz probe를 대고 뒤쪽 방향으로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과 외경동맥 (external carotid artery)을 측정한다.
5) 유양돌기후검사(Retromastoid spproach)
유양돌기의 약간 뒤, 아래쪽에 직각으로 probe를 대고 척추로부터 나오는 추골동맥의 혈류를 측정한다.
검사 시간은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경동맥 초음파 검사 (CUS)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 혈액의 흐름과 혈관의 두계 및 모양을 관찰하는 검사로써 뇌로 가는 혈액 흐름을 감소시키는 원인인 부분적 동맥 폐색, 동맥 협착등이 있는지를 진단한다.
경동맥 협착증이란
경동맥의 내부 혈관벽에 동맥 경화 증세가 발생해서 점차적으로 혈관이 좁아지는 것으로,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뇌혈관이 막혀 뇌졸중(뇌경색, 중풍)을 일으킬 수 있다. 조로 당뇨나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등이 있는 50세 이상의 성이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1. 적응증
혈관의 폐쇄(차단, 협착) 여부
뇌졸주(중풍)의 조기 진단과 치료
경동맥의 기능 평가
경동맥 동맥 경화 진단.
무명 동맥의 동맥류
대동맥 박리 환자에서 경동맥 침법 여부 판정
2. 검사 종목
경동맥 검사(총경동맥, 내경동맥, 외경 동맥), 무명동맥 및 추골동맥
3. 검사방법
초음파를 이용하는 검사로, 거맛자가 탐촉자를 환자의 목 부분에 대고 혈관 배우에 일어나고 있는 혈류 상태를 검사합니다.
검사 시간은 약 30분 정도 소요된다.
전기안진검사 (Electronystamography : ENG)
안진검사는 어지러움을 유발시킨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시력에 의해 안구움직임을 일으킨 후 측정하는 등 여러 가지 환경에서 안구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즉 어떠한 경우는 일부러 어지러움증을 유발시켜 측정하기도 한다.
1. 전기 안진 검사의 원리
전기안진검사 (E.N.G)는 기본적으로 뇌파(E.E.G),심전도(E.K.G), 근전도(E.M.G) 등과 같이 생체현상을 전기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전기안진기록계도 각막의 양전하를 망막의 음전하를 지니고 있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구운동을 수평방향 (Horizontal ), 수직방향 (Vertical)을 기록하고 개안,폐안,암소 개안에서도 기록할 수 있다.
2. 비디오안진검사
안구의 움직임을 전기적으로 측정,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과거에는 전극을 붙이고 시행하는 전기안진검사를 주로 시행하였으나 최근 비디오 영상기술을 도입하여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졌다.
3. 전정기능 검사의 목적
① 환자의 주관적인 어지러움을 객관적으로 정량화.
② 중추성 어지러움증과 말초성 어지러움증의 감별진단.
③ 중추성 어지러움증의 경우 중추 신경계 병변의 위치 파악.
④ 말초성 어지러움증의 경우 병변부위가 편측성인지 양측성인지를 알아내고자 할때
4. 전기 안진 검사(Electronystamography)의 장단점
1) 장점
① 안진을 포함한 안구운동을 정량적 기록. (객관적인 판정에 도움)
② 안진의 진폭, 빈도, 느린성분속도, 및 지속시간등을 정량적으로 분석.
③ 폐안 또는 암소개안 상태에서도 안진 기록.
④ 검사자가 용이하게 검사 및 기록의 영구보존 가능.
⑤ 비교적 저렴하고, 비침습성, 환자의 시력의 영향 없이 검사.
2) 단점
① 회전성의 안구운동을 기록할 수 없다.(수직성 안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나안 또는 Frenzel 안경하의 육안적 관찰로 보충.
② 눈을 감을 때 생기는 Artifact 의 방해.
③ 땀으로 인한 피부저항에 예민. 검사실의 밝기에 영향을 받음.
5. 전극 부착 부위
① 전극은 양안의 내측과 외측 ,그리고 한쪽의 위, 아래에 부착하여 각각 수평성, 수직성 안진을 측정하고 Ground electrode 는 이마에 부착한다.
(검사장비의 채널수에 따라 양안의 내측 전극은 생략하기도 한다.)
② 대부분의 경우 결과의 판독에 이용되는 것은 수평성 안진이지만, 수직성 안진을 측정하는 것은 눈을 깜박임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반드시 측정한다.
5. 검사 시 유의사항
① 약물 복용(술, 안정제,수면제,진정제,아스피린,감기약,항 히스타민제..등)의 유무를 확인하고 약물 복용 시에는 검사 2일전부터는 먹지 말아야 한다.
② 환자의 고막 천공 유무와 진물이 나오는지 확인하고, 귀지가 많은 분들은 검사전 외래에서 청소를 받아야 한다.
③ 콘택트렌즈는 착용을 금하며, 안경을 끼고 검사.
④ 검사 전 날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검사 시 항상 환자는 각성 상태를 유지 시킨다
(이를 위해 환자와 대화를 나누면서 검사하며, 환자가 힘들거나, 졸리우면 휴식을 취한 후 다시 검사함)
⑤ 검사의 자극이 메스껍거나 토하는 경우가 있으니 비닐봉투를 준비한다.
⑥ 세안을 깨끗이 하고, 화장을 하지 않도록 한다.
2) 경안와검사(Transorbital approach)
2MHz의 hand-held probe를 이용한다. 백내장과 수정체의 손상을 막기위해 초음파의 power는 17w/cm²을 넘지 않도록 한다. 환자에게 렌즈 착용 유무를 확인하여 제거 후 검사한다. 경안와측정에서 이용되는 동맥은 안동맥(opthalmic artery),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이 있다.
3) 후두골하검사(Suboccipital approach)
후두골의 occipital protuberance 아래에 probe를 대고 약간 위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기저 동맥의혈류를 측정한다. 후두골하측정 동맥은 추골동맥(vertebral artery), 기저동맥(basilar artery)이 있다.
4) 하악골하검사(Submandibular spproach)
하악골 아래 부위에서 내경동맥의 맥박을 촉지하고 그 부위에 hand-held 4MHz probe를 대고 뒤쪽 방향으로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과 외경동맥 (external carotid artery)을 측정한다.
5) 유양돌기후검사(Retromastoid spproach)
유양돌기의 약간 뒤, 아래쪽에 직각으로 probe를 대고 척추로부터 나오는 추골동맥의 혈류를 측정한다.
검사 시간은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경동맥 초음파 검사 (CUS)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 혈액의 흐름과 혈관의 두계 및 모양을 관찰하는 검사로써 뇌로 가는 혈액 흐름을 감소시키는 원인인 부분적 동맥 폐색, 동맥 협착등이 있는지를 진단한다.
경동맥 협착증이란
경동맥의 내부 혈관벽에 동맥 경화 증세가 발생해서 점차적으로 혈관이 좁아지는 것으로,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뇌혈관이 막혀 뇌졸중(뇌경색, 중풍)을 일으킬 수 있다. 조로 당뇨나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등이 있는 50세 이상의 성이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1. 적응증
혈관의 폐쇄(차단, 협착) 여부
뇌졸주(중풍)의 조기 진단과 치료
경동맥의 기능 평가
경동맥 동맥 경화 진단.
무명 동맥의 동맥류
대동맥 박리 환자에서 경동맥 침법 여부 판정
2. 검사 종목
경동맥 검사(총경동맥, 내경동맥, 외경 동맥), 무명동맥 및 추골동맥
3. 검사방법
초음파를 이용하는 검사로, 거맛자가 탐촉자를 환자의 목 부분에 대고 혈관 배우에 일어나고 있는 혈류 상태를 검사합니다.
검사 시간은 약 30분 정도 소요된다.
전기안진검사 (Electronystamography : ENG)
안진검사는 어지러움을 유발시킨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시력에 의해 안구움직임을 일으킨 후 측정하는 등 여러 가지 환경에서 안구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즉 어떠한 경우는 일부러 어지러움증을 유발시켜 측정하기도 한다.
1. 전기 안진 검사의 원리
전기안진검사 (E.N.G)는 기본적으로 뇌파(E.E.G),심전도(E.K.G), 근전도(E.M.G) 등과 같이 생체현상을 전기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전기안진기록계도 각막의 양전하를 망막의 음전하를 지니고 있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구운동을 수평방향 (Horizontal ), 수직방향 (Vertical)을 기록하고 개안,폐안,암소 개안에서도 기록할 수 있다.
2. 비디오안진검사
안구의 움직임을 전기적으로 측정,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과거에는 전극을 붙이고 시행하는 전기안진검사를 주로 시행하였으나 최근 비디오 영상기술을 도입하여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졌다.
3. 전정기능 검사의 목적
① 환자의 주관적인 어지러움을 객관적으로 정량화.
② 중추성 어지러움증과 말초성 어지러움증의 감별진단.
③ 중추성 어지러움증의 경우 중추 신경계 병변의 위치 파악.
④ 말초성 어지러움증의 경우 병변부위가 편측성인지 양측성인지를 알아내고자 할때
4. 전기 안진 검사(Electronystamography)의 장단점
1) 장점
① 안진을 포함한 안구운동을 정량적 기록. (객관적인 판정에 도움)
② 안진의 진폭, 빈도, 느린성분속도, 및 지속시간등을 정량적으로 분석.
③ 폐안 또는 암소개안 상태에서도 안진 기록.
④ 검사자가 용이하게 검사 및 기록의 영구보존 가능.
⑤ 비교적 저렴하고, 비침습성, 환자의 시력의 영향 없이 검사.
2) 단점
① 회전성의 안구운동을 기록할 수 없다.(수직성 안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나안 또는 Frenzel 안경하의 육안적 관찰로 보충.
② 눈을 감을 때 생기는 Artifact 의 방해.
③ 땀으로 인한 피부저항에 예민. 검사실의 밝기에 영향을 받음.
5. 전극 부착 부위
① 전극은 양안의 내측과 외측 ,그리고 한쪽의 위, 아래에 부착하여 각각 수평성, 수직성 안진을 측정하고 Ground electrode 는 이마에 부착한다.
(검사장비의 채널수에 따라 양안의 내측 전극은 생략하기도 한다.)
② 대부분의 경우 결과의 판독에 이용되는 것은 수평성 안진이지만, 수직성 안진을 측정하는 것은 눈을 깜박임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반드시 측정한다.
5. 검사 시 유의사항
① 약물 복용(술, 안정제,수면제,진정제,아스피린,감기약,항 히스타민제..등)의 유무를 확인하고 약물 복용 시에는 검사 2일전부터는 먹지 말아야 한다.
② 환자의 고막 천공 유무와 진물이 나오는지 확인하고, 귀지가 많은 분들은 검사전 외래에서 청소를 받아야 한다.
③ 콘택트렌즈는 착용을 금하며, 안경을 끼고 검사.
④ 검사 전 날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검사 시 항상 환자는 각성 상태를 유지 시킨다
(이를 위해 환자와 대화를 나누면서 검사하며, 환자가 힘들거나, 졸리우면 휴식을 취한 후 다시 검사함)
⑤ 검사의 자극이 메스껍거나 토하는 경우가 있으니 비닐봉투를 준비한다.
⑥ 세안을 깨끗이 하고, 화장을 하지 않도록 한다.
추천자료
신경외과적 중요 검사 및 질환에 관한 설명
NS 에서 실시하는 검사
청소년기와 알코올(술)과의 관계
[성인간호]뇌내출혈(ICH) case study
신혈관성 고혈압의 진단방법과 진단원칙
간 · 담도계 검사
내과계 검사및 처치
[간호학]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성인간호학 (허혈성 뇌졸중 (뇌경색), 간호사정)
핵의학 영상검사의 종류 및 방법
[케이스스터디][세기관지염][만성신부전]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
ICU case study-brain infarction (뇌경색)
[성인간호학] 뇌출혈 케이스 Cerebral Hemorrhage CASE STUDY
[성인간호학] 뇌출혈(ICH)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