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기의 개념
2. 동기이론
3.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변인
※ 참고자료 ※
2. 동기이론
3.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변인
※ 참고자료 ※
본문내용
.
그렇다면 완전학습과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동기를 증진시키는 데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가?
- 완전학습은 어떠한 학생이라도 그들이 학교에서 수행해야 할 과제를 모두 학습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것은 완전학습의 기본 가정은 학생들의 동기화에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 Nicholls(1979)는 완전학습이 학문적 어려움을 경험한 학생들의 동기화에 가장 큰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Guskey(1985)는 완전학습이 학생들에게는 개인적인 자존심과 확신 그리고 행복의 느낌을 가지도록 하며, 교사에게는 만족감과 열정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또한, 완전학습은 자아개념의 향상과 학교 과제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흥미를 가져오게 한다는 연구결과(Block&Burns, 1976)역시 동기화와 관련된 완전학습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 협동학습은 학생들 간의 경쟁을 줄일 수 있고 자신의 학습에 대하여 보다 강한 책임감을 제공할 수 있는 교수방법이다(Nicholls, 1983). 협동학습에서는 공통적인 학습목표를 향해 공부할 수 있는 동료를 만들어 줌으로써 보다 과업에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많은 연구결과들은 협동학습이 경쟁적이며 개인적인 전통적 교수방법에 비해 과제와 교수의 경험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자부심 그리고 흥미를 유발한다고 밝히고 있다(Johnson&Johnson, 1987).
3) 학습동기화에 대한 쟁점
학생들의 각성수준과 행동수준, 좌절의 원인, 그리고 시험불안 등은 모두 학생의 학습동기를 증진하는 데 고려해야 할 변인들이다.
(1) 각성수준과 행동수준 사이의 관계를 이해
학생들의 각성수준과 행동수준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된다. 과제를 지각하는 수준을 의미하는 각성수준은 학생의 행동수준에 영향을 준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과제에 대한 그들의 각성수준이 최적일 때 까지만 행동이 개선되고 그보다 높은 사애의 각성수준은 오히려 행동을 저해한다. 이러한 각성수준은 과제의 난이도에 영향을 받는데 일반적으로 과제가 어려울수록 각성수준은 낮아진다.
(2) 최적의 동기화를 조성
학생들이 경험하는 좌절의 느낌 역시 최적의 동기화를 조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변인이다. 좌절이란 진행되는 행동이 방해를 받거나 이전에 강화되어 왔던 반응이 더 이상 강화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심리적 반응이다. 좌절이 계속되면 학생들은 그들의 학습과제를 더 이상 지속하지 않으며, 학습수행이 소거될 수 있다.
(3) 시험불안
시험불안 또한 학생들의 동기수준에 영향을 준다. 시험은 학생들에게 좌절과 갈등을 일으키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그러나 시험에 대한 적정한 불안수준이 학생들의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시험불안 이론에서는 행동에 활력을 주는 충동으로서 시험불안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참고자료 ※
임규혁(1999).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학지사
신명희 외(1998).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고벽진(2006). 신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그렇다면 완전학습과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동기를 증진시키는 데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가?
- 완전학습은 어떠한 학생이라도 그들이 학교에서 수행해야 할 과제를 모두 학습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것은 완전학습의 기본 가정은 학생들의 동기화에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 Nicholls(1979)는 완전학습이 학문적 어려움을 경험한 학생들의 동기화에 가장 큰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Guskey(1985)는 완전학습이 학생들에게는 개인적인 자존심과 확신 그리고 행복의 느낌을 가지도록 하며, 교사에게는 만족감과 열정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또한, 완전학습은 자아개념의 향상과 학교 과제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흥미를 가져오게 한다는 연구결과(Block&Burns, 1976)역시 동기화와 관련된 완전학습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 협동학습은 학생들 간의 경쟁을 줄일 수 있고 자신의 학습에 대하여 보다 강한 책임감을 제공할 수 있는 교수방법이다(Nicholls, 1983). 협동학습에서는 공통적인 학습목표를 향해 공부할 수 있는 동료를 만들어 줌으로써 보다 과업에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많은 연구결과들은 협동학습이 경쟁적이며 개인적인 전통적 교수방법에 비해 과제와 교수의 경험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자부심 그리고 흥미를 유발한다고 밝히고 있다(Johnson&Johnson, 1987).
3) 학습동기화에 대한 쟁점
학생들의 각성수준과 행동수준, 좌절의 원인, 그리고 시험불안 등은 모두 학생의 학습동기를 증진하는 데 고려해야 할 변인들이다.
(1) 각성수준과 행동수준 사이의 관계를 이해
학생들의 각성수준과 행동수준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된다. 과제를 지각하는 수준을 의미하는 각성수준은 학생의 행동수준에 영향을 준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과제에 대한 그들의 각성수준이 최적일 때 까지만 행동이 개선되고 그보다 높은 사애의 각성수준은 오히려 행동을 저해한다. 이러한 각성수준은 과제의 난이도에 영향을 받는데 일반적으로 과제가 어려울수록 각성수준은 낮아진다.
(2) 최적의 동기화를 조성
학생들이 경험하는 좌절의 느낌 역시 최적의 동기화를 조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변인이다. 좌절이란 진행되는 행동이 방해를 받거나 이전에 강화되어 왔던 반응이 더 이상 강화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심리적 반응이다. 좌절이 계속되면 학생들은 그들의 학습과제를 더 이상 지속하지 않으며, 학습수행이 소거될 수 있다.
(3) 시험불안
시험불안 또한 학생들의 동기수준에 영향을 준다. 시험은 학생들에게 좌절과 갈등을 일으키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그러나 시험에 대한 적정한 불안수준이 학생들의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시험불안 이론에서는 행동에 활력을 주는 충동으로서 시험불안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참고자료 ※
임규혁(1999).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학지사
신명희 외(1998).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고벽진(2006). 신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