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00/mm3 이상 등
③ 내분비 검사 : 융모성선 자극 호르몬 (HCG)은 임신이 되면 배란 8-9일 후부터 모체의 혈장과 소변에서 발견, 임신 60-70일까지 2배 증가된다. 그러나 임신 8주 이전에 유산되면 48시간후 베타 -HCG 는 떨어진다. 그러나 정상 임신일 경우에는 이기간 내에 2배가 된다. 그러므로 유산이 되면 HCG, estrogen, progesterone의 농도가 아주 약하게 나오거나 나타나지 않는다.
④ 초음파 검사 : 초음파 검사로 재태낭을 확인할 수 있다.
6. 치료
① 안정, 진정, 스트레스 및 오르가즘을 피한다.
② 출혈이 신하고 자궁 수축이 있으면 입원하여 관리한다.
③ 침상안정을 한다.
④ 황체 호르몬을 근육주사하거나 합성 황체 호르몬을 경구투여 할 수 있으나 효과는 미약하다.
⑤ 출혈이 몇 주간 지속될 경우
- 임신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 태아가 생존했을 경우 : 질초음파, 연속적 혈청 hCG 및 황체호르몬 측정한다.
7. 간호
① 출혈이 STOP 할 때까지 침상안정 시킨다.
② 며칠간은 환자의 활동을 제한한다.
③ 가볍고 균형잡힌 식사를 한다.
④ 환자가 불안해하고 염려하는 기색이 보이면 진정제를 줄 수 있다.
⑤ 황체 호르몬을 근육주사하거나 합성 황체 호르몬을 경구투여 해야한다.
⑥ 질로 배출된 내용물을 관찰하기 위해 회음 패드를 모으도록 한다.
⑦ 성관계는 출혈이 멎은 2주까지 피하는 것이 좋다.
⑧ 질 출혈과 함께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임신을 지속시키기 어려우므로 입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보고서를 통해 절박유산의 정의, 원인, 임상증상, 진단 검사, 치료와 간호 등을 전체적으로 알아보았다.
1주 동안 산부인과 관련 실습을 하면서 자연유산이든 인공유산이든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몇 분 있었다. 환자들은 어떻게 하다가 유산을 하게 되었으며, 어떻게 치료하고 간호되어지는지 의문점과 동시에 산부인과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유산 환자를 나의 Case study 주제로 잡는 것에 대해 한 치의 주저함도 없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알게 된 간호지식을 기반으로, 내가 임상에서 유산관련 대상자를 간호하게 되었을 때 대상자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더욱더 노력하겠다.
※ 참고문헌 ※
1. 이경혜 외 9(2004),『여성건강간호학(상)』, 현문사
2. 웅진씽크빅편집부 저(2007), 『소문난 임신.출산책』, 웅진리빙하우스
3. 삼성출판사 편집부 저(2003),『임신.출산.신생아』, 삼성출판사
4. 송경애 외(1998),『진단검사와 간호』. 수문사
4) 간호과정 기록지
우선순위
간호진단 목록
1
추후 임신 여부와 관련된 불안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별〕
사
정
주관적 자료
"이미 자연유산이 2번이나 돼서 다음에 임신돼도 유산 될까봐 불안해요"
"설마 제가 습관적으로 유산되는 건 아니겠죠?"
객관적 자료
3주 전 vag. spotting 으로 local 입원 후 퇴원
4/19일 vomiting, vag. spotting 으로 local 방문 후 observation 위해 귀가
4/21일 소변 볼 때 vag. spotting 있어 4/22일 본원 산부인과 외래 방문 후 threathened abortion 진단받고 입원(IUP at 12+ 2wks)
4/23 05:00 FHR Checked - well
4/23 14:56 FHR Checked - 187회
4/25 17:00 FHR Checked - well
4/26 05:00 FHR Checked - well
4/25 17:00 FHR Checked - well
4/27 06:40 FHR Checked - 안 들림(IUP at 13wks)
4/27 09:10 D/C 위해 분만실 GO
Para
0 - 0 - 2(sa) - 0
LMP
2010/1/27
PMP
regular
Last Delivery
(-)
Last D & C
2009
Leukorrhea
(+)bloody
Vaginal Spotting
(+)
4/22 초음파 4/26 초음파
진 단
추후 임신 여부와 관련된 불안
간
호
계
획
간 호
목 표
불안을 표현, 이해하고 원인을 확인 후 해결방법을 찾는다.
기대되는
결과
대상자는 차분해지면서 안정감을 되찾는다.
부정적 생각보다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도록 지지한다.
정상적 수면과 영양 상태를 유지한다.
간
호
계
획
주의 깊게 경청하고 대상자 자신의 상황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고 격려하며 안정감을 준다.
유산을 두 번 경험한 임부의 간호에 대해 알려준다. (* 첨부)
추후 임신 가능성에 대해 알려준다.
가족, 지지자들과 대화하고 활동하며 간호에 대한 의사결정에 참여한다.
비슷한 경험을 가진 다른 사람들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루에 두 번 점진적 이완요법으로 명상이나 기도를 시행한다.
간
호
수
행
대상자가 이야기를 주의 경청하고 이해하려고 함.
대상자의 불안 요인을 알고 그 요인의 해결방법을 함께 찾으려고 노력함.
유산을 두 번 경험한 임부의 간호와 추후 임신 가능성에 대해 print out 으로 제공함.
대상자와 비슷한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알려줌.
보호자와 가족들에게 대상자의 영양을 위해 고단백 식품을 중심으로 칼슘, 비타민, 무기질 성분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먹되, 특히 빈혈이 생기지 않도록 철분 섭취에 신경을 써야함을 알려줌.
대상자가 정신적 혼란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알려줌.
하루에 한 번 명상이나 기도를 함께 함.
간
호
평
가
대상자에게 제공한 print out 이 도움이 되었다고 말함.
대상자에게 알려준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했다고 함.
보호자가 없을 때 외롭고 불안했는데 함께 이야기를 나누니 좋다고 말함.
대상자 냉장고에 여러 종류의 과일과 철분제가 있었음.
하루에 두 세 시간 정도를 제외하고는 항상 보호자가 있었음.
머리 맡에 성경책이 있음을 보고 읽는 모습도 관찰함.
점차적으로 대상자의 얼굴에서 편안함을 느낌.
③ 내분비 검사 : 융모성선 자극 호르몬 (HCG)은 임신이 되면 배란 8-9일 후부터 모체의 혈장과 소변에서 발견, 임신 60-70일까지 2배 증가된다. 그러나 임신 8주 이전에 유산되면 48시간후 베타 -HCG 는 떨어진다. 그러나 정상 임신일 경우에는 이기간 내에 2배가 된다. 그러므로 유산이 되면 HCG, estrogen, progesterone의 농도가 아주 약하게 나오거나 나타나지 않는다.
④ 초음파 검사 : 초음파 검사로 재태낭을 확인할 수 있다.
6. 치료
① 안정, 진정, 스트레스 및 오르가즘을 피한다.
② 출혈이 신하고 자궁 수축이 있으면 입원하여 관리한다.
③ 침상안정을 한다.
④ 황체 호르몬을 근육주사하거나 합성 황체 호르몬을 경구투여 할 수 있으나 효과는 미약하다.
⑤ 출혈이 몇 주간 지속될 경우
- 임신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 태아가 생존했을 경우 : 질초음파, 연속적 혈청 hCG 및 황체호르몬 측정한다.
7. 간호
① 출혈이 STOP 할 때까지 침상안정 시킨다.
② 며칠간은 환자의 활동을 제한한다.
③ 가볍고 균형잡힌 식사를 한다.
④ 환자가 불안해하고 염려하는 기색이 보이면 진정제를 줄 수 있다.
⑤ 황체 호르몬을 근육주사하거나 합성 황체 호르몬을 경구투여 해야한다.
⑥ 질로 배출된 내용물을 관찰하기 위해 회음 패드를 모으도록 한다.
⑦ 성관계는 출혈이 멎은 2주까지 피하는 것이 좋다.
⑧ 질 출혈과 함께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임신을 지속시키기 어려우므로 입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보고서를 통해 절박유산의 정의, 원인, 임상증상, 진단 검사, 치료와 간호 등을 전체적으로 알아보았다.
1주 동안 산부인과 관련 실습을 하면서 자연유산이든 인공유산이든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몇 분 있었다. 환자들은 어떻게 하다가 유산을 하게 되었으며, 어떻게 치료하고 간호되어지는지 의문점과 동시에 산부인과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유산 환자를 나의 Case study 주제로 잡는 것에 대해 한 치의 주저함도 없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알게 된 간호지식을 기반으로, 내가 임상에서 유산관련 대상자를 간호하게 되었을 때 대상자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더욱더 노력하겠다.
※ 참고문헌 ※
1. 이경혜 외 9(2004),『여성건강간호학(상)』, 현문사
2. 웅진씽크빅편집부 저(2007), 『소문난 임신.출산책』, 웅진리빙하우스
3. 삼성출판사 편집부 저(2003),『임신.출산.신생아』, 삼성출판사
4. 송경애 외(1998),『진단검사와 간호』. 수문사
4) 간호과정 기록지
우선순위
간호진단 목록
1
추후 임신 여부와 관련된 불안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별〕
사
정
주관적 자료
"이미 자연유산이 2번이나 돼서 다음에 임신돼도 유산 될까봐 불안해요"
"설마 제가 습관적으로 유산되는 건 아니겠죠?"
객관적 자료
3주 전 vag. spotting 으로 local 입원 후 퇴원
4/19일 vomiting, vag. spotting 으로 local 방문 후 observation 위해 귀가
4/21일 소변 볼 때 vag. spotting 있어 4/22일 본원 산부인과 외래 방문 후 threathened abortion 진단받고 입원(IUP at 12+ 2wks)
4/23 05:00 FHR Checked - well
4/23 14:56 FHR Checked - 187회
4/25 17:00 FHR Checked - well
4/26 05:00 FHR Checked - well
4/25 17:00 FHR Checked - well
4/27 06:40 FHR Checked - 안 들림(IUP at 13wks)
4/27 09:10 D/C 위해 분만실 GO
Para
0 - 0 - 2(sa) - 0
LMP
2010/1/27
PMP
regular
Last Delivery
(-)
Last D & C
2009
Leukorrhea
(+)bloody
Vaginal Spotting
(+)
4/22 초음파 4/26 초음파
진 단
추후 임신 여부와 관련된 불안
간
호
계
획
간 호
목 표
불안을 표현, 이해하고 원인을 확인 후 해결방법을 찾는다.
기대되는
결과
대상자는 차분해지면서 안정감을 되찾는다.
부정적 생각보다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도록 지지한다.
정상적 수면과 영양 상태를 유지한다.
간
호
계
획
주의 깊게 경청하고 대상자 자신의 상황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고 격려하며 안정감을 준다.
유산을 두 번 경험한 임부의 간호에 대해 알려준다. (* 첨부)
추후 임신 가능성에 대해 알려준다.
가족, 지지자들과 대화하고 활동하며 간호에 대한 의사결정에 참여한다.
비슷한 경험을 가진 다른 사람들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루에 두 번 점진적 이완요법으로 명상이나 기도를 시행한다.
간
호
수
행
대상자가 이야기를 주의 경청하고 이해하려고 함.
대상자의 불안 요인을 알고 그 요인의 해결방법을 함께 찾으려고 노력함.
유산을 두 번 경험한 임부의 간호와 추후 임신 가능성에 대해 print out 으로 제공함.
대상자와 비슷한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알려줌.
보호자와 가족들에게 대상자의 영양을 위해 고단백 식품을 중심으로 칼슘, 비타민, 무기질 성분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먹되, 특히 빈혈이 생기지 않도록 철분 섭취에 신경을 써야함을 알려줌.
대상자가 정신적 혼란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알려줌.
하루에 한 번 명상이나 기도를 함께 함.
간
호
평
가
대상자에게 제공한 print out 이 도움이 되었다고 말함.
대상자에게 알려준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했다고 함.
보호자가 없을 때 외롭고 불안했는데 함께 이야기를 나누니 좋다고 말함.
대상자 냉장고에 여러 종류의 과일과 철분제가 있었음.
하루에 두 세 시간 정도를 제외하고는 항상 보호자가 있었음.
머리 맡에 성경책이 있음을 보고 읽는 모습도 관찰함.
점차적으로 대상자의 얼굴에서 편안함을 느낌.
추천자료
ABGA의 정의와 간호사정
귀 간호사정
위암 간호사정
태아 사정-관련 간호과정포함
[지역사회간호]가족간호사정/진단레포트
간경변증 간호사정
정신과 사례연구 간호사정
심장 장애를 가진 대상자를 위한 진단검사 및 간호사정
천식(Asthma)의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
설사(Diarrhea)의 구분, 원인, 병태생리, 진단 및 치료와 간호사정에 대해서
간호사정 사정도구 NS case - C-SDH(chronic subdural Hemorrage)
간호사정 사정도구 OS case - Spinal stenosis, lumbar region
호흡기내과간호사정[1]
사회복지실천의 사정과정(자료수집과 문제사정, 사정내용과 사정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