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문헌고찰
1.설사의 구분
2.설사의 원인
3.설사의 병태생리
4.설사의 진단
5.설사의 치료
Ⅱ.간호
1.간호계획#1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2.간호계획#2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3.간호계획#3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1.설사의 구분
2.설사의 원인
3.설사의 병태생리
4.설사의 진단
5.설사의 치료
Ⅱ.간호
1.간호계획#1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2.간호계획#2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3.간호계획#3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본문내용
용해서는 안된다.
-영야가가 거의 없고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전해질 함량이 낮다.
▶재수화 방법
재수화 용액은 1L당 나트륨이 75~90mEq량이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4시간 이상 재수화용액을 1kg 당 40~50mL 준다.
보충 및 유지용액은 1L당 나트륨이 40~60mEq량이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뚜렷한 탈수 증상 없이 설사를 하는 아동은 유지를 위해 재수화용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시작할 수 있다.
액체를 추가로 줄 필요가 있다면 모유, 물같은 염분 함량이 낮은 액체를 사용한다.
Ⅱ.간호
1.간호계획#1
(1)간호진단
-4변이나 구토로 인한 과도한 위장관 손실과 관련된 체액부족
(2)간호목표
-적절한 수화 유지와 재수화 징후를 나타낸다.
(3)간호중재
-재수화와 대변 손실의 대체를 위해 경구재수화용액을 투여하며, 소량씩 자주 경구재수화용액을 준다.
-심한 탈수와 구토의 경우 처방대로 정맥 내 수액을 투여하고 관리한다.
-수액치료의 유지를 위해 물, 모유같은 저나트륨 수액을 경구재수화용액 대신 제공한다.
-중재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섭취량과 배설량을 유지 및 기록한다.
-4시간마다, 수화를 평가하기 위해 지시된 시간마다 활력징후, 피부긴장도, 점막과 정신상태를 사정한다.
-탈수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매일 체중을 확인한다.
-과일쥬스, 탄산음료, 젤라틴 같은 맑은 음료를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과도한 위장관 손실을 야기시키는 특정 병인 치료를 위해 처방대로 항균제를 투여한다.
(4)기대되는 결과
-아동은 적절한 수화의 징후를 나타낸다.
2.간호계획#2
(1)간호진단
-설사로 인한 손실, 불충분한 섭취량과 관련된 영양결핍
(2)간호목표
-연령에 적합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영양을 섭취한다.
(3)간호중재
-BART식단(바나나, 쌀, 사과 및 토스트)에 따른 음식 등을 피한다.
-치료계획의 이행을 위해 적절한 식이 제공에 대해 가족을 교육한다.
-재수화 후, 모유수유를 계속하도록 교육한다.
-음식에 대한 과민반응을 사정하기 위해 음식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관찰 및 기록한다.
-치료계획에 잘 따르도록 하기 위해 가족구성원들의 우선 순위와 관심사를 파악한다.
(4)기대되는 결과
-아동은 처방된 영양을 섭취하며 만족스러운 체중증가를 나타낸다.
3.간호계획#3
(1)간호진단
-위장관의 미생물 침입과 관련된 감염전파 위험성
(2)간호목표
-위장관 감염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3)간호중재
-감염전파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병원감염예방지침에 따라 수행한다.
-감염전파 위험을 줄이기 위해 철저히 손을 씻는다.
-배설물을 통한 전파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 기저귀는 안전한 용기에 넣어 패기시킨다.
-기저귀 피부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흡수성이 뛰어난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한다.
-영아가 오염된 부위에 손을 대거나 물건을 만지지 않도록 한다.
-가능한 감염전파 예방을 위해 아동에게 용변 후 손을 씻도록 한다.
-감염전파의 위험과 예방을 위해 가족과 방문객에게 손씻기를 교육한다.
(4)기대되는 결과
-다른 사람에게 감염이 전파되지 않는다.
-영야가가 거의 없고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전해질 함량이 낮다.
▶재수화 방법
재수화 용액은 1L당 나트륨이 75~90mEq량이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4시간 이상 재수화용액을 1kg 당 40~50mL 준다.
보충 및 유지용액은 1L당 나트륨이 40~60mEq량이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뚜렷한 탈수 증상 없이 설사를 하는 아동은 유지를 위해 재수화용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시작할 수 있다.
액체를 추가로 줄 필요가 있다면 모유, 물같은 염분 함량이 낮은 액체를 사용한다.
Ⅱ.간호
1.간호계획#1
(1)간호진단
-4변이나 구토로 인한 과도한 위장관 손실과 관련된 체액부족
(2)간호목표
-적절한 수화 유지와 재수화 징후를 나타낸다.
(3)간호중재
-재수화와 대변 손실의 대체를 위해 경구재수화용액을 투여하며, 소량씩 자주 경구재수화용액을 준다.
-심한 탈수와 구토의 경우 처방대로 정맥 내 수액을 투여하고 관리한다.
-수액치료의 유지를 위해 물, 모유같은 저나트륨 수액을 경구재수화용액 대신 제공한다.
-중재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섭취량과 배설량을 유지 및 기록한다.
-4시간마다, 수화를 평가하기 위해 지시된 시간마다 활력징후, 피부긴장도, 점막과 정신상태를 사정한다.
-탈수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매일 체중을 확인한다.
-과일쥬스, 탄산음료, 젤라틴 같은 맑은 음료를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과도한 위장관 손실을 야기시키는 특정 병인 치료를 위해 처방대로 항균제를 투여한다.
(4)기대되는 결과
-아동은 적절한 수화의 징후를 나타낸다.
2.간호계획#2
(1)간호진단
-설사로 인한 손실, 불충분한 섭취량과 관련된 영양결핍
(2)간호목표
-연령에 적합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영양을 섭취한다.
(3)간호중재
-BART식단(바나나, 쌀, 사과 및 토스트)에 따른 음식 등을 피한다.
-치료계획의 이행을 위해 적절한 식이 제공에 대해 가족을 교육한다.
-재수화 후, 모유수유를 계속하도록 교육한다.
-음식에 대한 과민반응을 사정하기 위해 음식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관찰 및 기록한다.
-치료계획에 잘 따르도록 하기 위해 가족구성원들의 우선 순위와 관심사를 파악한다.
(4)기대되는 결과
-아동은 처방된 영양을 섭취하며 만족스러운 체중증가를 나타낸다.
3.간호계획#3
(1)간호진단
-위장관의 미생물 침입과 관련된 감염전파 위험성
(2)간호목표
-위장관 감염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3)간호중재
-감염전파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병원감염예방지침에 따라 수행한다.
-감염전파 위험을 줄이기 위해 철저히 손을 씻는다.
-배설물을 통한 전파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 기저귀는 안전한 용기에 넣어 패기시킨다.
-기저귀 피부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흡수성이 뛰어난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한다.
-영아가 오염된 부위에 손을 대거나 물건을 만지지 않도록 한다.
-가능한 감염전파 예방을 위해 아동에게 용변 후 손을 씻도록 한다.
-감염전파의 위험과 예방을 위해 가족과 방문객에게 손씻기를 교육한다.
(4)기대되는 결과
-다른 사람에게 감염이 전파되지 않는다.
추천자료
식중독 증상
생리통에 대하여
제 1군 전염병 종류와 정의 증상 치료 원인 예방
아동간호학 소아과 사례연구 AGE(acute gastroenteritis)
정신분열병과 관련된 간호사례연구
[아동간호 케이스] Pneumonia(폐렴) 아동에 대한 간호사례 연구
★소의 소화기(설사) 질병 및 예방법★
심근경색증86
월경곤란증을 가진 청소년을 위한 교육 (월경곤란증 자가진단테스트, 월경곤란증의 정의, 월...
[성인간호학] Sigmoid colon cancer 결장암(대장암) 간호과정
아동 Case Study (장염)
위장관 출혈 GI Bleeding 문헌고찰 정의 병태생리 증상 치료 간호과정 3개
[간호학] 영양 및 위장관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