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원의 개관
Ⅱ. 단원의 학습계열
Ⅲ. 단원의 학습 목표
Ⅳ. 단원의 지도 계획
Ⅴ. 단원 지도상의 유의사항
Ⅵ. 단원학습의 평가
Ⅶ. 학습자 실태 분석
Ⅷ. 탐구학습 모형의 이론적 배경
Ⅸ.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Ⅱ. 단원의 학습계열
Ⅲ. 단원의 학습 목표
Ⅳ. 단원의 지도 계획
Ⅴ. 단원 지도상의 유의사항
Ⅵ. 단원학습의 평가
Ⅶ. 학습자 실태 분석
Ⅷ. 탐구학습 모형의 이론적 배경
Ⅸ.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본문내용
구름이 생겨 비가 내리는 과정을 설명해보자.
문제 인식
▣ 학습 문제 확인하기
안개가 주로 언제 생기는지 알아보기
안개가 끼는 조건을 생각해 보기
비내리는 날의 구름은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 알아보기
▣ 학습 문제 확인하기
안개가 주로 언제 생 기0는지 알아보기
-맑은 날의 아침에 생깁니다.
-일교차가 큰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안개가 끼는 조건을 생 각해 보기
-호수나 강이 있는 곳에서 안개가 잘 생깁니다.
-수증기가 많은 장소에서 생깁니다.
비내리는 날의 구름은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 알아보기
-색깔이 회색이고 어둡습 니다.
-구름의 양이 많아 하늘을 거의 다 덮고 있어 날이 흐립니다.
5'
전체학습
탐구 계획
실험
탐구 계획
실험
활동1.안개발생실험
▣ 안개발생 실험조건과 장치설치 방법 토의하기
안개발생 실험조건 토 의하기
안개발생 실험장치 토 의하기
▣ 안개발생 실험하기
위에서 토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하기
실험을 할 때 주의사 항 이야기하기
-뜨거운 물을 갑자기 부 으면 집기병이 깨질 수 있으므로 서서히 붓도록 한다.
-따듯한 물을 넣고 집기 병의 물을 쏟을 때에는 면장갑을 끼고 한다.
-얼음을 얼릴 때, 실을 같이 넣고 얼려서 비닐 봉지에 싸지 않고 직접 넣어도 효과적이다.
▣ 안개발생 실험관찰하기
집기병 속 관찰하기
활동2. 빗방울 생기는 과정 실험
▣ 빗방울이 생기는 실험 방법 토의하기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토의하기
▣ 빗방울이 생기는 과정 실험하기
위에서 토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하기
실험을 할 때 주의사 항 이야기하기
-비커 대신에 입구가 큰 병이나 또는 수조를 사용 해도 무방하다. 또, 알코 올 램프로 가열하면서 관 찰을 하는 방법도 있다.
▣ 빗발울이 생기는 실험관찰하기
집기병 속 관찰하기
활동1.안개발생실험
▣ 안개발생 실험조건과 장치설치 방법 토의하기
안개발생 실험조건 토 의하기
-병 안의 습도를 높게 합니다.
-병 안의 온도를 낮아 지게 합니다.
안개발생 실험장치 토 의하기
-집기병에 따뜻한 물 (60~70℃)을 서서히 채워 병 전체가 따뜻해지게 합 니다.
-집기병 전체가 충분히 따 뜻해진 다음, 집기병에 채 웠던 물을 조금만 남기고 쏟아 버립니다.
-얼음을 비닐봉지에 싼 다음, 실로 묶어 병 안에 넣습니다.
-유리병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합니다.
▣ 안개발생 실험하기
위에서 토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하기
실험을 할 때 주의사 항 이야기하기
▣ 안개발생 실험관찰하기
집기병 속 관찰하기
-병속이 뿌옇게 됩니다.
활동2. 빗방울 생기는 과정 실험
▣ 빗방울이 생기는 실험 방법 토의하기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 여 토의하기
-비커에 따듯한 물을 가득 담았다가 ¼정도만 남깁니 다.
-비커 위에 은박지 접시 를 놓고, 그 위에 얼음을 올려놓습니다.
-비커 안에 일어나는 변 화를 관찰합니다.
▣ 빗방울이 생기는 과정 실험하기
위에서 토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하기
실험을 할 때 주의사 항 이야기하기
▣ 빗발울이 생기는 실험관찰하기
집기병 속 관찰하기
-물이 증발하고, 은박지 접 시 바닥 및 비커의 벽에 물방울이 달아붙어 물방울 이 맺힙니다.
-맺힌 물방울이 점점 커지 다가 비가 내리는 것처럼 뚝뚝 떨어지기도 하고, 흘 러 내리기도 합니다.
30'
20'
모둠
학습
모둠학습
모둠학습
◎집기병1개, 얼음 조각 야간, 비닐봉지, 실, 따뜻한 물, 나무 막대(또는 약수저), 면장갑
◎실험관찰 54쪽
◎비커, 따뜻한 물, 은박지 접시, 얼음
◎실험관찰 54쪽
결과 해석 및
결론 도출
▣ 안개가 생기는 과정 설명하기
▣ 안개와 구름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안개와 구름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이야기 하기
▣ 구름이 어떻게 생기는지 생각하기
▣ 비가 내리는 과정 설명하기
▣ 눈이 어떻게 내리는지 생각하기
▣ 안개가 생기는 과정 설명하기
-안개는 공기가 차가워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로 되어 공기 중에 떠 있는 것입니다.
▣ 안개와 구름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안개와 구름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이야기 하기
-같은 점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로 되어 생긴다는 것입니다.
-다른 점은 안개는 지표 부근에 생긴 것이고, 구름은 높은 곳에 생긴다는 것입니다.
▣ 구름이 어떻게 생기는지 생각하기
-지표면 위의 공기가 위로 올라갑니다.
-공기의 온도가 내려갑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합니다.
-물방울의 수가 많아지면 구름이 됩니다.
▣ 비가 내리는 과정 설명하기
-강, 호수, 바다 등에서 물이 많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됩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 온도가 내려가 수증기들이 작은 물방울로 되어 구름이 만들어 집니다.
-구름 속의 크고 작은 물방울들이 한데 뭉쳐 점점 크고 무거워져 공중에 떠 있을 수 없어 떨어지는 것이 비입니다.
▣ 눈이 어떻게 내리는지 생각하기
-강, 호수, 바다 등에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됩니다.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공기가 위로 올라갑니다.
-공기의 온도가 더 내려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얼음으로 되어 구름이 생깁니다.
-구름 속의 얼음 알갱이에 수증기가 계속 달라붙어서 점점 커집니다.
-얼음 알갱이가 커져서 무거워지면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눈이고, 내리면서 녹은 것은 비입니다.
20'
전체학습
학습 내용
정리
▣ 학습 정리하기
안개와 구름의 비교, 빗방울과 눈이 생기는 과정을 다시 한 번 정리하기
▣ 학습 정리하기
안개와 구름의 비교, 빗방울과 눈이 생기는 과정을 다시 한 번 정리하기
2'
전체학습
과학과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판서계획
8. 물의 여행
학습 문제: 안개는 어떻게 생기는지 설명 할 수 있다.
안개와 구름을 비교하여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말할 수 있다.
구름이 생겨 비가 내리는 과정을 설명 할 수 있다.
실험1) 안개발생 실험
실험2) 빗방울이 생기는 과정 실험
평가내용
평가시기
평가 방법
평가 결과
◎
○
△
안개의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수업 중
질문법
안개와 구름의 다른 점을 설명할 수 있는가?
수업 중
질문법
구름이 생겨 비가 내리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수업 중
질문법
○본시평가방법
문제 인식
▣ 학습 문제 확인하기
안개가 주로 언제 생기는지 알아보기
안개가 끼는 조건을 생각해 보기
비내리는 날의 구름은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 알아보기
▣ 학습 문제 확인하기
안개가 주로 언제 생 기0는지 알아보기
-맑은 날의 아침에 생깁니다.
-일교차가 큰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안개가 끼는 조건을 생 각해 보기
-호수나 강이 있는 곳에서 안개가 잘 생깁니다.
-수증기가 많은 장소에서 생깁니다.
비내리는 날의 구름은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 알아보기
-색깔이 회색이고 어둡습 니다.
-구름의 양이 많아 하늘을 거의 다 덮고 있어 날이 흐립니다.
5'
전체학습
탐구 계획
실험
탐구 계획
실험
활동1.안개발생실험
▣ 안개발생 실험조건과 장치설치 방법 토의하기
안개발생 실험조건 토 의하기
안개발생 실험장치 토 의하기
▣ 안개발생 실험하기
위에서 토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하기
실험을 할 때 주의사 항 이야기하기
-뜨거운 물을 갑자기 부 으면 집기병이 깨질 수 있으므로 서서히 붓도록 한다.
-따듯한 물을 넣고 집기 병의 물을 쏟을 때에는 면장갑을 끼고 한다.
-얼음을 얼릴 때, 실을 같이 넣고 얼려서 비닐 봉지에 싸지 않고 직접 넣어도 효과적이다.
▣ 안개발생 실험관찰하기
집기병 속 관찰하기
활동2. 빗방울 생기는 과정 실험
▣ 빗방울이 생기는 실험 방법 토의하기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토의하기
▣ 빗방울이 생기는 과정 실험하기
위에서 토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하기
실험을 할 때 주의사 항 이야기하기
-비커 대신에 입구가 큰 병이나 또는 수조를 사용 해도 무방하다. 또, 알코 올 램프로 가열하면서 관 찰을 하는 방법도 있다.
▣ 빗발울이 생기는 실험관찰하기
집기병 속 관찰하기
활동1.안개발생실험
▣ 안개발생 실험조건과 장치설치 방법 토의하기
안개발생 실험조건 토 의하기
-병 안의 습도를 높게 합니다.
-병 안의 온도를 낮아 지게 합니다.
안개발생 실험장치 토 의하기
-집기병에 따뜻한 물 (60~70℃)을 서서히 채워 병 전체가 따뜻해지게 합 니다.
-집기병 전체가 충분히 따 뜻해진 다음, 집기병에 채 웠던 물을 조금만 남기고 쏟아 버립니다.
-얼음을 비닐봉지에 싼 다음, 실로 묶어 병 안에 넣습니다.
-유리병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합니다.
▣ 안개발생 실험하기
위에서 토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하기
실험을 할 때 주의사 항 이야기하기
▣ 안개발생 실험관찰하기
집기병 속 관찰하기
-병속이 뿌옇게 됩니다.
활동2. 빗방울 생기는 과정 실험
▣ 빗방울이 생기는 실험 방법 토의하기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 여 토의하기
-비커에 따듯한 물을 가득 담았다가 ¼정도만 남깁니 다.
-비커 위에 은박지 접시 를 놓고, 그 위에 얼음을 올려놓습니다.
-비커 안에 일어나는 변 화를 관찰합니다.
▣ 빗방울이 생기는 과정 실험하기
위에서 토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하기
실험을 할 때 주의사 항 이야기하기
▣ 빗발울이 생기는 실험관찰하기
집기병 속 관찰하기
-물이 증발하고, 은박지 접 시 바닥 및 비커의 벽에 물방울이 달아붙어 물방울 이 맺힙니다.
-맺힌 물방울이 점점 커지 다가 비가 내리는 것처럼 뚝뚝 떨어지기도 하고, 흘 러 내리기도 합니다.
30'
20'
모둠
학습
모둠학습
모둠학습
◎집기병1개, 얼음 조각 야간, 비닐봉지, 실, 따뜻한 물, 나무 막대(또는 약수저), 면장갑
◎실험관찰 54쪽
◎비커, 따뜻한 물, 은박지 접시, 얼음
◎실험관찰 54쪽
결과 해석 및
결론 도출
▣ 안개가 생기는 과정 설명하기
▣ 안개와 구름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안개와 구름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이야기 하기
▣ 구름이 어떻게 생기는지 생각하기
▣ 비가 내리는 과정 설명하기
▣ 눈이 어떻게 내리는지 생각하기
▣ 안개가 생기는 과정 설명하기
-안개는 공기가 차가워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로 되어 공기 중에 떠 있는 것입니다.
▣ 안개와 구름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안개와 구름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이야기 하기
-같은 점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로 되어 생긴다는 것입니다.
-다른 점은 안개는 지표 부근에 생긴 것이고, 구름은 높은 곳에 생긴다는 것입니다.
▣ 구름이 어떻게 생기는지 생각하기
-지표면 위의 공기가 위로 올라갑니다.
-공기의 온도가 내려갑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합니다.
-물방울의 수가 많아지면 구름이 됩니다.
▣ 비가 내리는 과정 설명하기
-강, 호수, 바다 등에서 물이 많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됩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 온도가 내려가 수증기들이 작은 물방울로 되어 구름이 만들어 집니다.
-구름 속의 크고 작은 물방울들이 한데 뭉쳐 점점 크고 무거워져 공중에 떠 있을 수 없어 떨어지는 것이 비입니다.
▣ 눈이 어떻게 내리는지 생각하기
-강, 호수, 바다 등에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됩니다.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공기가 위로 올라갑니다.
-공기의 온도가 더 내려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얼음으로 되어 구름이 생깁니다.
-구름 속의 얼음 알갱이에 수증기가 계속 달라붙어서 점점 커집니다.
-얼음 알갱이가 커져서 무거워지면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눈이고, 내리면서 녹은 것은 비입니다.
20'
전체학습
학습 내용
정리
▣ 학습 정리하기
안개와 구름의 비교, 빗방울과 눈이 생기는 과정을 다시 한 번 정리하기
▣ 학습 정리하기
안개와 구름의 비교, 빗방울과 눈이 생기는 과정을 다시 한 번 정리하기
2'
전체학습
과학과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판서계획
8. 물의 여행
학습 문제: 안개는 어떻게 생기는지 설명 할 수 있다.
안개와 구름을 비교하여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말할 수 있다.
구름이 생겨 비가 내리는 과정을 설명 할 수 있다.
실험1) 안개발생 실험
실험2) 빗방울이 생기는 과정 실험
평가내용
평가시기
평가 방법
평가 결과
◎
○
△
안개의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수업 중
질문법
안개와 구름의 다른 점을 설명할 수 있는가?
수업 중
질문법
구름이 생겨 비가 내리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수업 중
질문법
○본시평가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