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리는 부모교육이론을 중국에 도입하고자 할 때, 이와 같은 중국의 문화적 환경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아래의 대표적인 부모교육 이론은 모두 중국의 문화적 환경요인과 충돌을 보이고 있다. 이를테면, 부모교육 이론 중에서 Ginott의 인본주의적 양육이론은 부모로 하여금 자녀의 말을 경청하고 그대로 수용하라고 주장하는 반면에, 중국 부모의 의식은 일반적으로 자녀를 사적인 재산으로 여기기 때문에 무조건 부모의 말을 순종해야 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Berne의 상호교류 분석이론은 부모로 하여금 자녀의 자아 상태를 알고 부모와 자녀지간에 좋은 교제를 이루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중국 부모의 의식에서는 자아를 위축하고 부정하는 경향이 있다. Dreikurs의 민주적 양육이론은 자녀가 미숙하여 부족하지만 한 인간으로서 동등하기 때문에 민주적인 태도로 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중국 부모의 의식은 자녀를 자기의 복제품으로 생각하고 자녀를 평등한 존재로 생각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Gordon의 이론에서는 ‘나의 표현’을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장하는데, 중국부모의 대화방식은 ‘나’라는 일인칭의 직접적인 표현보다 간접적 표현을 더 많이 쓰며, 대화를 문제 해결책이라기보다 감정적 교제라고 생각한다. 행동수정이론은 행동의 관찰과 수정을 중시하지만 중국 부모의 의식은 행동보다 동기를 더 중시한다. 그러므로 부모교육이론과 중국문화 사이에서는 필연적으로 갈등과 충돌이 일어날 수밖에 없으며, 부모교육자들은 부모교육이론이라는 씨앗을 중국의 땅에 뿌릴 때 이와 같은 사회문화적 환경을 철저히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Ⅴ. 중국 북경 유치원 대상인 설문조사
중국 북경 유치원 부모교육의 현황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에 대한 참석여부는 가끔 참석(53.5%)과 자주참석(31.9%)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본다. 참석하지 못하는 이유로서 시간이 없음(61.3%)이 많이 나온 것을 보면,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시간이 없기 때문에 참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모교육 강사로는 유치원 재직교사(40.3%)가 가장 많았고 전문교수(22.2%)와 보육전문가(20.9%)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유치원에서 실시한 부모교육 형태는 부모회(30.3%), 부모참여활동(23.1%), 부모와 교사면담(17.5%), 가정통신 유치원신문(15.9%), 전문가강연(5.3%)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프로그램(PET등)에 참석해본 부모는 20.6%이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마음에 들다(72.8%)와 아주 마음에 들다(27.2%)였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부모교육 필요성에 대한 중국부모의 인식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실시필요성에 대해서는 외동아 부모(69.6%)는 비외동아 부모(53.3%)보다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부모학력에 따라서 석사(32.6%)와 대졸(30.2%)이 중졸(20.0%), 고졸(19.4%), 박사(10.5%)보다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가정 월수입에 따라서 오천원-만원(35.7%)과 만원(27.9%) 수입은 삼천-오천원(18.4%), 천원-삼천원(23.1%), 천원이하(14.3%)보다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수입이 높을수록 부모교육의 필요성에대한 인식이 높았다. 월 교육비에 따라서 팔백원(39.4%)과 천원(31.5%)은 다른 월 교육비를 낸 부모보다 부모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필요 없다(6.3%)고 응답한 비율이 아주 낮은 것으로 보면 응답자의 대부분은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부모학력에 따라 서 중학교졸(30.4%)이 고졸(14.8%), 대학교졸(15.0%), 석사졸(0%), 박사졸(10.5%)보다 부모가 유아를 이해할 필요성의 비율에서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유아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가정월수입에 따라서 만원 수입(30.5%)의 부모는 오천-만원의 수입(14.3%), 삼천-오천원(11.8%), 천원-삼천원(16.1%) 수입의 부모보다, 부모와 교사 상호협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부모와 교사 상호협조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아버지교육의 실시에 대해서 필요하다(57.5%)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지만 필요없다(30.3%)고 응답한 비율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아버지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적지 않은 응답자가 아버지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했다.
유아교육을 주로 누가 담당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자녀성별에 따라서 여아(14.0%)의 부모는 남아(8.7%)의 부모보다 유아교육 담당자가 부모이어야 한다고 하는 인식에서 강했다. 외동아의 부모(86.1%)는 비외동아(65.2%)보다 유아교유의 담당자가 부모와 교사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더 높다. 월수입 천원이하(62.5%)의 저소득부모는 다른 월수입보다 유아교육의 담당자는 부모이어야 하며 반대로 다른 월수입의 부모는 유아교육 담당자(80%이상)는 부모와 교사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와 교사(83.1%)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우해단, 중국 북경 유치원의 부모교육에 관한 인식과 요구 조사, 배재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석사, 2007.
유승후, 자유중국의 교육목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 1991.
송명자, 유치원교육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어머니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2004.
고효단, 중국의 영재교육-비지적 요인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2003.
于, 家庭育中的人格育, 士位文, 2004。
中院, 90年中童展要, 1992。
家育部, 全女合, 家育行, 2005。
王炳照等, 明中育史, 北京范大出版社, 1994。
王春燕, 中前程百年展革的史究, 育科出版社, 2004。
王俊, 2-4幼不服行和母方式究, 2003。
生兆欣, 析幼家庭育中的父母威, 士位文, 2005。
方建移等社, 社會敎育童社性展, 浙江育出版社, 2005。
李生, 前童家庭育, 范大出版社, 2006。
李燕, 子系的育哲分析, 博士位文, 2005。
Ⅴ. 중국 북경 유치원 대상인 설문조사
중국 북경 유치원 부모교육의 현황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에 대한 참석여부는 가끔 참석(53.5%)과 자주참석(31.9%)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본다. 참석하지 못하는 이유로서 시간이 없음(61.3%)이 많이 나온 것을 보면,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시간이 없기 때문에 참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모교육 강사로는 유치원 재직교사(40.3%)가 가장 많았고 전문교수(22.2%)와 보육전문가(20.9%)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유치원에서 실시한 부모교육 형태는 부모회(30.3%), 부모참여활동(23.1%), 부모와 교사면담(17.5%), 가정통신 유치원신문(15.9%), 전문가강연(5.3%)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프로그램(PET등)에 참석해본 부모는 20.6%이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마음에 들다(72.8%)와 아주 마음에 들다(27.2%)였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부모교육 필요성에 대한 중국부모의 인식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실시필요성에 대해서는 외동아 부모(69.6%)는 비외동아 부모(53.3%)보다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부모학력에 따라서 석사(32.6%)와 대졸(30.2%)이 중졸(20.0%), 고졸(19.4%), 박사(10.5%)보다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가정 월수입에 따라서 오천원-만원(35.7%)과 만원(27.9%) 수입은 삼천-오천원(18.4%), 천원-삼천원(23.1%), 천원이하(14.3%)보다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수입이 높을수록 부모교육의 필요성에대한 인식이 높았다. 월 교육비에 따라서 팔백원(39.4%)과 천원(31.5%)은 다른 월 교육비를 낸 부모보다 부모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필요 없다(6.3%)고 응답한 비율이 아주 낮은 것으로 보면 응답자의 대부분은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부모학력에 따라 서 중학교졸(30.4%)이 고졸(14.8%), 대학교졸(15.0%), 석사졸(0%), 박사졸(10.5%)보다 부모가 유아를 이해할 필요성의 비율에서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유아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가정월수입에 따라서 만원 수입(30.5%)의 부모는 오천-만원의 수입(14.3%), 삼천-오천원(11.8%), 천원-삼천원(16.1%) 수입의 부모보다, 부모와 교사 상호협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부모와 교사 상호협조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아버지교육의 실시에 대해서 필요하다(57.5%)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지만 필요없다(30.3%)고 응답한 비율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아버지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적지 않은 응답자가 아버지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했다.
유아교육을 주로 누가 담당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자녀성별에 따라서 여아(14.0%)의 부모는 남아(8.7%)의 부모보다 유아교육 담당자가 부모이어야 한다고 하는 인식에서 강했다. 외동아의 부모(86.1%)는 비외동아(65.2%)보다 유아교유의 담당자가 부모와 교사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더 높다. 월수입 천원이하(62.5%)의 저소득부모는 다른 월수입보다 유아교육의 담당자는 부모이어야 하며 반대로 다른 월수입의 부모는 유아교육 담당자(80%이상)는 부모와 교사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와 교사(83.1%)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우해단, 중국 북경 유치원의 부모교육에 관한 인식과 요구 조사, 배재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석사, 2007.
유승후, 자유중국의 교육목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 1991.
송명자, 유치원교육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어머니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2004.
고효단, 중국의 영재교육-비지적 요인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2003.
于, 家庭育中的人格育, 士位文, 2004。
中院, 90年中童展要, 1992。
家育部, 全女合, 家育行, 2005。
王炳照等, 明中育史, 北京范大出版社, 1994。
王春燕, 中前程百年展革的史究, 育科出版社, 2004。
王俊, 2-4幼不服行和母方式究, 2003。
生兆欣, 析幼家庭育中的父母威, 士位文, 2005。
方建移等社, 社會敎育童社性展, 浙江育出版社, 2005。
李生, 前童家庭育, 范大出版社, 2006。
李燕, 子系的育哲分析, 博士位文, 2005。
키워드
추천자료
부모교육의 개념과 4가지 이론
보육시설에서의 부모교육프로그램실태 및 문제점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교육(인본주의, 기노트)
[부모교육]부모교육(부모지도)의 정의와 필요성, 부모교육(부모지도) 프로그램의 의의, 부모...
유아교육의 의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의 필요성,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유형과 방법,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장점,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프로그램의 내...
드라이커스(Dreikurs)의 민주적 부모교육 이론
[부모교육]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배경과 정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기관중심 부모교...
자신만의 부모교육프로그램 작성하기
[부모父母교육] 드라이커스의 민주적 양육방식이론
민주주의 교육이론과 인본주의 교육이론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 이 중 한 이론을 선택 문제가 ...
부모교육_현대사회에 요구되는 부모역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발달이론 중 한 가지를 선택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