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력
2. 간호진단
3. 간호수행
2. 간호진단
3. 간호수행
본문내용
료는 기관지 확장을 돕는다.
날짜
진단
번호
간호수행
서명
10월
30일
#1
“ 집에 가서도 당 조절이 돼야 하는데 이렇게 당 조절이 잘 안되네..”
(객관적 자료-sugar check )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식 부족
처방된 시간마다 sugar check를 한다.
(객관적 자료에 표기됨)
식사하실 때 식이를 관찰한다.
(병원에서는 처방된 당뇨식이를 학고 계심)
처방된 인슐린을 투여한다.(po med 및 injection)
(po med로 인슐린을 투약하였음)
집에서 할 수 있도록 소변 검사와 당 검사법을 교육한다.
*자가 혈당 측정법
1.흐르는 물에 비누로 깨끗이 닦고 말리거나 알코올로 소독한 경우는 완전히 마른다음에 실시합니다.
2.손을 따뜻하게 하고 약 10~15초 동안 아래로 떨 군 후 채혈하려는 손가락의 끝 방향으로 압박을 주면서 밀어 피가 모이 도록합니다.
3. 이때 기계를 켜고 검사용 시험지와 혈당기의 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4.검사용 시험지를 삽입 홈에 깊숙이 끼우고 나서 손가락의 가장자리에서 채혈합니다.
5.손끝 가장자리를 찌른 후 피가 충분히 나오도록 손가락을 심장보다 낮추어 살짝 손끝을 누릅니다.
6.화면에 혈액을 떨어뜨리라는 표시가 나오면 시험지 반응 부위에 충분한 양의 혈액을 떨어뜨립니다.
7.결과를 기다리고 그 결과를 당뇨 수첩에 기록합니다.
식사 균일성의 역할, 당뇨병, 통제의 규칙성을 간단히 교육 하고 식이요법을 교육한다.
*당뇨 식이요법
1.곡류 (씨눈 달린 곡식류 예: 현미, 좁쌀, 통보리, 콩 등등)
2.채소류
3.버섯류 (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능이버섯 등)
4.해조류 (다시마, 김, 미역 등)
5.과일류 (당분보다는 과일에 들어있는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이 더 유익한 작용을 한다. 그러나 한꺼번에 많이 먹는 것 보다는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다.)
당뇨병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 스트레스, 질병의 역할 을 설명해 준다.
*당 치료에 도움이 되는 요법
1.장운동을 한다. 양손을 아랫배 단전에 대고 배를 내밀고 당기기를 반복한다.
2.발끝 부딪치기를 200회 이상해준다. 상체의 화기를 아래로 내려주는 효과가 있다.
3.족삼리혈을 엄지손가락으로 5회 정도 가볍게 눌러주거나 주먹을 쥐고 두드려준다.
4.뒷머리와 목이 연결되는 움푹 들어간 곳을 엄지손가락으로 5회 정도 가볍게 눌러 준다.
날짜
진단
번호
간호 수행
서명
10월
30일
#2
“ 숨쉬기가 좀 힘든 것 같아서 입원했는데 지금은 많이 괜찮아 진것같아..“
- O2 inhalation을 하고계심
- 네뷸라이저를 하고계심
- 갈라지는 목소리
천식 및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관련된 호흡양상의 비효율성
V/S 특히 호흡의 양상, 호흡수를 정확히 사정한다.
(평균 BP 110-70 T-36˚ R-18 P-82)
환자의 안위를 제공하는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좌위,반좌위를 교육하였고 잘 하고 계셨음)
처방된 산소요법을 실시한다.
(산소요법이 처방되었고 잘 하고 계셨음)
네블라이저 사용법을 교육한다.
(네블라이저 기계 사용법과 약물에 대해 설명함)
호흡을 돕기 위한 복식 호흡 법을 교육한다.
*복식호흡 방법
1.바닥에 편안히 눕고 두 눈을 감는다. 바닥에 몸을 맡기듯이 근육을 이완시킨다.
2.한 손은 배 위에, 다른 손은 가슴에 올려놓는다. 손으로 호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손이 아니라 두꺼운 책을 올려놓아도 좋다. 배의 근육을 단련시키면 복식호흡이 더욱 쉬워지기 때문이다.
3.코를 통해 천천히, 가능한 한 깊게 숨을 마시면서 배를 최대한 내민다.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손으로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숨을 들이마셔야 한다. 이때 어깨와 가슴이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4.숨을 잠시 멈춘다. 숨을 최대한 들이마신 상태에서 1초 정도 숨을 멈추면 호흡법을 연습하는데 도움이 된다.
5.숨을 뱉어 배를 완전히 수축시킨다. 코나 입을 통해 천천히 배가 쏙 들어갈 정도로 숨을 내쉰다. 입을 벌려 ‘후~~’하고 소리를 내듯 숨을 뱉어도 된다. 들숨과 날숨의 비율은 1:2 정도가 되어야 하지만, 초보자는 이 간격을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최대한 길게 내뱉는다는 생각으로 호흡한다.
6.차츰 횟수를 늘려간다. 처음엔 1분에 10회 정도, 차츰 익숙해지면 1분에 6~8회 정도씩 호흡한다. 하루에 3번, 한번에 3분씩만 해도 2주쯤 후에는 몸이 가뿐해지는 걸 느낄 수 있다.
이완 요법을 교육한다.
(복식 호흡 시에 같이 병행 하여 실시한다.)
안정을 취하고 가능한 말하는 것을 줄이도록 한다.
(에너지를 보존하고 산소요구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휴식기간을 마련하면서 활동하시도록 교육한다.
(효율적인 호흡을 하기 위함이다.)
발생
날짜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과학적근거
진단
번호
주관적증상
객관적증상
원인
양상
기대하는 결과및시한부
2009/
3/9
#2
“ 집에 가서도 당 조절이 돼야 하는데 이렇게 당 조절이 잘 안되네..”
-네뷸라이저를 하고 계심
-O2 inhalation을 하고계심
-호흡시 쉭쉭거리는 소리가 들림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집에서도 자가 당조절 이 가능하다.
퇴원시 까지 당조절이 가능하다.
퇴원시 까지 치료처방을 유지하는 방법을 안다.
단기적
처방된 시간마다 sugar check를 한다.
식사하실 때 식이를 관찰한다.
처방된 인슐린을 투여한다.(pomed 및 injection)
장기적
집에서 할 수 있도록 소변 검사와 당 검사법을 교육 한다.
식사 균일성의 역할,당뇨병, 통제의 규칙성을 간단히 교 육하고 식이요법을 교육한 다.
당뇨병 조절에 영향을 미치 는 운동, 스트레스, 질병의 역할을 설명해 준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인 경우 인슐린 투여가 생명에 필 수 적이다.
- 혈액으로 당 검사를 하는 것은 필요시에 자신에게 처방된 인슐린, 식이, 운동을 변경시키면서 의사의 지시를 지킬 수 있는 더 정확한 가정에서의 측정 방법이다.
-운동은 혈당치를 감소하고 일정한 당뇨병의 조절을 보증하기 위하여 매일 실시해야 한다.
-스트레스와 질병은 식이, 인슐린의 요구량을 변경 시킬 수 있다.-
날짜
진단
번호
간호수행
서명
10월
30일
#1
“ 집에 가서도 당 조절이 돼야 하는데 이렇게 당 조절이 잘 안되네..”
(객관적 자료-sugar check )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식 부족
처방된 시간마다 sugar check를 한다.
(객관적 자료에 표기됨)
식사하실 때 식이를 관찰한다.
(병원에서는 처방된 당뇨식이를 학고 계심)
처방된 인슐린을 투여한다.(po med 및 injection)
(po med로 인슐린을 투약하였음)
집에서 할 수 있도록 소변 검사와 당 검사법을 교육한다.
*자가 혈당 측정법
1.흐르는 물에 비누로 깨끗이 닦고 말리거나 알코올로 소독한 경우는 완전히 마른다음에 실시합니다.
2.손을 따뜻하게 하고 약 10~15초 동안 아래로 떨 군 후 채혈하려는 손가락의 끝 방향으로 압박을 주면서 밀어 피가 모이 도록합니다.
3. 이때 기계를 켜고 검사용 시험지와 혈당기의 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4.검사용 시험지를 삽입 홈에 깊숙이 끼우고 나서 손가락의 가장자리에서 채혈합니다.
5.손끝 가장자리를 찌른 후 피가 충분히 나오도록 손가락을 심장보다 낮추어 살짝 손끝을 누릅니다.
6.화면에 혈액을 떨어뜨리라는 표시가 나오면 시험지 반응 부위에 충분한 양의 혈액을 떨어뜨립니다.
7.결과를 기다리고 그 결과를 당뇨 수첩에 기록합니다.
식사 균일성의 역할, 당뇨병, 통제의 규칙성을 간단히 교육 하고 식이요법을 교육한다.
*당뇨 식이요법
1.곡류 (씨눈 달린 곡식류 예: 현미, 좁쌀, 통보리, 콩 등등)
2.채소류
3.버섯류 (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능이버섯 등)
4.해조류 (다시마, 김, 미역 등)
5.과일류 (당분보다는 과일에 들어있는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이 더 유익한 작용을 한다. 그러나 한꺼번에 많이 먹는 것 보다는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다.)
당뇨병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 스트레스, 질병의 역할 을 설명해 준다.
*당 치료에 도움이 되는 요법
1.장운동을 한다. 양손을 아랫배 단전에 대고 배를 내밀고 당기기를 반복한다.
2.발끝 부딪치기를 200회 이상해준다. 상체의 화기를 아래로 내려주는 효과가 있다.
3.족삼리혈을 엄지손가락으로 5회 정도 가볍게 눌러주거나 주먹을 쥐고 두드려준다.
4.뒷머리와 목이 연결되는 움푹 들어간 곳을 엄지손가락으로 5회 정도 가볍게 눌러 준다.
날짜
진단
번호
간호 수행
서명
10월
30일
#2
“ 숨쉬기가 좀 힘든 것 같아서 입원했는데 지금은 많이 괜찮아 진것같아..“
- O2 inhalation을 하고계심
- 네뷸라이저를 하고계심
- 갈라지는 목소리
천식 및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관련된 호흡양상의 비효율성
V/S 특히 호흡의 양상, 호흡수를 정확히 사정한다.
(평균 BP 110-70 T-36˚ R-18 P-82)
환자의 안위를 제공하는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좌위,반좌위를 교육하였고 잘 하고 계셨음)
처방된 산소요법을 실시한다.
(산소요법이 처방되었고 잘 하고 계셨음)
네블라이저 사용법을 교육한다.
(네블라이저 기계 사용법과 약물에 대해 설명함)
호흡을 돕기 위한 복식 호흡 법을 교육한다.
*복식호흡 방법
1.바닥에 편안히 눕고 두 눈을 감는다. 바닥에 몸을 맡기듯이 근육을 이완시킨다.
2.한 손은 배 위에, 다른 손은 가슴에 올려놓는다. 손으로 호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손이 아니라 두꺼운 책을 올려놓아도 좋다. 배의 근육을 단련시키면 복식호흡이 더욱 쉬워지기 때문이다.
3.코를 통해 천천히, 가능한 한 깊게 숨을 마시면서 배를 최대한 내민다.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손으로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숨을 들이마셔야 한다. 이때 어깨와 가슴이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4.숨을 잠시 멈춘다. 숨을 최대한 들이마신 상태에서 1초 정도 숨을 멈추면 호흡법을 연습하는데 도움이 된다.
5.숨을 뱉어 배를 완전히 수축시킨다. 코나 입을 통해 천천히 배가 쏙 들어갈 정도로 숨을 내쉰다. 입을 벌려 ‘후~~’하고 소리를 내듯 숨을 뱉어도 된다. 들숨과 날숨의 비율은 1:2 정도가 되어야 하지만, 초보자는 이 간격을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최대한 길게 내뱉는다는 생각으로 호흡한다.
6.차츰 횟수를 늘려간다. 처음엔 1분에 10회 정도, 차츰 익숙해지면 1분에 6~8회 정도씩 호흡한다. 하루에 3번, 한번에 3분씩만 해도 2주쯤 후에는 몸이 가뿐해지는 걸 느낄 수 있다.
이완 요법을 교육한다.
(복식 호흡 시에 같이 병행 하여 실시한다.)
안정을 취하고 가능한 말하는 것을 줄이도록 한다.
(에너지를 보존하고 산소요구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휴식기간을 마련하면서 활동하시도록 교육한다.
(효율적인 호흡을 하기 위함이다.)
발생
날짜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과학적근거
진단
번호
주관적증상
객관적증상
원인
양상
기대하는 결과및시한부
2009/
3/9
#2
“ 집에 가서도 당 조절이 돼야 하는데 이렇게 당 조절이 잘 안되네..”
-네뷸라이저를 하고 계심
-O2 inhalation을 하고계심
-호흡시 쉭쉭거리는 소리가 들림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집에서도 자가 당조절 이 가능하다.
퇴원시 까지 당조절이 가능하다.
퇴원시 까지 치료처방을 유지하는 방법을 안다.
단기적
처방된 시간마다 sugar check를 한다.
식사하실 때 식이를 관찰한다.
처방된 인슐린을 투여한다.(pomed 및 injection)
장기적
집에서 할 수 있도록 소변 검사와 당 검사법을 교육 한다.
식사 균일성의 역할,당뇨병, 통제의 규칙성을 간단히 교 육하고 식이요법을 교육한 다.
당뇨병 조절에 영향을 미치 는 운동, 스트레스, 질병의 역할을 설명해 준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인 경우 인슐린 투여가 생명에 필 수 적이다.
- 혈액으로 당 검사를 하는 것은 필요시에 자신에게 처방된 인슐린, 식이, 운동을 변경시키면서 의사의 지시를 지킬 수 있는 더 정확한 가정에서의 측정 방법이다.
-운동은 혈당치를 감소하고 일정한 당뇨병의 조절을 보증하기 위하여 매일 실시해야 한다.
-스트레스와 질병은 식이, 인슐린의 요구량을 변경 시킬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