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연의 31 32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연의 31 3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삼국연의 제 31회 조조의 창정이 본초[원소]를 깨고 유현덕은 형주에서 유표에 의탁한다
삼국연의 제 32회 기주의 원상이 선봉을 다투다가 장하의 물을 터뜨리게 허유가 계책을 바치다

본문내용

第三十一回 曹操倉亭 창정:산둥성 양구현 여양(黎陽) 부근의 창정진(倉亭津)
破本初 玄德荊州依劉表
제삼십일회 조조창정파본초 현덕형주의유표.
삼국연의 제 31회 조조의 창정이 본초[원소]를 깨고 유현덕은 형주에서 유표에 의탁한다.
說曹操乘袁紹之敗, 整頓軍馬, (비스듬할 이; -총9획; y,yi)
(이어질 리{이}; -총23획; li) 이리: 끊임없이 이어지는 모양
追襲 추습:뒤쫓아가서 습격(襲擊)함

각설조조승원소지패 정돈군마 이리추습
각설하고 조조가 원소의 패배를 틈타서 군마를 정돈하여 연달아 추격하여 습격하였다.
袁紹幅巾폭건: 검정 헝겊으로 위는 둥글고 삐죽하게 만들며, 뒤에 낮은 자락이 길게 늘어지고 양 옆에 끈이 있어서 뒤로 돌려 맨다. 1폭의 천으로 만들기 때문에 복건이라고 불렀다. 옷감은 겨울에는 흑단(黑緞), 여름에는 흑사(黑紗)로 만들었고, 사계절 흑갑사(黑甲紗)만을 쓰기도 했다. 고대 중국에서 관을 대신하여 쓰기 시작한 것이 시초인데, 후한대(後漢代)부터 유행하여 진(晋) ·당(唐) 때에는 은사와 도인들이 멋으로 썼고 송대(宋代)에는 유학자들도 썼다. 한국에서는 모습이 괴상하여 일반화하지 못하고 극소수의 유생만이 착용하였으며, 미혼 남자들이 통상 예복에 착용하였다. 지금은 어린아이들의 장식으로 돌날에 복건을 씌운다.
單衣, 引八百餘騎, 奔至黎陽 黎陽:지금의 허난성 쉰현 浚縣 동쪽
北岸, 大將蔣義渠 將義渠 159~:원소(袁紹)의 장수. 관도대전시 원소군 대장군이었으며 조조(曹操)에게 패한 원소를 기주로 귀환시킨 후 조조에게 항복한다.
出寨迎接。
원소폭건단의 인팔백여기 분지여양북안 대장장의거출채영접.
원소는 폭건으로 홋

키워드

조조,   삼국지,   유현덕,   형주,   유표,   장하,   허유,   원상
  • 가격7,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11.04.08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