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시대적 상황과 최치원
3. 최치원의 사상
4. 최치원의 문학
5. 최치원의 문학사적 의의
2. 시대적 상황과 최치원
3. 최치원의 사상
4. 최치원의 문학
5. 최치원의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작품은 흘러가는 물의 형상과 소리의 이중적 이미지를 통해 내면의 처지를 피력한다. 즉 돌덩이에 부딪히며 흘러가는 시냇물의 소리는 지척 간에 있는 사람들의 소리조차 잘 들리지 않게 하니 하물며 먼 곳의 시비성은 두말할 여지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역설적이게도 아직 시인이 세속을 완전하게 잊지 못했음을 말해 준다. 진정 그가 세속에 연연하지 않게 되었다면 시냇물 소리로 하여금 자기가 있는 산을 둘러싸게 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5. 최치원의 문학사적 의미
최치원은 위대한 시인이요 문장가이며 정치가, 사상가, 학자였다. 그를 두고 한문학의 조종(祖宗)이니, 동국문종(東國文宗)이니 하는 것은 그가 우리 역사에 미친 학문적, 문학적, 사상적인 업적이 얼마나 컸던가를 알려 주는 단적인 예가 된다.
국내에서나 국외에서, 정치에 나아가거나 물러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든지 최치원은 거기에 맞게 대응하였다. 외국에 나가서는 이국의 문물을 배우는 것은 물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혼신의 힘을 다했고, 귀국해서는 나라의 정치를 바로 잡기 위하여 선정을 펴고 정무를 처리했다. 또 이념적, 종교적인 종합을 꾀하고 당시 세계 보편문학 중 하나인 한문학을 차원 높게 수용발전 시킴으로써 한 시대 문화인이 최대치를 보여 주었다하겠다
그의 위대성은 이러한 거창한 데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한 인간으로서 자기의 포부를 달성하고 자기 실현을 위하여 일생 동안 쉬지 않고 노력하는 삶을 살았다는 것이다. 어린 나이에 유학을 떠난 일, 학문을 이루기 위하여 기울인 피나는 노력, 획득한 역량을 나라를 위해 끝까지 바치려 했던 정성이 바로 그 좋은 예이다. 이상과 괴리된 현실 속에서 인간적인 고뇌를 솔직히 남에게 보이면서 자기 일생을 정성스럽게 살았다는 점, 그 결과 우리 민족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음은 물론, 세계사에까지 명성을 드날린 점은 일상적인 자아에 매몰되어 살아가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커다란 교훈이 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성악희, 「최치원의 시정신 연구」, 중앙 대학원, 1986
김미경, 「최치원의 삼교융합사상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2000
민족문학사연구론, 『한국 고전 문학 작가론』, 「남북국시대 지식인의 고뇌와 문학」, 소명, 1993
이재운, 「최치원 연구」, 백산 자료원, 1999
최영성, 『최치원 전집』, 「고운문집」, 아세아 문화사, 1999
최영성, 『최치원의 철학사상』, 아세아 문화사, 2001
5. 최치원의 문학사적 의미
최치원은 위대한 시인이요 문장가이며 정치가, 사상가, 학자였다. 그를 두고 한문학의 조종(祖宗)이니, 동국문종(東國文宗)이니 하는 것은 그가 우리 역사에 미친 학문적, 문학적, 사상적인 업적이 얼마나 컸던가를 알려 주는 단적인 예가 된다.
국내에서나 국외에서, 정치에 나아가거나 물러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든지 최치원은 거기에 맞게 대응하였다. 외국에 나가서는 이국의 문물을 배우는 것은 물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혼신의 힘을 다했고, 귀국해서는 나라의 정치를 바로 잡기 위하여 선정을 펴고 정무를 처리했다. 또 이념적, 종교적인 종합을 꾀하고 당시 세계 보편문학 중 하나인 한문학을 차원 높게 수용발전 시킴으로써 한 시대 문화인이 최대치를 보여 주었다하겠다
그의 위대성은 이러한 거창한 데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한 인간으로서 자기의 포부를 달성하고 자기 실현을 위하여 일생 동안 쉬지 않고 노력하는 삶을 살았다는 것이다. 어린 나이에 유학을 떠난 일, 학문을 이루기 위하여 기울인 피나는 노력, 획득한 역량을 나라를 위해 끝까지 바치려 했던 정성이 바로 그 좋은 예이다. 이상과 괴리된 현실 속에서 인간적인 고뇌를 솔직히 남에게 보이면서 자기 일생을 정성스럽게 살았다는 점, 그 결과 우리 민족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음은 물론, 세계사에까지 명성을 드날린 점은 일상적인 자아에 매몰되어 살아가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커다란 교훈이 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성악희, 「최치원의 시정신 연구」, 중앙 대학원, 1986
김미경, 「최치원의 삼교융합사상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2000
민족문학사연구론, 『한국 고전 문학 작가론』, 「남북국시대 지식인의 고뇌와 문학」, 소명, 1993
이재운, 「최치원 연구」, 백산 자료원, 1999
최영성, 『최치원 전집』, 「고운문집」, 아세아 문화사, 1999
최영성, 『최치원의 철학사상』, 아세아 문화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