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계정당성의 원리
2. 소급입법금지의 원칙
3. 신뢰보호의 원칙
* 참고자료
2. 소급입법금지의 원칙
3. 신뢰보호의 원칙
* 참고자료
본문내용
대한 공익상의 사유가 소급입법을 정당화하는 경우 등 특단의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반면에 부진정소급효는 원칙적으로 허용되나 단지 소급효를 요구하는 공익상의 사유와 신뢰보호의 요청 사이의 교량과정에서 신뢰보호의 관점이 입법자의 형성권에 제한을 가할 뿐이라고 하고 있다(헌법재판소 1996. 2. 16. 96헌가2 등). 진정소급효는 과거에 대한 새로운 법적 평가로서 소급효에 관한 것이고, 부진정소급효는 개정법령을 현재와 미래에 대하여 적용하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부진정소급효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소급효의 문제라기보다는 신법을 기존의 법률관계에 적용하는 문제, 즉 국가가 국민에게 신뢰의 근거를 제공한 경우 어느 정도로 국가가 자신의 사전적 행위에 구속되는가 하는 문제로서 결국 경과규정의 문제로 귀착된다. 신뢰보호 원칙의 위반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침해받는 이익의 보호가치, 침해의 정도, 신뢰의 손상정도, 신뢰침해의 방법 등과 새 입법을 통하여 실현하고자 하는 공익적 목적을 종합적으로 비교형량하여야 한다. 헌법재판소 결정의 대부분도 부진정소급효를 갖는 법률에 있어서 국가의 법률개정 이익과 개인의 신뢰이익을 비교형량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다.
반면에 부진정소급효는 원칙적으로 허용되나 단지 소급효를 요구하는 공익상의 사유와 신뢰보호의 요청 사이의 교량과정에서 신뢰보호의 관점이 입법자의 형성권에 제한을 가할 뿐이라고 하고 있다(헌법재판소 1996. 2. 16. 96헌가2 등). 진정소급효는 과거에 대한 새로운 법적 평가로서 소급효에 관한 것이고, 부진정소급효는 개정법령을 현재와 미래에 대하여 적용하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부진정소급효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소급효의 문제라기보다는 신법을 기존의 법률관계에 적용하는 문제, 즉 국가가 국민에게 신뢰의 근거를 제공한 경우 어느 정도로 국가가 자신의 사전적 행위에 구속되는가 하는 문제로서 결국 경과규정의 문제로 귀착된다. 신뢰보호 원칙의 위반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침해받는 이익의 보호가치, 침해의 정도, 신뢰의 손상정도, 신뢰침해의 방법 등과 새 입법을 통하여 실현하고자 하는 공익적 목적을 종합적으로 비교형량하여야 한다. 헌법재판소 결정의 대부분도 부진정소급효를 갖는 법률에 있어서 국가의 법률개정 이익과 개인의 신뢰이익을 비교형량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다.
추천자료
[헌법][한국헌법][대한민국헌법][헌법제정][헌법개정][헌법 기본질서]헌법의 개념, 헌법의 분...
[헌법재판제도][헌법재판소]헌법재판제도(헌법재판소)의 개념과 특성, 한국의 헌법재판제도(...
[대한민국헌법][헌법][한국헌법]대한민국헌법의 의의, 대한민국헌법의 기본원리, 대한민국헌...
[헌법재판 심판][헌법재판소 운영현황][헌법재판소 문제][한국 헌법재판소제도][외국 헌법재...
[헌법][헌법재판소][세계 주요국 헌법재판제도]헌법의 개념, 헌법의 특성, 헌법의 기본원리, ...
[헌법][한국헌법][대한민국헌법]헌법의 개념, 헌법의 분류, 헌법의 특성과 헌법의 기능, 헌법...
[제헌절][헌법][대한민국헌법][헌법제정][대한민국 헌법 전문][제헌절의 정의][헌법의 의미][...
[헌법, 입헌주의, 민주주의, 지방자치단체, 사회정의, 기본권]헌법과 입헌주의, 헌법과 민주...
[헌법, 헌법 개념, 헌법 분류, 헌법 기능, 헌법 역사, 헌법 실질, 헌법 보장, 헌법 해석]헌법...
[법][법 분류][법 이념][법해석][헌법해석][법률해석][이념][해석][헌법][법률]법의 분류, 법...
헌법적 차원에서의 공익과 사익- 기본적 관점과 헌법상의 사익으로서의 기본권의 유형 및 공...
[독후감·서평·요약] 한국인이 읽어야 할 일본헌법을 읽고 - 일본헌법과 한국헌법 제정의 배경...
[법학개론 法學槪論] ≪대한민국헌법의 역사(헌정사, 헌법사)≫ 제1공화국 헌법부터 제6공화국 ...
헌법 제119조 제2항 : 우리나라 현행 헌법상 경제의 민주화 조항(헌법 제119조 제2항)이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