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리
Ⅱ. 이론적 배경
1. 수학학습장애 아동
2.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교육방법
3. 수학학습장애아동이 연산오류유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 설계와 절차
Ⅳ. 연구결과
1.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특성
2.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덧셈 오류 특성
3.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뺄셈 오류 특성
Ⅴ. 고찰
1. 방법의 고찰
2. 결과의 고찰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리
Ⅱ. 이론적 배경
1. 수학학습장애 아동
2.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교육방법
3. 수학학습장애아동이 연산오류유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 설계와 절차
Ⅳ. 연구결과
1.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특성
2.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덧셈 오류 특성
3.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뺄셈 오류 특성
Ⅴ. 고찰
1. 방법의 고찰
2. 결과의 고찰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본문내용
이 뚜렷하다.
② 수학학습장애아동의 덧셈에서는 전체적으로 계산상의 오류가 많았다. 그리고 순차처리형 수학 학습장애아동은 연산기호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데서 오류가 발생하는 조작오류가 많았고 동시처리형 수학학습장애아동은 순서나 단계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알고리즘오류가 많았다. 즉 수학학습장애아동에게는 문제를 이해하거나 숙고하는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단순한 계산오류가 많았고, 순차처리형 아동에게는 공간적인지가 필요한 연산기호의 인지가 힘들기 때문에 조작오류 유형이 많았으며 동시처리형 아동에게는 단계적이고 순서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연산의 기초적 방법 습득곤란으로 인한 알고리즘오류유형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③ 수학학습장애아동의 뺄셈에서도 전체적으로 계산상의 오류가 많았고,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오류유형의 차이는 없었지만 순차처리형 수학 학습장애아동은 덧셈과 마찬가지로 조작오류가 많았고 동시처리형 수학학습장애아동은 알고리즘오류가 많았다. 즉 수학학습장애아동에게는 뺄셈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문제를 이해와 인지적 처리가 미숙한 특징이 있었으며, 순차처리형 아동에게는 연산기호에 대한인지가 부족하였고, 동시처리형 아동에게는 순서에 따른 계산과정을 인지하는 능력이 부족하였다. 그러나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뺄셈에서의 오류유형을 정확히 규정할 수 없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2. 제언
① 수학학습장애아동의 학업성취의 실패는 신경심리학적, 행동주의적인 것에 원인이 있기보다는 인지처리능력의 부족 때문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즉 연산이나 기타 수학과에서의 실패를 단수니 실수가 많거나 주의력이 결핍되어 있다고 보기보다는 문제를 이해하고 깊이 있게 파악하는데 필요한 문제이해전략의 부족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② 수학학습장애아동들의 인지처리양식에 알맞은 지도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즉 수학학습장애아동이 가지고 있는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지도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③ 수학학습장애아동에게서 부족하기 쉬운 인지적인 능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다양한 인지전략을 활용하여 지도할 수 있는 인지전략수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④ 이 연구에서 밝혀진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오류유형이나 지도전략에 관한 여러 가지 결과들을 수학의 다른 영역과 다른 교과에 확대하여 그 효과 및 상관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② 수학학습장애아동의 덧셈에서는 전체적으로 계산상의 오류가 많았다. 그리고 순차처리형 수학 학습장애아동은 연산기호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데서 오류가 발생하는 조작오류가 많았고 동시처리형 수학학습장애아동은 순서나 단계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알고리즘오류가 많았다. 즉 수학학습장애아동에게는 문제를 이해하거나 숙고하는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단순한 계산오류가 많았고, 순차처리형 아동에게는 공간적인지가 필요한 연산기호의 인지가 힘들기 때문에 조작오류 유형이 많았으며 동시처리형 아동에게는 단계적이고 순서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연산의 기초적 방법 습득곤란으로 인한 알고리즘오류유형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③ 수학학습장애아동의 뺄셈에서도 전체적으로 계산상의 오류가 많았고,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오류유형의 차이는 없었지만 순차처리형 수학 학습장애아동은 덧셈과 마찬가지로 조작오류가 많았고 동시처리형 수학학습장애아동은 알고리즘오류가 많았다. 즉 수학학습장애아동에게는 뺄셈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문제를 이해와 인지적 처리가 미숙한 특징이 있었으며, 순차처리형 아동에게는 연산기호에 대한인지가 부족하였고, 동시처리형 아동에게는 순서에 따른 계산과정을 인지하는 능력이 부족하였다. 그러나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뺄셈에서의 오류유형을 정확히 규정할 수 없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2. 제언
① 수학학습장애아동의 학업성취의 실패는 신경심리학적, 행동주의적인 것에 원인이 있기보다는 인지처리능력의 부족 때문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즉 연산이나 기타 수학과에서의 실패를 단수니 실수가 많거나 주의력이 결핍되어 있다고 보기보다는 문제를 이해하고 깊이 있게 파악하는데 필요한 문제이해전략의 부족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② 수학학습장애아동들의 인지처리양식에 알맞은 지도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즉 수학학습장애아동이 가지고 있는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지도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③ 수학학습장애아동에게서 부족하기 쉬운 인지적인 능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다양한 인지전략을 활용하여 지도할 수 있는 인지전략수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④ 이 연구에서 밝혀진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인지처리양식에 따른 오류유형이나 지도전략에 관한 여러 가지 결과들을 수학의 다른 영역과 다른 교과에 확대하여 그 효과 및 상관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