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본문내용
각을 하라. 볼을 향하여 발을 내밀고 무릎을 구부리고 볼을 치고 다시 한번 몸을 밀어 올린다는 기분으로 팔로우 드로우를 하면 안정된 스트로크를 칠 수 있다.
뒷발은 몸의 고정 역할을 한다...
그라운드 스트로크에서 몸의 균형이 잘 잡히지 않는 사람은 대개 몸을 너무 앞으로 숙여 앞발에 체중이 과다하게 걸리는데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에는 뒷발을 보다 뒤로 당기면 균형이 잡히게 되며 뒷발은 닻의 역할을 하므로 스트로크의 개시부터 종료까지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런 자세를 취하게 되면 몸을 너무 앞으로 숙이는 나쁜 습관이 고쳐지게 되며 그라운드 스트로크의 안정성이 높아질 것이다.
체중의 이동은 타구의 위력을 증가시킨다..
임팩트 시점에서 체중의 이동을 정확히 하면 훌륭한 스트로크가 나올 수 있다. 이때 체중은 앞발에 걸려 있어야 타구에 위력을 가할 수 있고 볼의 컨트롤도 쉽다. 또한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빠르게 치기 위한 철칙으로 볼의 방향으로 발을 내딛고 체중을 이동해야 한다. 뒷발에 체중을 둔 상태에서는 타구에 힘을 줄 수가 없고 공중으로 볼이 뜨기 쉽다. 타구를 위한 준비자세를 빨리 취한 후 라켓을 스윙하여 볼의 임팩트 순간에는 체중이 뒷발에서 앞발로 옮겨가야 한다.
머리를 들지 말라.
정확한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치는 요령은 포워드 스윙과 동시에 체중을 앞발로 이동시킨다. 이 자세를 무리 없이 해내기 위해서는 이때 머리를 들지 않도록 한다. 도중에 머리를 들게 되면 체중이 뒷발에 머물러 있게 되어 라켓도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또 한가지 시선은 볼의 임팩트 순간까지 볼을 주시해야 한다.
서브 리턴에서 백스윙은 짧게...
보통의 그라운드 스트로크와는 달리 서비스 리턴에서는 큰 백스윙이 필요하지 않다. 짧게 뒤로 뺐다가 타구점은 몸보다 앞으로 가져가며 플로드로도 보통보다 짧게 한다. 리시브가 잘되기 위해서는 집중력과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지만 백스윙과 플로드로의 문제점도 무시할 수 없다.
라켓을 당기지 말고 밀어 친다..
무거운 물체를 움직일 때 잡아당기는 것보다 미는 것이 편리한 것처럼 테니스에서 볼을 칠 때에도 라켓으로 볼을 밀어내면 된다. 정확한 이스턴그립으로 잡으면 백핸드나 포핸드나 라켓의 후면으로부터 체중을 볼에 실어서 볼을 밀어칠수가 있는데 그립이 바르면 손은 항상 타구방향을 향하여 라켓의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적은 노력으로 보다 정확한 스트로크를 칠 수 있으려면 앞발보다 앞의 위치에서 볼을 때리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손바닥으로 밀어주는 기분으로..
포핸드 스트로크에서 볼을 라켓 면에 직각으로 칠 수가 없어 고심하는 경우에는 손바닥으로 볼을 밀어 친다고 상상해본다. 볼을 정확하게 때리려면 손바닥을 지면과 수직(네트와 평행)으로 해야하며 라켓을 잡았을 경우에도 마찬가지 원리이다. 손바닥으로 볼을 친다는 감이 익숙해지면 라켓을 기울임으로써 볼이 네트에 걸리거나 높이 뜨는 일은 없어지게 될 것이다.
라켓의 이동은 다림질을 하듯이...
정확한 볼 컨트롤과 충분한 플로우드로가 이루어지면 보다 효과적인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칠 수 있게 된다. 플로우드로를 길게 하기 위한 예로서 앞에 놓여진 가상의 다리미판 위에서 라켓을 다리미질하듯 앞으로 밀어주는 것이다. 볼을 치려고 할 때의 라켓의 프레임을 가상의 다리미판 위에 접촉시킨 채로 판의 끝까지 밀고 나간다. 포핸드에서는 볼을 보내려는 방향으로 다리미판의 끝을 향하게 하며 플로우드로도 정확히 동일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4)백핸드 (Back Hand)
백스윙때 라켓을 등뒤로 옮긴다..
백핸드 스트로크를 치는 경우(포핸드도 마찬가지) 백스윙에서 라켓을 상대방에서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뒤로 당겨야 한다. 뒤로 당겨진 라켓, 자신의 몸통, 그리고 상대방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면 상대방에게는 당신의 라켓이 등에 가려서 보이지 않게 된다. 상대방이 볼 때 등옆으로 라켓헤드가 나오면 너무 뒤로 당기고 있는 경우이며 또한 어깨 위로 라켓이 보이면 당신의 백스윙이 아직 부족하다는 증거이다.
허리에 찬칼을 뽑는 동작으로 ..
포워드 스윙과 동시에 상체를 앞쪽으로 되돌아오게 함으로써 체중이 앞발에 걸리고 볼에 파워가 들어가 강한 백핸드를 칠 수 있게 된다. 스윙을 리드하는 앞어깨가 네트 방향으로 돌아가면 상반신의 회전이 용이하므로 체중이 앞쪽으로 이동해 간다. 이런 동작을 취하기 위한 요령은 허리에서 칼을 뽑는 기분으로 라켓을 단숨에 잡아당긴다.
팔꿈치를 당기며 백스윙을!
볼을 몸으로부터 너무 떨어져 침으로써 백핸드의 컨트롤을 어렵게 만든다. 이것을 고치기 위해서는 팔꿈치를 깊이 구부려 될 수 있는 대로 몸에 접근시킴으로써 백스윙을 너무 길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팔꿈치와 몸통 사이의 거리는 약 2~3인치(5~8cm)가 적당하다. 이 거리를 익히기 위해 겨드랑이에 테니스 볼을 끼고 백스윙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백스윙 도중 볼이 떨어지면 겨드랑이 사이가 너무 벌어져 있는 것이다. 팔꿈치를 구부리고 겨드랑이를 조이고 백스윙 할 수 있다면, 그대로 포워드 스윙을 해도 팔꿈치가 몸통으로부터 너무 떨어지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타구에 힘과 컨트롤이 가해지게 된다.
벽을 등지고 선 듯이 스윙해보자.
백핸드로서는 짧은 볼밖에 치지 못하는 것은 몸 둘레에 원을 그리듯이 라켓을 돌리는 것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봐진다. 백스윙에서나 포워드 스윙에서나 스트로크의 동작 중에는 가상의 벽에 라켓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면서 스윙한다. 허리, 어깨, 팔을 사용하여 흐르듯이 일직선으로 라켓을 스윙한다. 타면에 볼이 정확하게 맞는 백핸드 샷은 이와 같은 스윙으로부터 생기는 것이다.
앞쪽 어깨는 타구점을 향해!
백핸드에서는 상반신을 잘 돌리지 않으면 필요할 때 충분한 백스윙을 하지 못하고, 백스윙이 불충분하면 그 타구에 요구되는 파워를 부여할 수 없다. 그렇다면 파워 있는 백핸드를 구사하려면 라켓을 뒤로 뺄 때 양어깨도 동시에 돌리면 되는 것이다. 앞쪽 어깨가 볼의 타구점을 가리킬 때까지 몸을 돌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백스윙을 보다 길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력한 샷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소리를 듣자!
볼을 칠
뒷발은 몸의 고정 역할을 한다...
그라운드 스트로크에서 몸의 균형이 잘 잡히지 않는 사람은 대개 몸을 너무 앞으로 숙여 앞발에 체중이 과다하게 걸리는데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에는 뒷발을 보다 뒤로 당기면 균형이 잡히게 되며 뒷발은 닻의 역할을 하므로 스트로크의 개시부터 종료까지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런 자세를 취하게 되면 몸을 너무 앞으로 숙이는 나쁜 습관이 고쳐지게 되며 그라운드 스트로크의 안정성이 높아질 것이다.
체중의 이동은 타구의 위력을 증가시킨다..
임팩트 시점에서 체중의 이동을 정확히 하면 훌륭한 스트로크가 나올 수 있다. 이때 체중은 앞발에 걸려 있어야 타구에 위력을 가할 수 있고 볼의 컨트롤도 쉽다. 또한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빠르게 치기 위한 철칙으로 볼의 방향으로 발을 내딛고 체중을 이동해야 한다. 뒷발에 체중을 둔 상태에서는 타구에 힘을 줄 수가 없고 공중으로 볼이 뜨기 쉽다. 타구를 위한 준비자세를 빨리 취한 후 라켓을 스윙하여 볼의 임팩트 순간에는 체중이 뒷발에서 앞발로 옮겨가야 한다.
머리를 들지 말라.
정확한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치는 요령은 포워드 스윙과 동시에 체중을 앞발로 이동시킨다. 이 자세를 무리 없이 해내기 위해서는 이때 머리를 들지 않도록 한다. 도중에 머리를 들게 되면 체중이 뒷발에 머물러 있게 되어 라켓도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또 한가지 시선은 볼의 임팩트 순간까지 볼을 주시해야 한다.
서브 리턴에서 백스윙은 짧게...
보통의 그라운드 스트로크와는 달리 서비스 리턴에서는 큰 백스윙이 필요하지 않다. 짧게 뒤로 뺐다가 타구점은 몸보다 앞으로 가져가며 플로드로도 보통보다 짧게 한다. 리시브가 잘되기 위해서는 집중력과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지만 백스윙과 플로드로의 문제점도 무시할 수 없다.
라켓을 당기지 말고 밀어 친다..
무거운 물체를 움직일 때 잡아당기는 것보다 미는 것이 편리한 것처럼 테니스에서 볼을 칠 때에도 라켓으로 볼을 밀어내면 된다. 정확한 이스턴그립으로 잡으면 백핸드나 포핸드나 라켓의 후면으로부터 체중을 볼에 실어서 볼을 밀어칠수가 있는데 그립이 바르면 손은 항상 타구방향을 향하여 라켓의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적은 노력으로 보다 정확한 스트로크를 칠 수 있으려면 앞발보다 앞의 위치에서 볼을 때리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손바닥으로 밀어주는 기분으로..
포핸드 스트로크에서 볼을 라켓 면에 직각으로 칠 수가 없어 고심하는 경우에는 손바닥으로 볼을 밀어 친다고 상상해본다. 볼을 정확하게 때리려면 손바닥을 지면과 수직(네트와 평행)으로 해야하며 라켓을 잡았을 경우에도 마찬가지 원리이다. 손바닥으로 볼을 친다는 감이 익숙해지면 라켓을 기울임으로써 볼이 네트에 걸리거나 높이 뜨는 일은 없어지게 될 것이다.
라켓의 이동은 다림질을 하듯이...
정확한 볼 컨트롤과 충분한 플로우드로가 이루어지면 보다 효과적인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칠 수 있게 된다. 플로우드로를 길게 하기 위한 예로서 앞에 놓여진 가상의 다리미판 위에서 라켓을 다리미질하듯 앞으로 밀어주는 것이다. 볼을 치려고 할 때의 라켓의 프레임을 가상의 다리미판 위에 접촉시킨 채로 판의 끝까지 밀고 나간다. 포핸드에서는 볼을 보내려는 방향으로 다리미판의 끝을 향하게 하며 플로우드로도 정확히 동일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4)백핸드 (Back Hand)
백스윙때 라켓을 등뒤로 옮긴다..
백핸드 스트로크를 치는 경우(포핸드도 마찬가지) 백스윙에서 라켓을 상대방에서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뒤로 당겨야 한다. 뒤로 당겨진 라켓, 자신의 몸통, 그리고 상대방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면 상대방에게는 당신의 라켓이 등에 가려서 보이지 않게 된다. 상대방이 볼 때 등옆으로 라켓헤드가 나오면 너무 뒤로 당기고 있는 경우이며 또한 어깨 위로 라켓이 보이면 당신의 백스윙이 아직 부족하다는 증거이다.
허리에 찬칼을 뽑는 동작으로 ..
포워드 스윙과 동시에 상체를 앞쪽으로 되돌아오게 함으로써 체중이 앞발에 걸리고 볼에 파워가 들어가 강한 백핸드를 칠 수 있게 된다. 스윙을 리드하는 앞어깨가 네트 방향으로 돌아가면 상반신의 회전이 용이하므로 체중이 앞쪽으로 이동해 간다. 이런 동작을 취하기 위한 요령은 허리에서 칼을 뽑는 기분으로 라켓을 단숨에 잡아당긴다.
팔꿈치를 당기며 백스윙을!
볼을 몸으로부터 너무 떨어져 침으로써 백핸드의 컨트롤을 어렵게 만든다. 이것을 고치기 위해서는 팔꿈치를 깊이 구부려 될 수 있는 대로 몸에 접근시킴으로써 백스윙을 너무 길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팔꿈치와 몸통 사이의 거리는 약 2~3인치(5~8cm)가 적당하다. 이 거리를 익히기 위해 겨드랑이에 테니스 볼을 끼고 백스윙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백스윙 도중 볼이 떨어지면 겨드랑이 사이가 너무 벌어져 있는 것이다. 팔꿈치를 구부리고 겨드랑이를 조이고 백스윙 할 수 있다면, 그대로 포워드 스윙을 해도 팔꿈치가 몸통으로부터 너무 떨어지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타구에 힘과 컨트롤이 가해지게 된다.
벽을 등지고 선 듯이 스윙해보자.
백핸드로서는 짧은 볼밖에 치지 못하는 것은 몸 둘레에 원을 그리듯이 라켓을 돌리는 것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봐진다. 백스윙에서나 포워드 스윙에서나 스트로크의 동작 중에는 가상의 벽에 라켓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면서 스윙한다. 허리, 어깨, 팔을 사용하여 흐르듯이 일직선으로 라켓을 스윙한다. 타면에 볼이 정확하게 맞는 백핸드 샷은 이와 같은 스윙으로부터 생기는 것이다.
앞쪽 어깨는 타구점을 향해!
백핸드에서는 상반신을 잘 돌리지 않으면 필요할 때 충분한 백스윙을 하지 못하고, 백스윙이 불충분하면 그 타구에 요구되는 파워를 부여할 수 없다. 그렇다면 파워 있는 백핸드를 구사하려면 라켓을 뒤로 뺄 때 양어깨도 동시에 돌리면 되는 것이다. 앞쪽 어깨가 볼의 타구점을 가리킬 때까지 몸을 돌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백스윙을 보다 길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력한 샷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소리를 듣자!
볼을 칠
키워드
추천자료
하우스 텐 보스
나의 건강을 위한 운동계획- 나의 건강상태와 가족력을 고려하여
아스피린(Aspirin)의 효과
출산에서 영아기까지 발달과업
국내외 리조트(Resort) 발전 현황과 한국 리조트 개발에 대한 평가
스포츠맨쉽이란
가회 박물관을 다녀와서...한국의 도깨비
삶의 질에 대하여
내 삶의 경영보고서
한국경제사 과제_식민지 근대화론과 그 비판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의미,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분류, 사회교육(성인...
에릭슨(Erikson)이 제시한 발단단계의 단계별 발달과업을 1단계 ~ 5단계까지만 나의 삶에 적...
인행사 개인 과제 성격심리학 자기 이해를 위한 연습,나의 삶에 관한 질문들
9. 노인건강증진사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