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특성
Ⅲ.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자세
Ⅳ.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사례
1. 제재명
2. 제재의 개관
1) 교재관
2) 지도관
3) 아동관
4) 사회관
3. 제재의 목표
4. 학습의 계통 및 관련
5. 과제 분석
Ⅴ.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악기별 지도
1. 타악기(리듬악기)
1) Woods
2) Metals
3) skin(가죽)
4) 노래를 할 때 리듬 반주하기
5) 리듬 합주 향상시키기
2. 가락 악기
1) Piano와 Electronec Keyboards
2) Melody Bells
3) Xylophones
4) Recorder
Ⅵ.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수업모형
1. 수업 전
2. 본 수업
3. 수업 후
4. 평가
Ⅶ. 결론 및 제언
1. 저학년의 지도
2. 중학년의 지도
3. 고학년의 지도
참고문헌
Ⅱ.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특성
Ⅲ.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자세
Ⅳ.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사례
1. 제재명
2. 제재의 개관
1) 교재관
2) 지도관
3) 아동관
4) 사회관
3. 제재의 목표
4. 학습의 계통 및 관련
5. 과제 분석
Ⅴ.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악기별 지도
1. 타악기(리듬악기)
1) Woods
2) Metals
3) skin(가죽)
4) 노래를 할 때 리듬 반주하기
5) 리듬 합주 향상시키기
2. 가락 악기
1) Piano와 Electronec Keyboards
2) Melody Bells
3) Xylophones
4) Recorder
Ⅵ. 기악학습(기악지도, 기악교육, 기악수업)의 수업모형
1. 수업 전
2. 본 수업
3. 수업 후
4. 평가
Ⅶ. 결론 및 제언
1. 저학년의 지도
2. 중학년의 지도
3. 고학년의 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등학교에 다음과 같은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는 타악기의 지도가 절실히 요청된다.
1) Woods
가) Rhythm sticks
묘사 : 부드러운 표면과 골이 패인 표면이 있는 막대, 일반적으로 12인치이고 둥글다.
기능 : 장단, 박자
연주 : 양손에 stick을 쥐고 함께 친다. 골이 패인 표면으로 비벼서 소리를 낼 수도 있고 책상이나 의자, 책, 북과 같은 다른 물체를 두드려 소리를 내기도 한다.
나) Claves
묘사 : 원통모양의 단단한 나무 덩어리(clah-vays)
기능 : 리듬, 박자, 당김음
연주 : 부분적으로는 느슨하게 쥔 다음 다른 claves를 나머지 손으로 잡고 친다. 리듬에 맞게 두드린다.
다) Woodblock
묘사 : cha-chop 재미있는 소리를 내는 속이 빈 나무덩어리
기능 : 장단, 박자, 당김음
연주 : 단단한 mallet(타악기용 작은 망치)으로 친다.
라) Maracas
묘사 : 안에 들어있는 씨를 말린 조롱박으로 crisp, swishing 소리가 난다.
기능 : 리듬패턴, 라틴아메리카 음악, 당김음
연주 : 보통 한 쌍씩 흔들어서 연주한다.
마) Sandblock
묘사 : 가지각색의 사포로 덮인 작은 나무덩어리, 각각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기능 : 박자, 장단, swishing 효과
연주 : 두 개 block을 서로 문지른다.
바) Guiro
묘사 : 공명구멍을 가진 가늘고 긴 악기, 스틱으로 톱니모양의 표면을 비벼서 소리 낸다.
기능 : 라틴아메리카 음악에서 리듬에 사용한다.
연주 : 한 손에 악기를 잡고 다른 손에는 스틱을 쥐고 표면을 비벼서 소리 낸다.
2) Metals
가) Cymbals
묘사 : 각각 중앙이 함몰되어 있는 놋쇠로 만든 평원판
기능 : 강조, 크레센도(점점 세게), 클라이막스
연주
- slicing(가르듯이 ↙ ↗ )방법으로 치고 소리를 멈추게 한다.
- 치고 나서 소리가 계속 나게 둔다.
- Cymbals를 잡고 mallet로 친다.
나) Finger cymbals
묘사 : 큰 Cymbals의 작은 모양
기능 : 부드러운 연주 패턴
연주 : 서로 손뼉 치는 것처럼 치는 것보다는 하나의 테두리를 다른 하나의 테두리로 친다.
다) Triangle
묘사 : 삼각형 모양으로 구부러진 쇠막대, 한쪽 각은 열려 있다.
기능 : 박자, 강조, 지속되는 소리
연주 : 실로 Triangle을 매달고 금속막대로 친다.
Triangle에 손이 닿지 않게 하고 소리가 약하거나 멈추지 않게 한다.
라) Tambourines
묘사 : 나무테에 금속 평원반이 부착된 소형 드럼
평원반은 악기를 치거나 흔들 때 진동하며 소리를 낸다.
기능 : 지속적인 소리와 각종 박자
연주 : 악기가 하나일 때 손으로 drumhead를 치거나 흔들고, 테의 옆 부분을 두드린다.
3) skin(가죽)
기본적으로 뻗은 손으로 치기 때문에 소위 Skin 타악기라고 불리는 것으로는 Hand drum, Bongo drums, Conga drum이 있다.
가) Hand drum
묘사 : 가죽이나 플라스틱으로 상부를 덮은 금속 밴드, 한쪽만 두드릴 수 있다.
기능 : 장단, 박자, 빠르기
연주 : 단단하거나 무른 mallet이나 막대, 손으로 두드린다.
나) Bongo drums
묘사 : 음률이 다른(하나는 높고 하나는 낮고) 두 개의 작은 북
기능 : 당김음으로 연주되는 라틴 아메리카 음악에서 종종 이용된다.
연주 : 연주자가 앉아서 다리 사이에 북을 끼워 넣는다.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상부를 두드린다. 북가죽의 중앙과 테두리는 다른 음정과 음색을 낸다.
4) 노래를 할 때 리듬 반주하기
학생들에게 자기 허벅지를 가볍게 두드리는 방법으로 빠르기 박자(노래 속도)를 맞추도록 한다. 리듬스틱과 같은 리듬을 선택해 반복하여 연주하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두 박자 혹은 세 박자로 자기 허리를 두드리고 손뼉을 치게 하여 거기에다 리듬악기로 같이 연주하게 하고, 박자 마디에서 첫 박자에 강세를 넣게 한다.
즉흥적으로 연주해서 학생들에게 손뼉을 치거나 악기로 연주를 따라하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즉흥적으로 세 박자처럼 그 박자 형태 내에서 악기로 리듬 연주를 하게 한다.
선택한 노래에 맞는 패턴을 결정한다. 적당한 악기를 선택하고 정해진 악기를 사용해서 노래를 부르면서 이러한 방법으로 악기를 연주하게 한다.
5) 리듬 합주 향상시키기
타악기 합주단을 조직해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악기는 음악의 특징(즉 높고-낮음, 강한-약한 박자, 율동적, 강조적)에 의해 선택된다. 표현은 다음 요소들에 의해 더 다양해 질 수 있다.
여러 악기의 작은 group으로 된 전체 합주의 교류
전체 합주 또는 악기 하나로 된 작은 group의 교류
다른 음색들의 대조(금속소리와 나무소리)
지휘 능력은 합주를 구성하는 개개인의 학생들을 지도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학생들은 선택된 작품을 여러 번 들어봐야 한다. 각자 듣고 난 다음, 그들의 악기 선택과 사용에 관해서 결정을 해야 한다. 음악에서 변화는 표현을 듣는 전체적 경험은 청각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일에 도움이 될 것이다.
리듬이 강하고 악기 사용이 명확한 음악 작품을 선택한다.
학생들에게 박자를 선택하게 한다.
악센트가 있는지 없는지, 박자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한다.
그 작품으로 표현할 수 있는 악기 편성을 한다.
연주 안내서를 작성한다.
2. 가락 악기
1) Piano와 Electronec Keyboards
Piano와 Electronec Keyboards는 멜로디를 연주하고 간단한 반주를 하는데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가) 건반형식
키보드 중앙에서 보면 흰건반과, 두 개 그리고 세 개씩 묶음의 검정건반을 보게 될 것이다. 이 패턴은 키보드 건반 전체에서 반복된다. 각각의 흰건반은 5선의 보표 위에 줄과 칸에 상응하는 문자 이름을 가지고 있다. 계이름 E는 건반 위의 흰건반 E를 나타낸다. 피아노 건반은 옥타브에 해당하는 여덟 개의 음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낮은음은 A이다. A, B, C, D, E, F, G, A는 12개의 반음들로 나눠진다. 이 음정을 반음 올리는 것은
1) Woods
가) Rhythm sticks
묘사 : 부드러운 표면과 골이 패인 표면이 있는 막대, 일반적으로 12인치이고 둥글다.
기능 : 장단, 박자
연주 : 양손에 stick을 쥐고 함께 친다. 골이 패인 표면으로 비벼서 소리를 낼 수도 있고 책상이나 의자, 책, 북과 같은 다른 물체를 두드려 소리를 내기도 한다.
나) Claves
묘사 : 원통모양의 단단한 나무 덩어리(clah-vays)
기능 : 리듬, 박자, 당김음
연주 : 부분적으로는 느슨하게 쥔 다음 다른 claves를 나머지 손으로 잡고 친다. 리듬에 맞게 두드린다.
다) Woodblock
묘사 : cha-chop 재미있는 소리를 내는 속이 빈 나무덩어리
기능 : 장단, 박자, 당김음
연주 : 단단한 mallet(타악기용 작은 망치)으로 친다.
라) Maracas
묘사 : 안에 들어있는 씨를 말린 조롱박으로 crisp, swishing 소리가 난다.
기능 : 리듬패턴, 라틴아메리카 음악, 당김음
연주 : 보통 한 쌍씩 흔들어서 연주한다.
마) Sandblock
묘사 : 가지각색의 사포로 덮인 작은 나무덩어리, 각각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기능 : 박자, 장단, swishing 효과
연주 : 두 개 block을 서로 문지른다.
바) Guiro
묘사 : 공명구멍을 가진 가늘고 긴 악기, 스틱으로 톱니모양의 표면을 비벼서 소리 낸다.
기능 : 라틴아메리카 음악에서 리듬에 사용한다.
연주 : 한 손에 악기를 잡고 다른 손에는 스틱을 쥐고 표면을 비벼서 소리 낸다.
2) Metals
가) Cymbals
묘사 : 각각 중앙이 함몰되어 있는 놋쇠로 만든 평원판
기능 : 강조, 크레센도(점점 세게), 클라이막스
연주
- slicing(가르듯이 ↙ ↗ )방법으로 치고 소리를 멈추게 한다.
- 치고 나서 소리가 계속 나게 둔다.
- Cymbals를 잡고 mallet로 친다.
나) Finger cymbals
묘사 : 큰 Cymbals의 작은 모양
기능 : 부드러운 연주 패턴
연주 : 서로 손뼉 치는 것처럼 치는 것보다는 하나의 테두리를 다른 하나의 테두리로 친다.
다) Triangle
묘사 : 삼각형 모양으로 구부러진 쇠막대, 한쪽 각은 열려 있다.
기능 : 박자, 강조, 지속되는 소리
연주 : 실로 Triangle을 매달고 금속막대로 친다.
Triangle에 손이 닿지 않게 하고 소리가 약하거나 멈추지 않게 한다.
라) Tambourines
묘사 : 나무테에 금속 평원반이 부착된 소형 드럼
평원반은 악기를 치거나 흔들 때 진동하며 소리를 낸다.
기능 : 지속적인 소리와 각종 박자
연주 : 악기가 하나일 때 손으로 drumhead를 치거나 흔들고, 테의 옆 부분을 두드린다.
3) skin(가죽)
기본적으로 뻗은 손으로 치기 때문에 소위 Skin 타악기라고 불리는 것으로는 Hand drum, Bongo drums, Conga drum이 있다.
가) Hand drum
묘사 : 가죽이나 플라스틱으로 상부를 덮은 금속 밴드, 한쪽만 두드릴 수 있다.
기능 : 장단, 박자, 빠르기
연주 : 단단하거나 무른 mallet이나 막대, 손으로 두드린다.
나) Bongo drums
묘사 : 음률이 다른(하나는 높고 하나는 낮고) 두 개의 작은 북
기능 : 당김음으로 연주되는 라틴 아메리카 음악에서 종종 이용된다.
연주 : 연주자가 앉아서 다리 사이에 북을 끼워 넣는다.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상부를 두드린다. 북가죽의 중앙과 테두리는 다른 음정과 음색을 낸다.
4) 노래를 할 때 리듬 반주하기
학생들에게 자기 허벅지를 가볍게 두드리는 방법으로 빠르기 박자(노래 속도)를 맞추도록 한다. 리듬스틱과 같은 리듬을 선택해 반복하여 연주하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두 박자 혹은 세 박자로 자기 허리를 두드리고 손뼉을 치게 하여 거기에다 리듬악기로 같이 연주하게 하고, 박자 마디에서 첫 박자에 강세를 넣게 한다.
즉흥적으로 연주해서 학생들에게 손뼉을 치거나 악기로 연주를 따라하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즉흥적으로 세 박자처럼 그 박자 형태 내에서 악기로 리듬 연주를 하게 한다.
선택한 노래에 맞는 패턴을 결정한다. 적당한 악기를 선택하고 정해진 악기를 사용해서 노래를 부르면서 이러한 방법으로 악기를 연주하게 한다.
5) 리듬 합주 향상시키기
타악기 합주단을 조직해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악기는 음악의 특징(즉 높고-낮음, 강한-약한 박자, 율동적, 강조적)에 의해 선택된다. 표현은 다음 요소들에 의해 더 다양해 질 수 있다.
여러 악기의 작은 group으로 된 전체 합주의 교류
전체 합주 또는 악기 하나로 된 작은 group의 교류
다른 음색들의 대조(금속소리와 나무소리)
지휘 능력은 합주를 구성하는 개개인의 학생들을 지도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학생들은 선택된 작품을 여러 번 들어봐야 한다. 각자 듣고 난 다음, 그들의 악기 선택과 사용에 관해서 결정을 해야 한다. 음악에서 변화는 표현을 듣는 전체적 경험은 청각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일에 도움이 될 것이다.
리듬이 강하고 악기 사용이 명확한 음악 작품을 선택한다.
학생들에게 박자를 선택하게 한다.
악센트가 있는지 없는지, 박자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한다.
그 작품으로 표현할 수 있는 악기 편성을 한다.
연주 안내서를 작성한다.
2. 가락 악기
1) Piano와 Electronec Keyboards
Piano와 Electronec Keyboards는 멜로디를 연주하고 간단한 반주를 하는데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가) 건반형식
키보드 중앙에서 보면 흰건반과, 두 개 그리고 세 개씩 묶음의 검정건반을 보게 될 것이다. 이 패턴은 키보드 건반 전체에서 반복된다. 각각의 흰건반은 5선의 보표 위에 줄과 칸에 상응하는 문자 이름을 가지고 있다. 계이름 E는 건반 위의 흰건반 E를 나타낸다. 피아노 건반은 옥타브에 해당하는 여덟 개의 음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낮은음은 A이다. A, B, C, D, E, F, G, A는 12개의 반음들로 나눠진다. 이 음정을 반음 올리는 것은
추천자료
[학습부진]수학과 학습부진아의 지도목적,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요인,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
언어교육(언어지도, 언어학습)과 언어, 언어교육(언어지도, 언어학습)의 정의와 사회적 환경,...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교육지도) 정의와 종류,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교육지도) 유형과 ...
[또래지도][또래학습][또래교수]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정의와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
무용교육(무용지도, 무용학습)의 목표와 내용, 무용교육(무용지도, 무용학습)의 가치와 현황,...
영어과 이야기학습(스토리텔링)지도, 영어과 어휘학습지도, 영어과 전신반응학습(TPR)지도, ...
쓰기교육(쓰기학습, 쓰기지도)의 원리, 단계, 내용, 쓰기교육(쓰기학습, 쓰기지도)과 과정중...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교육지도) 이론적 배경,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교육지도) 수업원리...
민요지도(수업, 학습)방법, 독서지도(수업, 학습)방법,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 자신감이 없는...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지도)의 의미, 특징, 필요성,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지도)...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자료(지도자료), 사회과 지역화 학습자료(지도자료), 사회과 지도와 ...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원리,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목표,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동시수업(동시학습, 동시지도, 교육) 정의, 동시수업(동시학습, 동시지도, 교육) 실제와 사례...
음악과교육 창작교육(창작학습지도)의 가치와 중요성, 음악과교육 창작교육(창작학습지도)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