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작업에 기초한 실습을 위한 Rood 접근법의 재해석
Rood의 네 가지 운동조절 요소
운동 패턴들
개체 발생적 발달 패턴들(ONTOGENETIC DEVELOPMENT PATTERNS)
작업에 근거한 실습을 위한 전통적 ROOD 치료 기술들
작업에 근거한 실습을 위한 ROOD 접근법의 재해석
Rood의 네 가지 운동조절 요소
운동 패턴들
개체 발생적 발달 패턴들(ONTOGENETIC DEVELOPMENT PATTERNS)
작업에 근거한 실습을 위한 전통적 ROOD 치료 기술들
작업에 근거한 실습을 위한 ROOD 접근법의 재해석
본문내용
, 환자는 잡기 위해 앞으로 손을 뻗고 인접한 환경을 탐색하기 위해 한 손이 자유롭게 되도록 3점 스탠스(three-point stance)로 체중을 이동한다. 움직임은 체중을 앞으로 뒤로 이동함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이런 이동은 환자가 리드미컬한 움직임과 함께 편하게 됨에 따라 좌우(side-to- side) 및 대각선 패턴들로 진척될 수 있다. 네발기기 자세에서, 편마비 환자들은 치료사가 triceps brachii와 anconeus에 압박과 신장(stretch)을 가할 때 마비된 팔꿈치의 안정성을 성취함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치료사가 동시수축을 촉진하기 위해 체중 이상의 압박을 가함에 따라 손의 뒤꿈치와 신전된 손목에 가해지는 압박은 손목 굴근들을 억제한다. 손의 등 부분 위에 가벼운 동적 접촉(light, moving touch)은 손가락 신전을 촉진하기 위해 수행된다. 네발기기 자세에서 흔들기(rocking)는 목의 고유감각수용기가 사지의 긴장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처음에 목이 똑바로 몸통과 정상 관계로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환자가 전후면(anteroposterior plane)으로 움직임에 따라 견갑대와 골반대(shoulder and pelvic girdle)들이 움직여진다. 치료 뒤에 치료사는 반사 억제 측정으로 목의 굴곡, 신전, 그리고 회전 운동을 결합시키기 원할 수 있다.
작업에 근거한 실습을 위한 ROOD 접근법의 재해석
전통적으로, 작업치료사들은 개인을 목적 있는 활동들에 대하여 우선 준비시키기 위해 앞서 설명된 기술들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Rood 접근법의 기본 주의는 활동이 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작업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작업에 이르게 하는 목적 있는 활동들의 소개는 노력과의 관련성과 의미를 더한다. Rood의 방법들은 작업에 종사하도록 준비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최근 연구와 지식에 비춘 그녀의 연구의 재 개념화는 환경에서 작업 수행에 관한 이해와 판단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Rood의 개념적 틀은 다음 항에서 재구성되었다.
ROOD의 개념 체제
다섯 가지 가정들은 관계에 있어서 작업에 근거한 실습에 대한 사고의 기초가 된다(그림 33-9). 이런 기능들은 Rood의 초기 연구를 소개한 Stockmeyer로부터 번안되었다.
가정 1: 작업과 관련된 신경근 기능은 초기 상태에 대한 감수성과 상호 영향에 근거하여 상호
작용하고 변화하는 다수 네트워크들의 혼동 체계이다.
가정 2: 혼돈된 체계로서, 신경근 기능은 역동적 과정으로 전개된다.
가정 3: 신경근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 조절 매개변수들은 체성, 자율신경계, 정서, 인지
또는 동기 부여의 변수이다.
가정 4: 운동 및 감각계는 서로 상호 작용한다.
가정 5: 작업은 기능을 형성(구체화)한다.
미래에 아마 다른 것들이 Rood의 연구에 기초한 이들 기본 가정들을 부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작업을 위한 기초로 운동 기능을 보조하는 network들에 관해 생각하는 방법으로서 표 33-3에 발견적 교수법(heuristic)으로 제공되었다. 이 발견적 교수법은 network들을 기능, 조절 매개변수, 연합된 결과들과 연결하며, 최근 신경과학의 이해와 지식과 함께 갱신됨에 따라 Rood의 생각의 본질을 반영한다.
신경근 Network
기능
기본 조절 매개변수
관련된 결과
Network Ⅰ
들숨(inspiration)
빨기(suck)
삼키기(swallow)
굴곡
뇌신경 Ⅴ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MLF)
바로 누운 자세
굴곡: 신체 기능들
Network Ⅱ
신전
전정척수회로(VST)
Pivot prone: 항중력
Network Ⅲ
동시수축
근육 방추
관절 안정성: 자세
Network Ⅳ
운동성
피질 척수로(CST)
공간을 통한 움직임: 기술
Network Ⅴ
동기부여
변연계
전두엽
인지
감정
작업에 참여
요약
표 33-3
재구성된 Rood의 Heuristic
이 장은 치료적 중재와 중추신경계 과정의 최근 이해에 기초하여 Margaret Rood의 연구를 재구성하였다. 작업에 근거한 실행(occupation-based practice)을 위해 그녀의 이론을 재구성하는데 돕기 위해 혼동 이론(chaos theory)과 역동체계 이론이 사용되었다. 치료적 중재에서 Rood의 운동 조절의 원안 요소는 작업에의 종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Rood에 의해 원래 개발된 주요 운동패턴들의 발달과 작업에서의 그들의 목적이 서술되었다. 초보적인 실행(entry-level practice)을 위한 전통적인 Rood 치료기술들과 작업에 근거한 실행에 이들 기술들의 적용이 신경과학에서의 최근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요약되었다. 활동이 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Rood의 주의(tenet)와 관련하여 작업수행의 환경이 강조되었다. 개념의 체제(conceptual frame)가 Rood의 중요 개념들에 근거하여 제안되었으며, 이것은 환경에서 작업에 근거한 실행에 다섯 가지 기본 가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을 위한 기초로서 운동 기능을 보조하는 network들을 알게 하기 위해 발견적 교수법(heuristic)이 마련되었다.
복습 질문
1. Margaret Rood의 연구를 공부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2. Rood에 의해 증명되었던 기본 개념들이 오늘날 어떻게 재 정의되었는가?
3. Rood에 의해 강조된 운동조절의 네 가지 요소들은 무엇이었나?
4. Rood에 의해 기술된 주요 운동 패턴들의 발달은 무엇이었나?
5. Rood의 주요 운동 패턴들이 작업동안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예를 제시하시오.
6. 최근 작업에 근거한 실행에 전통적인 Rood 치료기술들을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진술되 었다. 이런 주의가 제시된 이유들은 무엇인가?
7. 오늘날 사용되는 Rood기술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그런지 목록을 기입하시오.
8. 전통적인 Rood 접근법과 작업에 근거한 실행에서의 Rood 접근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 가?
9. Rood의 재구성을 실증하는 다섯 가지 기본 가정들의 이름을 말하시오.
작업에 근거한 실습을 위한 ROOD 접근법의 재해석
전통적으로, 작업치료사들은 개인을 목적 있는 활동들에 대하여 우선 준비시키기 위해 앞서 설명된 기술들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Rood 접근법의 기본 주의는 활동이 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작업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작업에 이르게 하는 목적 있는 활동들의 소개는 노력과의 관련성과 의미를 더한다. Rood의 방법들은 작업에 종사하도록 준비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최근 연구와 지식에 비춘 그녀의 연구의 재 개념화는 환경에서 작업 수행에 관한 이해와 판단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Rood의 개념적 틀은 다음 항에서 재구성되었다.
ROOD의 개념 체제
다섯 가지 가정들은 관계에 있어서 작업에 근거한 실습에 대한 사고의 기초가 된다(그림 33-9). 이런 기능들은 Rood의 초기 연구를 소개한 Stockmeyer로부터 번안되었다.
가정 1: 작업과 관련된 신경근 기능은 초기 상태에 대한 감수성과 상호 영향에 근거하여 상호
작용하고 변화하는 다수 네트워크들의 혼동 체계이다.
가정 2: 혼돈된 체계로서, 신경근 기능은 역동적 과정으로 전개된다.
가정 3: 신경근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 조절 매개변수들은 체성, 자율신경계, 정서, 인지
또는 동기 부여의 변수이다.
가정 4: 운동 및 감각계는 서로 상호 작용한다.
가정 5: 작업은 기능을 형성(구체화)한다.
미래에 아마 다른 것들이 Rood의 연구에 기초한 이들 기본 가정들을 부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작업을 위한 기초로 운동 기능을 보조하는 network들에 관해 생각하는 방법으로서 표 33-3에 발견적 교수법(heuristic)으로 제공되었다. 이 발견적 교수법은 network들을 기능, 조절 매개변수, 연합된 결과들과 연결하며, 최근 신경과학의 이해와 지식과 함께 갱신됨에 따라 Rood의 생각의 본질을 반영한다.
신경근 Network
기능
기본 조절 매개변수
관련된 결과
Network Ⅰ
들숨(inspiration)
빨기(suck)
삼키기(swallow)
굴곡
뇌신경 Ⅴ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MLF)
바로 누운 자세
굴곡: 신체 기능들
Network Ⅱ
신전
전정척수회로(VST)
Pivot prone: 항중력
Network Ⅲ
동시수축
근육 방추
관절 안정성: 자세
Network Ⅳ
운동성
피질 척수로(CST)
공간을 통한 움직임: 기술
Network Ⅴ
동기부여
변연계
전두엽
인지
감정
작업에 참여
요약
표 33-3
재구성된 Rood의 Heuristic
이 장은 치료적 중재와 중추신경계 과정의 최근 이해에 기초하여 Margaret Rood의 연구를 재구성하였다. 작업에 근거한 실행(occupation-based practice)을 위해 그녀의 이론을 재구성하는데 돕기 위해 혼동 이론(chaos theory)과 역동체계 이론이 사용되었다. 치료적 중재에서 Rood의 운동 조절의 원안 요소는 작업에의 종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Rood에 의해 원래 개발된 주요 운동패턴들의 발달과 작업에서의 그들의 목적이 서술되었다. 초보적인 실행(entry-level practice)을 위한 전통적인 Rood 치료기술들과 작업에 근거한 실행에 이들 기술들의 적용이 신경과학에서의 최근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요약되었다. 활동이 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Rood의 주의(tenet)와 관련하여 작업수행의 환경이 강조되었다. 개념의 체제(conceptual frame)가 Rood의 중요 개념들에 근거하여 제안되었으며, 이것은 환경에서 작업에 근거한 실행에 다섯 가지 기본 가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을 위한 기초로서 운동 기능을 보조하는 network들을 알게 하기 위해 발견적 교수법(heuristic)이 마련되었다.
복습 질문
1. Margaret Rood의 연구를 공부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2. Rood에 의해 증명되었던 기본 개념들이 오늘날 어떻게 재 정의되었는가?
3. Rood에 의해 강조된 운동조절의 네 가지 요소들은 무엇이었나?
4. Rood에 의해 기술된 주요 운동 패턴들의 발달은 무엇이었나?
5. Rood의 주요 운동 패턴들이 작업동안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예를 제시하시오.
6. 최근 작업에 근거한 실행에 전통적인 Rood 치료기술들을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진술되 었다. 이런 주의가 제시된 이유들은 무엇인가?
7. 오늘날 사용되는 Rood기술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그런지 목록을 기입하시오.
8. 전통적인 Rood 접근법과 작업에 근거한 실행에서의 Rood 접근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 가?
9. Rood의 재구성을 실증하는 다섯 가지 기본 가정들의 이름을 말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