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상 삼키기의 해부 및 생리
Outer Oral Status
감각(Sensation)
근육조직(Musculature)
Oral reflex
INNER ORAL STATUS
혀운동(Tongue movement)
Clinical Assessment of Swallowing
Assessment With Videofluoroscopy
치료(TREATMENT)
목표
Positioning
구강위생(Oral Hygiene)
비구강 식사(Nonoral Feeding)
구강 식사(Oral feedings)
식이요법 선택(Diet Selection)
식이요법 경과(Diet Progression)
Principles of Oral Feeding
Techniques for the Management of Dysphasia
Outer Oral Status
감각(Sensation)
근육조직(Musculature)
Oral reflex
INNER ORAL STATUS
혀운동(Tongue movement)
Clinical Assessment of Swallowing
Assessment With Videofluoroscopy
치료(TREATMENT)
목표
Positioning
구강위생(Oral Hygiene)
비구강 식사(Nonoral Feeding)
구강 식사(Oral feedings)
식이요법 선택(Diet Selection)
식이요법 경과(Diet Progression)
Principles of Oral Feeding
Techniques for the Management of Dysphasia
본문내용
음식 배치 후에 스푼으로 혀 뒤를 아래 방향과 앞
방향으로 압박을 준다
음식을 sulci 안으로 혀에서 벗어나거나 음식이 환자가 자가하지 못한 채 혀에 남아있다
불충분한 감각
아이스 칩이 인두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즈 안에 놓여진 아이스 칩으로 혀를 차게 한다
감각 수용기를 자극하기 위해
칫솔로 혀를 솔질한다
높은 점착성 또는 농도의
음식을 사용한다
식사 동안에 차고 뜨거운 음식을 교대로 제시한다
표 40-11 연하곤란 치료: 인두 단계
구조
중후군
문제
식사전 기술
식사 기술
연구개
답답한 목소리
(tight voice); 코
로 내뿜음
환자가 “아”라고
말할 때 공기가
코를 통과하는
느낌 또는 거울
이 김에 서림
긴장 감소
콧소리
긴장 증가
긴장 감소
경직
정상적인 머리/목 자세를
촉진한다
환자로 하여금 컵 모양의 치료사 손 안에 턱을 밀 어 넣도록 하고 다음에
치료사가 저항을 가함에
따라 손 안으로 민다; 그
후 환자는 “아”라고 말한
다
구개수 거상의 높이와
속도가 증가될 것이다;
뒤이어 온도 적용
정상적인 머리/목 자세
를 촉진한다
머리와 목을 정중선에 두고, 인두로 들어가는
음식의 속도를 감소시키 기 위해 환자로 하여금
턱을 약간 밀어 넣도록
한다.
삼키기 감소
삼키기 반사의
triggering 감소
온도 적용; 10초 동안 아
이스 워터나 칩에 놓여진
후의 후두경(pharyngeal
mirror #00)을 사용하여
구개궁의 기부를 접촉한 다; 10회까지 반복한다;
과정이 하루에 여러 번
반복 될 수 있다
교차적인 음식의 제공;
매우 차가운 물질로 시 작하고 다음에 따뜻한 것; 차가운 물질은 구개 궁의 민감도를 증가시킨 다; bolus가 기도로 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해 턱을 약간 앞 방향으 로 밀어 넣는다
설골
설골의 거상 감소
부족한 혀 거상
삼키기 지연
불완전한 삼키기
혀와 설골의 거상이 반응
의 triggering을 촉진함에
따라 혀등을 구부려 나르 는 것(humping)이 증가한 다
검지를 턱 밑의 혀의
기부에 두고, 혀의 거상 을 촉진시키기 위해 앞
방향으로 민다.
혀 오므림
비정상적 혀 긴장
;부족한 가동 범위
긴장을 감소
인두
삼키기 후 기침
인두 움직임 감소
후두강으로 침투
None
적절하다면 단계 2와 단 계 3의 고체 음식과 함
께 액체를 교대로 제공;
액체 물질이 인두를 통 해 고체로 나아간다
인두의 입힘
(coating)이 비디오
투시검사에서 보임
인두의 쇠약
등척성 또는 저항적
머리 및 목 운동
valleculae 및 pyriform
sinus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이차적인 dry
swallow를 하게 한다
머리를 강한 쪽으로 기 울인다
Supraglottic swallow
표 40-11 ━ 계속 연하곤란 치료: 인두 단계
구조
증후군
문제
식사전 기술
식사 기술
비디오투시검사의
anterior-posterior view로 보여짐; 잔여 물질이 편측으로 보임; 쇠약하거나 쉰 목소리
편측성 인두 움직
임
None
저긴장 환자를 위한 보상
적 기술; 마비측 pyriform
sinus에 고임(pooling)을 방지하기 위해 삼키기 동안
머리를 마비측을 향해 돌리도록 한다; 체간, 상지에서의 긴장 및 자세 등 환자에서 이것의 영향에 대비하여 기술을 평가한다
후두
삼키기 후에 기침,
숨막힘(choking)
후두 거상의 감소
긴장 감소
쇠약
후두의 측면을 얼음으로 재빠르게 차게 한다; 환자에게 삼키도록 요청한다;
후두를 위 방향으로 가이드 함으로서 움직임을 보조한
다
턱 아래로부터 sternal
notch의 각 측의 아래 방향으로 후두 근육조직을 진동한다
잔여물을 이동시키기 위 해 삼키기 바로 직후 인후
(목구멍)을 깨끗이 하도록
환자를 가르친다
Supraglottic swallow를
이용한다
Mendelsohn maneuver,
부자연스런(노력이 필요한)
삼키기
시끄럽거나 들리는
삼키기
긴장 증가
경직
조화되지 않은
삼키기
가동범위-손가락들과 엄
지를 후두의 양측을 따라 두고, 움직임이 매끄럽고
쉬워지고 긴장이 감소될 때까지 그것을 부드럽게 앞뒤로 움직인다
조각난 얼음 수건으로 싸여진 형태로 5분 동안 후두 주위에 댄다
손가락들과 엄지를 후두의 양측을 따라 두고, 환자가 삼키기 전에 위 방향으로 거상 하는 것을 돕는다
이중 삼키기
기관
(trachea)
삼키기 전, 삼키기
동안, 삼키기 후의
계속적인 기침
흡인-이전: 부족한 혀 조절; 동안: 삼키기 반응 지연; 이후: 인두 움직임 감소
환자에게 수의적인 기침을 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고 숨
을 내쉬는 동안 기침을 하
도록 요청한다; 치료사는
손바닥을 사용하여 흉골에
서 아래 방향(위를 향해)으
로 민다
환자가 계속 기침을 하도
록 촉진한다; 반사적 기침을 촉진한다; 환자가 숨을
내쉼에 따라 흉골에서 아래 방향으로 민다; 문제가 증가되면 환자에 suction을
한다
기침을 보조하기 위해 환자의 sternal notch 안으로민다
환자가 목에 손을 뻗거나 움켜 쥠
얼굴에 붉어짐
소리나 기침이
없다
기도가 막힘
None
Heimlich maneuver를 수행한다
의학적 보조를 구한다
표 40-12 연하곤란 치료: 식도 단계
구조
중후군
문제
식사전 기술
식사 기술
식도
삼키기 이후 음식이
나 액체의 잦은 토
함(regurgitation)과 기침이나 숨막힘;
식도에서 한 측면
pocket에 물질 퇴적
식도의 맹낭
(diverticulum)
의학적 진단을 요구한다;
문제가 전통적인 barium
X-ray 검사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수술의 교정이 필요하다
medical staff에게 중후군을
보고한다(치료사는 치료하지
못한다)
삼키기 이후 음식의 토함, 기침, 또는 음식에 목이 멤; 음식을 인두, 식도, 또는 위를 통해 통과시키기 못함
인두 또는 식도의 부분적 또는 전반적 폐색(차단)
식도의 연동운동
손상
의학적 진단을 요구한다;
문제가 전통적인 barium
X-ray 검사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수술의 교정이 필요하다
medical staff에게 중후군을
보고한다(치료사는 치료하지
못한다)
방향으로 압박을 준다
음식을 sulci 안으로 혀에서 벗어나거나 음식이 환자가 자가하지 못한 채 혀에 남아있다
불충분한 감각
아이스 칩이 인두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즈 안에 놓여진 아이스 칩으로 혀를 차게 한다
감각 수용기를 자극하기 위해
칫솔로 혀를 솔질한다
높은 점착성 또는 농도의
음식을 사용한다
식사 동안에 차고 뜨거운 음식을 교대로 제시한다
표 40-11 연하곤란 치료: 인두 단계
구조
중후군
문제
식사전 기술
식사 기술
연구개
답답한 목소리
(tight voice); 코
로 내뿜음
환자가 “아”라고
말할 때 공기가
코를 통과하는
느낌 또는 거울
이 김에 서림
긴장 감소
콧소리
긴장 증가
긴장 감소
경직
정상적인 머리/목 자세를
촉진한다
환자로 하여금 컵 모양의 치료사 손 안에 턱을 밀 어 넣도록 하고 다음에
치료사가 저항을 가함에
따라 손 안으로 민다; 그
후 환자는 “아”라고 말한
다
구개수 거상의 높이와
속도가 증가될 것이다;
뒤이어 온도 적용
정상적인 머리/목 자세
를 촉진한다
머리와 목을 정중선에 두고, 인두로 들어가는
음식의 속도를 감소시키 기 위해 환자로 하여금
턱을 약간 밀어 넣도록
한다.
삼키기 감소
삼키기 반사의
triggering 감소
온도 적용; 10초 동안 아
이스 워터나 칩에 놓여진
후의 후두경(pharyngeal
mirror #00)을 사용하여
구개궁의 기부를 접촉한 다; 10회까지 반복한다;
과정이 하루에 여러 번
반복 될 수 있다
교차적인 음식의 제공;
매우 차가운 물질로 시 작하고 다음에 따뜻한 것; 차가운 물질은 구개 궁의 민감도를 증가시킨 다; bolus가 기도로 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해 턱을 약간 앞 방향으 로 밀어 넣는다
설골
설골의 거상 감소
부족한 혀 거상
삼키기 지연
불완전한 삼키기
혀와 설골의 거상이 반응
의 triggering을 촉진함에
따라 혀등을 구부려 나르 는 것(humping)이 증가한 다
검지를 턱 밑의 혀의
기부에 두고, 혀의 거상 을 촉진시키기 위해 앞
방향으로 민다.
혀 오므림
비정상적 혀 긴장
;부족한 가동 범위
긴장을 감소
인두
삼키기 후 기침
인두 움직임 감소
후두강으로 침투
None
적절하다면 단계 2와 단 계 3의 고체 음식과 함
께 액체를 교대로 제공;
액체 물질이 인두를 통 해 고체로 나아간다
인두의 입힘
(coating)이 비디오
투시검사에서 보임
인두의 쇠약
등척성 또는 저항적
머리 및 목 운동
valleculae 및 pyriform
sinus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이차적인 dry
swallow를 하게 한다
머리를 강한 쪽으로 기 울인다
Supraglottic swallow
표 40-11 ━ 계속 연하곤란 치료: 인두 단계
구조
증후군
문제
식사전 기술
식사 기술
비디오투시검사의
anterior-posterior view로 보여짐; 잔여 물질이 편측으로 보임; 쇠약하거나 쉰 목소리
편측성 인두 움직
임
None
저긴장 환자를 위한 보상
적 기술; 마비측 pyriform
sinus에 고임(pooling)을 방지하기 위해 삼키기 동안
머리를 마비측을 향해 돌리도록 한다; 체간, 상지에서의 긴장 및 자세 등 환자에서 이것의 영향에 대비하여 기술을 평가한다
후두
삼키기 후에 기침,
숨막힘(choking)
후두 거상의 감소
긴장 감소
쇠약
후두의 측면을 얼음으로 재빠르게 차게 한다; 환자에게 삼키도록 요청한다;
후두를 위 방향으로 가이드 함으로서 움직임을 보조한
다
턱 아래로부터 sternal
notch의 각 측의 아래 방향으로 후두 근육조직을 진동한다
잔여물을 이동시키기 위 해 삼키기 바로 직후 인후
(목구멍)을 깨끗이 하도록
환자를 가르친다
Supraglottic swallow를
이용한다
Mendelsohn maneuver,
부자연스런(노력이 필요한)
삼키기
시끄럽거나 들리는
삼키기
긴장 증가
경직
조화되지 않은
삼키기
가동범위-손가락들과 엄
지를 후두의 양측을 따라 두고, 움직임이 매끄럽고
쉬워지고 긴장이 감소될 때까지 그것을 부드럽게 앞뒤로 움직인다
조각난 얼음 수건으로 싸여진 형태로 5분 동안 후두 주위에 댄다
손가락들과 엄지를 후두의 양측을 따라 두고, 환자가 삼키기 전에 위 방향으로 거상 하는 것을 돕는다
이중 삼키기
기관
(trachea)
삼키기 전, 삼키기
동안, 삼키기 후의
계속적인 기침
흡인-이전: 부족한 혀 조절; 동안: 삼키기 반응 지연; 이후: 인두 움직임 감소
환자에게 수의적인 기침을 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고 숨
을 내쉬는 동안 기침을 하
도록 요청한다; 치료사는
손바닥을 사용하여 흉골에
서 아래 방향(위를 향해)으
로 민다
환자가 계속 기침을 하도
록 촉진한다; 반사적 기침을 촉진한다; 환자가 숨을
내쉼에 따라 흉골에서 아래 방향으로 민다; 문제가 증가되면 환자에 suction을
한다
기침을 보조하기 위해 환자의 sternal notch 안으로민다
환자가 목에 손을 뻗거나 움켜 쥠
얼굴에 붉어짐
소리나 기침이
없다
기도가 막힘
None
Heimlich maneuver를 수행한다
의학적 보조를 구한다
표 40-12 연하곤란 치료: 식도 단계
구조
중후군
문제
식사전 기술
식사 기술
식도
삼키기 이후 음식이
나 액체의 잦은 토
함(regurgitation)과 기침이나 숨막힘;
식도에서 한 측면
pocket에 물질 퇴적
식도의 맹낭
(diverticulum)
의학적 진단을 요구한다;
문제가 전통적인 barium
X-ray 검사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수술의 교정이 필요하다
medical staff에게 중후군을
보고한다(치료사는 치료하지
못한다)
삼키기 이후 음식의 토함, 기침, 또는 음식에 목이 멤; 음식을 인두, 식도, 또는 위를 통해 통과시키기 못함
인두 또는 식도의 부분적 또는 전반적 폐색(차단)
식도의 연동운동
손상
의학적 진단을 요구한다;
문제가 전통적인 barium
X-ray 검사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수술의 교정이 필요하다
medical staff에게 중후군을
보고한다(치료사는 치료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