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치료원칙들(Principles of treatment)
운동학습(Motor Learning)
청각시스템(Auditory System)
시각시스템(Visual System)
촉각시스템(Tactile System)
평가(EVALUATION)
치료실행(Treatment lmplementation)
대각선 패턴들(Diagonal patterns)
편측성 패턴들(Unilateral Patterns)
양측의 패턴들(Bilateral Patterns)
상지와 하지의 혼합된 움직임들(Combined Movements)
전체 패턴(Total Patterns)
절차들(Procedures)
테크닉들(Techniques)
주동근에 가하는 테크닉들(Techniques Directed to the Agonist)
길항근에 의한 역운동 테크닉들(Reversal of Anatogonists Techniques)
이완 테크닉들(Relaxation Techniques)
운동학습(Motor Learning)
청각시스템(Auditory System)
시각시스템(Visual System)
촉각시스템(Tactile System)
평가(EVALUATION)
치료실행(Treatment lmplementation)
대각선 패턴들(Diagonal patterns)
편측성 패턴들(Unilateral Patterns)
양측의 패턴들(Bilateral Patterns)
상지와 하지의 혼합된 움직임들(Combined Movements)
전체 패턴(Total Patterns)
절차들(Procedures)
테크닉들(Techniques)
주동근에 가하는 테크닉들(Techniques Directed to the Agonist)
길항근에 의한 역운동 테크닉들(Reversal of Anatogonists Techniques)
이완 테크닉들(Relaxation Techniques)
본문내용
가 또는 강화가 각각의 연속적인 등장성 수축과 함께 느껴져야 한다.
율동적 안정화(Rhythmic stabilization)는 길항적 근육 집단들의 등척성 동시수축을 이끌어냄으로서 안정화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율동적 안정화는 심장질환 환자에게는 금기사항일 수도 있으며, 어떤 환자든 단번에 3-4회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환자는 점진적인 저항에 대항하여 정지하도록 요청된다. 환자로 하여금 이완하지 않도록 하면서 도수접촉은 반대 면으로 바꿔진다. 율동적 안정화는 ataxia나 근위부 약화로 인해 자세조절을 할 수 없는 환자에게 유용하다. 선 자세로 식사준비와 같은 자세 안정성을 요구하는 활동동안 간헐적으로 사용된다면 이 테크닉은 근 균형, 지구력, 그리고 움직임의 조절을 증가시킨다.
이완 테크닉들(Relaxation Techniques)
이완 테크닉들은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수동적 신장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 통증이나 강직이 있는 경우 효과적이다.
수축-이완(contract-relax)은 움직임 패턴의 제한 각도까지 수동운동, 뒤이어 최대저항에 대항해 길항근 패턴의 등장성 수축을 하는데, 대각선 움직임의 회전의 요소만이 허용된다. 이어서 이완하게 한 다음 더 멀리 주동근 패턴으로 수동운동을 한다(예로, 수축-이완은 D2 굴곡으로 제한 각도까지 수동운동, 뒤이어 D2 신전으로 등장성 수축, 다음 D2 굴곡으로 더 멀리 수동운동을 한다). 이런 과정은 제한이 느껴지는 가동범위의 각 각도에서 반복된다. 수축-이완은 주동근 패턴으로 전혀 능동 범위(움직임)가 없을 때 사용된다.
정지-이완(Hold-relax)은 수축-이완과 같은 순서로 수행되지만, 길항근의 등척성 수축, 이어서 이완, 그 다음 주동근 패턴으로 능동 움직임 등을 포함한다. 이 테크닉이 저항에 대항하는 등척성 수축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통증이 있거나 급성기 정형외과적 상태에 있는 환자에게 유익하다. 어깨관절 굴곡, 외전, 외회전에 통증이 있는 reflex sympathetic dystrophy(RSD) 환자를 위해, 치료사는 환자에게 D2 신전 패턴으로 저항에 대항해 정지하도록 요청하며, 이어서 D2 굴곡 패턴으로 능동 움직임을 개시하도록 요청한다. 이 테크닉은 머리를 감거나 등뒤에서 셔츠 지퍼 잠그는 자조활동 동안에 RSD 환자를 위하여 유익하다.
느린 역운동-정지-이완(slow reversal-hold-relax)은 등장성 수축으로 시작하며 이어서 등척성 수축, 길항근 패턴의 이완, 다음에 주동근 패턴의 능동적 움직임이 이어진다. 예로, 팔꿈치 굴근이 tight할 때 능동 주관절 신전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관절 굴근에 저항에 대해 주관절 굴곡과 D1 굴곡을 하도록 요청한다. 가동범위가 완수될 때 환자는 등척성 수축을 하고 이어서 이완하도록 요청된다. 이완이 느껴질 때 환자는 능동적으로 주관절 신전과 D1 신전으로 움직인다. 이 기술은 휠체어 브레이크를 잠그기 위해 손을 뻗거나 마루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줍는 것과 같은 활동을 위해 주관절 신전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율동적 회전(Rhythmic rotation)은 경직을 줄이고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치료사는 수동적으로 신체부위를 원하는 패턴으로 움직인다. 움직임에 뻣뻣함이나 제한이 느껴질 때 치료사는 신체부위를 양쪽 방향으로 천천히 율동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완이 느껴진 후에 치료사는 새롭게 가능한 범위로 계속하여 신체부위를 움직인다. 이 기술은 하지에 경직이나 근경련이 있는 하반신 마비환자가 바지를 입도록 준비하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경직성 사지에 splint 제작을 준비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율동적 안정화(Rhythmic stabilization)는 길항적 근육 집단들의 등척성 동시수축을 이끌어냄으로서 안정화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율동적 안정화는 심장질환 환자에게는 금기사항일 수도 있으며, 어떤 환자든 단번에 3-4회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환자는 점진적인 저항에 대항하여 정지하도록 요청된다. 환자로 하여금 이완하지 않도록 하면서 도수접촉은 반대 면으로 바꿔진다. 율동적 안정화는 ataxia나 근위부 약화로 인해 자세조절을 할 수 없는 환자에게 유용하다. 선 자세로 식사준비와 같은 자세 안정성을 요구하는 활동동안 간헐적으로 사용된다면 이 테크닉은 근 균형, 지구력, 그리고 움직임의 조절을 증가시킨다.
이완 테크닉들(Relaxation Techniques)
이완 테크닉들은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수동적 신장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 통증이나 강직이 있는 경우 효과적이다.
수축-이완(contract-relax)은 움직임 패턴의 제한 각도까지 수동운동, 뒤이어 최대저항에 대항해 길항근 패턴의 등장성 수축을 하는데, 대각선 움직임의 회전의 요소만이 허용된다. 이어서 이완하게 한 다음 더 멀리 주동근 패턴으로 수동운동을 한다(예로, 수축-이완은 D2 굴곡으로 제한 각도까지 수동운동, 뒤이어 D2 신전으로 등장성 수축, 다음 D2 굴곡으로 더 멀리 수동운동을 한다). 이런 과정은 제한이 느껴지는 가동범위의 각 각도에서 반복된다. 수축-이완은 주동근 패턴으로 전혀 능동 범위(움직임)가 없을 때 사용된다.
정지-이완(Hold-relax)은 수축-이완과 같은 순서로 수행되지만, 길항근의 등척성 수축, 이어서 이완, 그 다음 주동근 패턴으로 능동 움직임 등을 포함한다. 이 테크닉이 저항에 대항하는 등척성 수축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통증이 있거나 급성기 정형외과적 상태에 있는 환자에게 유익하다. 어깨관절 굴곡, 외전, 외회전에 통증이 있는 reflex sympathetic dystrophy(RSD) 환자를 위해, 치료사는 환자에게 D2 신전 패턴으로 저항에 대항해 정지하도록 요청하며, 이어서 D2 굴곡 패턴으로 능동 움직임을 개시하도록 요청한다. 이 테크닉은 머리를 감거나 등뒤에서 셔츠 지퍼 잠그는 자조활동 동안에 RSD 환자를 위하여 유익하다.
느린 역운동-정지-이완(slow reversal-hold-relax)은 등장성 수축으로 시작하며 이어서 등척성 수축, 길항근 패턴의 이완, 다음에 주동근 패턴의 능동적 움직임이 이어진다. 예로, 팔꿈치 굴근이 tight할 때 능동 주관절 신전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관절 굴근에 저항에 대해 주관절 굴곡과 D1 굴곡을 하도록 요청한다. 가동범위가 완수될 때 환자는 등척성 수축을 하고 이어서 이완하도록 요청된다. 이완이 느껴질 때 환자는 능동적으로 주관절 신전과 D1 신전으로 움직인다. 이 기술은 휠체어 브레이크를 잠그기 위해 손을 뻗거나 마루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줍는 것과 같은 활동을 위해 주관절 신전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율동적 회전(Rhythmic rotation)은 경직을 줄이고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치료사는 수동적으로 신체부위를 원하는 패턴으로 움직인다. 움직임에 뻣뻣함이나 제한이 느껴질 때 치료사는 신체부위를 양쪽 방향으로 천천히 율동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완이 느껴진 후에 치료사는 새롭게 가능한 범위로 계속하여 신체부위를 움직인다. 이 기술은 하지에 경직이나 근경련이 있는 하반신 마비환자가 바지를 입도록 준비하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경직성 사지에 splint 제작을 준비하는데도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