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김
2.미역
3.다시마
4.톳
5.청각
6.파래
7.모자반
8.우뭇가사리
9.천사채
10.기타
2.미역
3.다시마
4.톳
5.청각
6.파래
7.모자반
8.우뭇가사리
9.천사채
10.기타
본문내용
해조류란 무엇인가요 ?
바다에서 나는 조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일반적으로 소화율이 낮으나 무기질이 풍부하다. 특히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알칼리성 식품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종류로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가 있다. 갈조류(톳,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 등)와 홍조류(우뭇가사리, 김, 카라니긴 등)의 경우 바다에서 생육하지만 녹조류(파래, 청각, 청태 등)의 경우는 13.8%만이 해양에서, 나머지는 담수에서 서식한다. 선캄브리아시대부터 현재까지 살고 있다.
1.김(Purple laver)
홍조류이며 해태라고도 하고, 한천이 가장 많이 들어 있고, 헤미셀룰로오스, 소르비톨, 돌시톨 등이 들어 있으며, 아미노산이 많아 감칠 맛을 준다.
독특한 빛깔은 푸코에리트로빈에 의한 것이며, 향은 디메틸설파이드, 맛은 글리신, 알라닌, 쿠스틴, 만니트에 의한 것이다.
잡티가 적어야 하고 검고 광택이 많이 나는 것이 좋다.
바다에서 나는 조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일반적으로 소화율이 낮으나 무기질이 풍부하다. 특히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알칼리성 식품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종류로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가 있다. 갈조류(톳,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 등)와 홍조류(우뭇가사리, 김, 카라니긴 등)의 경우 바다에서 생육하지만 녹조류(파래, 청각, 청태 등)의 경우는 13.8%만이 해양에서, 나머지는 담수에서 서식한다. 선캄브리아시대부터 현재까지 살고 있다.
1.김(Purple laver)
홍조류이며 해태라고도 하고, 한천이 가장 많이 들어 있고, 헤미셀룰로오스, 소르비톨, 돌시톨 등이 들어 있으며, 아미노산이 많아 감칠 맛을 준다.
독특한 빛깔은 푸코에리트로빈에 의한 것이며, 향은 디메틸설파이드, 맛은 글리신, 알라닌, 쿠스틴, 만니트에 의한 것이다.
잡티가 적어야 하고 검고 광택이 많이 나는 것이 좋다.
추천자료
서비스 업체의 성공을 위한 전략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쟁우위 전략에 대하여
(주)놀부의 프랜차이즈 사례분석 레포트
이중 노동 시장
세계인의 정(情), 오리온 초코파이
오리온 초코파이 정(情)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인, 성공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전략, STP,...
파파존스(Papa john's) 브랜드분석과 파파존스 마케팅전략분석 및 파파존스 SWOT,STP,4P분석...
OUTBACK STEAKHOUSE - 아웃백스테이크, 아웃백마케팅전략, 아웃백기업분석
사교여 혼자 떠나는 여행
기업 마케팅 사례 분석 - CJ푸드빌의 새로운 한식 브랜드 『계절밥상』 (SWOT STP 7P) - 알찬...
1인식당 사업계획서 [ 혼자먹는 1인식당 창업 사업계획서 ] (SWOT, STP, 사업 서비스 청사진,...
비비고, 베트남 외식문화의 꽃을 피우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