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2권-인구와 생존물자
제1장 맬서스 이론, 그 발생과 지지
제2장 사실로부터의 추론
제3장 비유로부터의 추론
제4장 맬서스 이론의 부정
제1장 맬서스 이론, 그 발생과 지지
제2장 사실로부터의 추론
제3장 비유로부터의 추론
제4장 맬서스 이론의 부정
본문내용
이 증가한다는 특징을 가짐이 명백히 드러난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어느 곳에서나 인구 증가는 부의 평균적 생산량의 감소가 아니라 증가를 의미하였다.
인구 증가로 인해 부의 자연적 요소의 힘이 감소한다고 해도 인간적 요소의 힘이 엄청나게 증가하여 그 감소분을 보상하고 남는다. 인구가 조밀할수록 노동의 분업이 더 세밀하게 이루어지고 생산과 분배의 경제성이 더 높아진다. 그에 따라 진리는 멜서스 학설과 정반대가 된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구가 증가한다면, 문명 상태가 일정할 때 많은 인구는 적은 인구보다 부의 상대적 생산량도 많고 필요물자의 조달도 쉽다.
멜서스 이론은 근거도 없이 하나님의 법칙 탓으로 돌리려고 하지만 지금까지 본 것만으로도 인간의 제도 탓임을 추측할 수 있다.
인구 증가로 인해 부의 자연적 요소의 힘이 감소한다고 해도 인간적 요소의 힘이 엄청나게 증가하여 그 감소분을 보상하고 남는다. 인구가 조밀할수록 노동의 분업이 더 세밀하게 이루어지고 생산과 분배의 경제성이 더 높아진다. 그에 따라 진리는 멜서스 학설과 정반대가 된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구가 증가한다면, 문명 상태가 일정할 때 많은 인구는 적은 인구보다 부의 상대적 생산량도 많고 필요물자의 조달도 쉽다.
멜서스 이론은 근거도 없이 하나님의 법칙 탓으로 돌리려고 하지만 지금까지 본 것만으로도 인간의 제도 탓임을 추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