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세계시장 속에 KORE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발효 1년차에 44.9%, 발효 2년차에는 36.6%로 눈에 띄게 둔화 되었다. 또한 한싱가포르 FTA발효후 1년간 우리나라의 대싱가포르 수출은 24.6%나 증가해 동기간 동안의 대세계 수출증가율 15.8%에 비해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수입의 경우 8.3%증가하여 대세계 수입증가율 17.9%보다 낮은 증가세를 보였다. http://fta.customs.go.kr/FTA성과
Ⅲ. 결론
우리나라의 서양문물이 전해지면서 수많은 반대와 갈등을 겪어왔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결국 지금 우리나라는 그 시기를 다 지나 영어를 배워야함에 혈안이 되어있다.
아이러니한 일이겠지만, 시대는 변화하고 흐른다. 지금의 현실을 부정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부정할 수 없다면 그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하루 빨리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세계 속에서 한국은 적은 면적의 국토와 부족한 지하자원과 더불어 기술력과 대외적인 무역외에는 경제적으로 우월을 가지기 힘이 든다. 그만큼 대외무역에 대한 의존도가 크고 그로 인한 발전 가능성 또한 많다고 하겠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FTA는 우리에게 기회를 더 제공해주는 하나의 윤활유 역할을 한다.
시장이 커지면서 더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스스로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더욱 힘쓸 것이다.
지금의 반대의 목소리들은 시기를 늦추자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결국 시대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는 상황이라면 경쟁자에게 시장을 뺏기는 것과 같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경쟁력을 통해 시장을 확산 시켜가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일인데 지금의 분쟁들은 오히려 그 시장을 줄이자는 말밖에는 안되는 것이다.
예전부터 시장의 힘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있어왔지만 결국 지금의 시대에서 인정하듯 시장의 힘으로 재편되고 그로 인해 인간은 변화하며 사는 것이다.
변화 속에 자신을 가꿔야 발전이 있는 것이다. 현실에 안주한다면 결국 도태되고 만다.
부정적 상황보다는 긍정적 상황을 부분보다는 전체를 보고 단기보다 장기적 시각으로 FTA확산에 관한 문제를 받아들인다면 지금의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될 것이다.
한국은 아직도 선진국계열이 들지 못하고 있으며 우리의 경제는 대외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만큼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여건 또한 갖추고 있는 것이다.
지금의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은 더 큰 시장에 KOREA를 내던지는 수밖에 없다.
우리는 배수진을 치고 세계시장속에 뛰어들어야 진정한 경쟁력이 창출되는 것이다.
전 세계 경제들의 생사를 걸고 이루어지고 있는 FTA는 시대적 흐름임과 동시에 한국이 선진국으로 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참고문헌
1.다카시마 젠야.김동환 옮김.아담스미스.소화
2.이창우.손에잡히는FTA.조윤커뮤니케이션
3.앨빈토플러.김종웅역.부의미래.
4.한미FTA체결지원위원회.2006.10
5.http://fta.customs.go.kr/FTA성과
6. EBS.e-지식채널.2006.
7.이토 미쓰하루.김경미 옮김.존 케인즈.소화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23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