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의 구조(1차~4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열과 기화열이 크다.3)
정전기적인력
정전기적 인력은 하전을 띠고 있는 아미노산 사이에서 생기는 결합으로 양성알킬기와 음성알킬기 사이에서는 인력 같은 하전을 띠고 있는 알킬기에서는 반발력이 생긴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6609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94199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88%98%EC%86%8C_%EA%B2%B0%ED%95%A9
섬유상 단백질
구상 단백질
이용
세포나 조직의 구조
효소, 호르몬등 활발한 반응이 필요한 기관
구성
α-나선구조, β-병풍구조가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
α-나선구조, β-병풍구조가 함께 결합
삼차구조의 대부분은 위의 결합들로 형성된다. 오른쪽의 그림과 같이 삼차구조는 이차구조인 α-나선구조와 β-병풍구조 그리고 β-회전 구조들이 단백질 접힘으로 형성되는것이다. 이렇게 생긴 구조들을 우리는 서브유닛(Subunit)이라고 부른다. 삼차구조의 모양에 따라서 섬유상 단백질과 구상 단백질로 구분할 수 있다. 섬유상 단백질은 세포다 조직의 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많이 발견된다. 구상단백질은 효소와 같이 활발한 반응을 하게 된다. 또 섬유성 단백질은 α-나선구조끼리 또는 β-병풍구조끼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경우가 많고 구상단백질은 α-나선구조와 β-병풍구조가 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내용을 표로 정리 한 것이 표1 이다.
④.사차구조
사차구조 역시 삼차구조와 같은 종류의 힘에 의해서 형성된다. 사차구조는 2개 이상의 서브유닛으로 형성 된 단백질이다. 이 단계에서 같은 종류의 단백질이 모여 기능중심(활성부위)의 수를 높여 활성도를 높이거나 여러 종류의 단백질이 모여 새로운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만들기도 한다. 보통 비공유성힘에 의해 결합 되어 있어서 생물학적인 활성에 영향을주는 빠른 입체구조 변화가 쉽다. 사차구조를 가진 단백질은 헤모글로빈, RNA합성효소 리보솜등이 있다.
헤모글로빈은 2종류의 서브유닛(α사슬,β사슬)이 2개씩 모여있다. 4개의 서브유닛이 모여서 테트라머(tetramer)라고 부른다.
참고한 곳 : 지구문화사, New Life science, 강영희외 6명 저
. 신일상사, 리핀코트의 그림으로보는 생화학, 백형환 역
.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 네이버 백과사전
. 포탈사이트 구글에서 이미지 발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29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