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인터넷기술변혁][WWW][P2P의 보안대책]P2P의 등장요인, P2P의 서비스종류, P2P의 서비스구조, P2P의 인터넷기술변혁, P2P의 장애물, P2P의 수익모델, P2P와 WWW의 비교, P2P의 보안 대책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2P][인터넷기술변혁][WWW][P2P의 보안대책]P2P의 등장요인, P2P의 서비스종류, P2P의 서비스구조, P2P의 인터넷기술변혁, P2P의 장애물, P2P의 수익모델, P2P와 WWW의 비교, P2P의 보안 대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P2P의 등장요인

Ⅲ. P2P의 서비스종류
1. Napster
2. Gnutella
3. FreeNet
4. 소리바다

Ⅳ. P2P의 서비스구조
1. 서버를 통해 공유가 이루어지는 모델 : 혼합형(hybrid) P2P 모델
2. 자체적으로 공유가 이루어지는 모델 : 순수(pure) P2P 모델
3. P2P의 수익성 모델

Ⅴ. P2P의 인터넷기술변혁
1. 분산 컴퓨팅
2. 엄청난 파괴력 지닌 파일 스와핑 기술
3. 방대한 컨텐츠 저장소

Ⅵ. P2P의 장애물

Ⅶ. P2P의 수익모델

Ⅷ. P2P와 WWW의 비교

Ⅸ. P2P의 보안 대책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눈에 띄는 장애물은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문제다. P2P 네트웍은 저작권이 있는 컨텐츠의 불법적 유통 경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보다 나은 대안들이 제시되기 전까지 P2P 네트웍은 계속해서 불법 복제를 조장하게 될 것이며 그 책임 추궁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레코드 산업협회가 냅스터를 제소한 것은 기술업체들이 하루아침에 불법복제 범법자가 될 수 있다는 실례를 잘 보여줬다.
또한 P2P 업체들은 사용자들의 두려움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P2P 기술은 해킹과 바이러스 침투를 비롯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많은 컴퓨터 이용자들에게서 결코 환영 받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설사 100% 완벽한 보안 장치가 있다고 해도 많은 컴퓨터 사용자들은 타인에게 자신의 컴퓨터 내부에 대한 직접 접촉을 허용하는 P2P 개념 자체를 달가워하지 않을 것 같다. 自社 네트웍 보안에 상당히 민감한 기업들은 더 그럴 것이다.
Ⅶ. P2P의 수익모델
P2P는 정의 그대로, 직접 연결시킨다는 의미가 있으므로, 기존의 관점에서의 중개 수익모델은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냅스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익모델은 없어도 기존의 비즈니스에 미치는 파괴력은 크다. 일단, P2P 모델에서는 거래 건당 수수료를 받는 수수료 기반의 거래 수익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건당 수수료를 부과하는 P2P 네트워크가 있다면, 이를 bypass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가 계속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앞서 OPEN4U가 거래발생에 대해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는 정책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OPEN4U 모델에서 본 바와 같이, P2P 사업자는 중개자가 아닌 네트워커로서 존재한다. 중개자와 네트워커의 차이를 간단히 설명한다면, 중개자는 두 종류의 집단의 한 가운데 서서 기능하는 것이고, 네트워커는 동질적인 개체들을 엮거나 두 종류이상의 매우 이질적인 개체들을 엮어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판매자 집단과 구매자 집단의 한 가운데에 서서 기능하는 것이 중개상이지만, 네트워커는 여러 종류의 집단 또는 동질적인 개체들을 엮어냄으로써, 참여자들의 이익에 봉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P2P사업자는 네트워크 가입비라는 수익 모델을 생각할 수 있다. 또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가입은 무료로 하되, 그 네트워크에서 부가적인 서비스를 받을 경우 비용을 부과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또는, 전통적인 광고 모델도 가능하다. P2P 모델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주의를 집중해서 사용하게 되는 Peer Program을 가지게 되는데, 이 프로그램 패널이 중요한 광고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사용자의 특성은 일반적인 브라우저 사용자보다 더 구체적으로 판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타겟 광고는 광고 수용자에게도 더 가치 있는 광고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분산 컴퓨팅의 경우는 수익 모델은 확실히 있다. 오히려 중요한 이슈는 참여자들에게 어떻게 기꺼이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신뢰성과 보상을 제공하는가가 중요할 것이다.
Ⅷ. P2P와 WWW의 비교
구분
WWW
P2P
저장공간
웹서버
개인PC의 공유파일
이용프로그램
웹브라우저
P2P프로그램
검색대상
웹사이트
P2P프로그램 실행중인 개인 PC공유파일
검색방법
검색엔진
P2P프로그램
정보의 집중 여부
중앙집중
분산
신뢰성
높음(서비스 책임 명확)
낮음(서비스의 책임 불명확)
Ⅸ. P2P의 보안 대책
가. 원칙적으로 사용을 금지
나. 바이러스 백신을 최신판으로 업데이트하고 실시간 검사기능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들어오는 모든 파일을 검사
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반드시 백신으로 검사 후 실행
라. 다운로드 받은 동영상 파일이 지나치게 작다면 바이러스나 해킹 프로그램일 가능성이 크므로 파일 크기를 먼저 살펴본 후 다운로드 실시
※ 동영상 화일은 상영시간이 길고 화질이 깨끗할수록 파일 크기가 증가하지만 크기가 2~3메가바이트 이하일 경우는 일단 의심할 것
마. 파일 확장자가 2개 이상으로 된 파일은 해킹프로그램일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예) ****.scr.mp3, ****.exe.mpg, ****.vbs.avi 등
바. 메신저에서 불특정인으로부터 파일수신을 요구 받을 때 바이러스 감염파일일 가능성이 높음으로 삭제하거나 다운로드 금지
Ⅹ. 결론
일전 국내 한 대학 교수가 일반 PC를 조립하는 형식으로 그 성능이 슈퍼 컴퓨터에 대응하는 조립 품 슈퍼컴퓨터급을 탄생케 한 아이디어 진원지는 P2P와 결코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한 개인의 PC가 가지고 있는 자료는 별 것 아니지만 그것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정보교환이 신속히 이루어진다면 그것이 바로 슈퍼컴퓨터급와 다를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이같이 P2P의 가능성은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무한하지만 그것을 어떻게 응용하는 가에 달려 있다. 현행 저작권법상 보호 받는 저작물을 무단으로 공유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면 구호만 외치면서 불법행위를 숨기는 것이나 다름 아니다 정보공유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남의 재산권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위험한 발상에 젖어 있다. P2P를 누구나 공짜로 사용한다는 유혹으로 덮어서는 안 된다. 정보공유의 대상은 권리자가 이용자에게 처분의 제한을 해제한 것들이어야 한다. 본격적인 SOHO가 정착되면 개인 중심 단위로 큰 그룹으로 모이게 될 P2P의 중요성은 상당할 것으로 보여 진다. 소리바다는 시작에 불과한 P2P 변형물이다.
참고문헌
김경석·박진영·이구연 / P2P 네트워크 구조에 기반한 보안 모델 구현
유대종 / P2P와 프로그램 저작권과의 관계, 한국소프트웨어 진흥원, 2001
조재완·한성수·김천식 / P2P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경동대학교 학회지, 2001
전현성 외 4인 역, 앤디 오람 편 / 차세대인터넷 P2P - Peer-to-Peer: Harnessing the Power of Disruptive Technologies, 한빛미디어(주), 2001
정용민 / Pure P2P와 Hybrid P2P의 동작원리에 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3
팀오라일리 외 / 차세대 인터넷 P2P, 한빛미디어, 2001

키워드

P2P,   저작권,   MP3,   불법복제,   컨텐츠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7.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