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高麗 말 정치세력의 등장
1. 權門勢族과 新進士大夫의 용어의 개념과 한계
2. 世族과 新進士大夫의 양립구도
3. 공민왕의 反元的 개혁정치
4. 新進士大夫의 성장
5. 新進士大夫의 내부 분열과 朝鮮건국
Ⅲ. 기존논의의 한계
1. 충선왕대 개혁의 성격과 이후의 개혁의 성격
2. 高麗 말의 대외관계와 朝鮮건국 과정
3. 朝鮮을 건국한 세력의 정체성
Ⅳ. 맺음말
Ⅱ. 高麗 말 정치세력의 등장
1. 權門勢族과 新進士大夫의 용어의 개념과 한계
2. 世族과 新進士大夫의 양립구도
3. 공민왕의 反元的 개혁정치
4. 新進士大夫의 성장
5. 新進士大夫의 내부 분열과 朝鮮건국
Ⅲ. 기존논의의 한계
1. 충선왕대 개혁의 성격과 이후의 개혁의 성격
2. 高麗 말의 대외관계와 朝鮮건국 과정
3. 朝鮮을 건국한 세력의 정체성
Ⅳ. 맺음말
본문내용
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개혁의지에 동참하지만, 자신의 좌주나 스승의 탄핵에 대해 반대하는 이행(李行), 맹사성(孟思誠) 등이 그 예이다. 홍영의는 이들이 급진파와 이해를 같이 하다가 이들이 고려의 부정으로 이어지자 체제유지를 위해 온건개혁파로 전환했다고 밝히고 있다. 홍영의, 1995, 위의 글, p.75
그러나 이행(已行)의 경우 자신의 좌주인 이색(李穡) 탄핵에 반대하였던 것이고, 맹사성(孟思誠)의 경우 이숭인(李崇仁)의 죄를 탄핵하던 권근(權近)이 탄핵 당하자, 자신의 스승이라는 이유로 탄핵의 대열에서 빠지고 있다. 홍영의, 1995, 위의 글, p.77
그렇다면, 이것이 체제유지를 위해 온건개혁파로 전환한 것이라 해석하는 것은 다분히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성리학(性理學)적 인간관 안에서 도(道)와 예(藝)를 중시하였을 것이라는 점, 그리고 구법(舊法)의 숭앙(崇仰)을 통해 당시 체제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개혁을 시도하였을 것이라는 점에서 신진사대부가 가진 개혁의지의 실체를 밝혀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성계(李成桂)· 정도전(鄭道傳) 등의 정치적 상승욕구에 대해 파악하고 그들의 조선건국과 당시 신진사대부의 정치적 개혁의지를 별개의 문제로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맺음말
지금까지 사대부의 기원과 성격에 관한 문제와 고려 말 정국과 조선 건국에 관한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사대부의 기원과 성격은 한국 중세사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깊은 것이었다. 사대부 존재에 대한 인정과 권문세족과의 차별성 여부에 따라 한국 중세 정치사에 대한 설명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연구사적인 접근의 결과 현재 사대부의 존재에 대해서는 모든 연구자 사이에서 공감을 얻고 있는 듯하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비록 반론이 있기는 하였지만, 대체로 사대부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은 오히려 사대부의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해주고 있으며, 이는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해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사대부와 민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야 할 점이 많다고 생각된다. 시진사사대부(新進士大夫)의 개혁론이 정치적인 차원에서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사회전제로 그 의미를 확장할 수 있으려면 아무래도 백성들의 동향과 개혁론의 상관관계에 대해 좀 더 풍부한 해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공민왕대 이후 정국의 동향과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의 성장, 그리고 조선 건국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이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선 성리학적 동류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들은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정치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우왕 대 두 세력으로 자기분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사대부는 지속적인 성장을 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조선건국의 의미를 유추해보면, 우선 충선왕대 이후 개혁정치의 종착점과 지배세력의 교체 과정이었다는 점에서 조선 건국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곧, 권문세족에 의한 사회경제적인 모순의 극복 과정이 개혁정치였다면 창왕(昌王) 대 전제개혁안과 과전법의 공포, 그리고 조선의 건국은 지배세력인 권문세족(權門勢族) 대신 개혁세력이었던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가 지배세력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는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는 점에서 개혁의 종착점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지배세력의 교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민현구, 1968,「신돈의 집권과 그 정치적 성격」 , 『역사학보』, 역사학회
박종기, 1992,「14세기 역사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역사와 현실』7 ,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2,「충선왕 즉위년(1298)‘개혁정치의 성격」, 『역사와 현실』7 , 한국역사연구회
전병무, 1993,「고려 충혜왕의 상업 활동과 재정정책」, 『역사와 현실』10 , 한국역사연구회,
김순자, 1995「고려 말 대중국관계의 변화와 신흥유신의 사대론」, 『역사와현실』15 , 한국역사연구회
박재우, 1995,「고려말 정치상황과 신흥유신」,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5,「공민왕대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최연식, 1995,「공민왕의 정치적 지향과 정치운영」,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홍영의, 1995,「고려말 신흥유신의 추이와 분기」,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1995,『한국역사입문』2, 풀빛
도현철, 1996,「고려말기 사대부의 불교인식과 대응」, 『역사와 현실』20. 한국역사연구회
이형우, 1997,「우왕의 왕권강화 노력과 그 좌절」, 『역사와 현실』23. 한국역사연구회
강은경, 2000,「고려후기 신돈의 정치개혁과 이상국가」, 『한국사학보』제9호, 한국역사연구회
도현철, 2001,「고려말 사대부의 왕안석 인식」, 『역사와 현실』42. 한국역사연구회
임용한, 2001,「고려후기 유학자와 국가개혁논의(서평)-
김인구, 1991,『고려후기 사대부의 경세론 연구』, 혜안」, 『역사와 현실』39. 한국역사연구회
김영수, 2002,「고려말 신돈의 정치에 대한 연구」上『동양정치사상사』1권2호, 한국동양정치사상학회
심재석, 2002,『고려국왕책봉연구』, 혜안
김인호, 2003,「원간섭기 이상적 인간형의 역사상 추구와 형태」,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종기, 2003,「원간섭기 사회현실과 개혁론의 전개」,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종기, 2003,「총론:원간섭기 유교지식인의 사상적 지형」,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신호웅, 2003,「공민왕대 신돈의 개혁정치와 우창비왕설」, 『이화사학연구』, 이화사학연구소
이익주, 2003,「14세기 유학자의 현실인식과 성리학 수용과정의 연구」,『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채웅석, 2003,「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용운, 1988,『고려시대사』, 일지사
김광철, 1991,『고려 후기 세족층 연구』, 동아대출판부
한국역사연구회, 1994,『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그러나 이행(已行)의 경우 자신의 좌주인 이색(李穡) 탄핵에 반대하였던 것이고, 맹사성(孟思誠)의 경우 이숭인(李崇仁)의 죄를 탄핵하던 권근(權近)이 탄핵 당하자, 자신의 스승이라는 이유로 탄핵의 대열에서 빠지고 있다. 홍영의, 1995, 위의 글, p.77
그렇다면, 이것이 체제유지를 위해 온건개혁파로 전환한 것이라 해석하는 것은 다분히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성리학(性理學)적 인간관 안에서 도(道)와 예(藝)를 중시하였을 것이라는 점, 그리고 구법(舊法)의 숭앙(崇仰)을 통해 당시 체제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개혁을 시도하였을 것이라는 점에서 신진사대부가 가진 개혁의지의 실체를 밝혀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성계(李成桂)· 정도전(鄭道傳) 등의 정치적 상승욕구에 대해 파악하고 그들의 조선건국과 당시 신진사대부의 정치적 개혁의지를 별개의 문제로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맺음말
지금까지 사대부의 기원과 성격에 관한 문제와 고려 말 정국과 조선 건국에 관한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사대부의 기원과 성격은 한국 중세사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깊은 것이었다. 사대부 존재에 대한 인정과 권문세족과의 차별성 여부에 따라 한국 중세 정치사에 대한 설명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연구사적인 접근의 결과 현재 사대부의 존재에 대해서는 모든 연구자 사이에서 공감을 얻고 있는 듯하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비록 반론이 있기는 하였지만, 대체로 사대부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은 오히려 사대부의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해주고 있으며, 이는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해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사대부와 민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야 할 점이 많다고 생각된다. 시진사사대부(新進士大夫)의 개혁론이 정치적인 차원에서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사회전제로 그 의미를 확장할 수 있으려면 아무래도 백성들의 동향과 개혁론의 상관관계에 대해 좀 더 풍부한 해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공민왕대 이후 정국의 동향과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의 성장, 그리고 조선 건국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이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선 성리학적 동류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들은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정치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우왕 대 두 세력으로 자기분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사대부는 지속적인 성장을 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조선건국의 의미를 유추해보면, 우선 충선왕대 이후 개혁정치의 종착점과 지배세력의 교체 과정이었다는 점에서 조선 건국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곧, 권문세족에 의한 사회경제적인 모순의 극복 과정이 개혁정치였다면 창왕(昌王) 대 전제개혁안과 과전법의 공포, 그리고 조선의 건국은 지배세력인 권문세족(權門勢族) 대신 개혁세력이었던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가 지배세력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는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는 점에서 개혁의 종착점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지배세력의 교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민현구, 1968,「신돈의 집권과 그 정치적 성격」 , 『역사학보』, 역사학회
박종기, 1992,「14세기 역사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역사와 현실』7 ,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2,「충선왕 즉위년(1298)‘개혁정치의 성격」, 『역사와 현실』7 , 한국역사연구회
전병무, 1993,「고려 충혜왕의 상업 활동과 재정정책」, 『역사와 현실』10 , 한국역사연구회,
김순자, 1995「고려 말 대중국관계의 변화와 신흥유신의 사대론」, 『역사와현실』15 , 한국역사연구회
박재우, 1995,「고려말 정치상황과 신흥유신」,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5,「공민왕대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최연식, 1995,「공민왕의 정치적 지향과 정치운영」,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홍영의, 1995,「고려말 신흥유신의 추이와 분기」,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1995,『한국역사입문』2, 풀빛
도현철, 1996,「고려말기 사대부의 불교인식과 대응」, 『역사와 현실』20. 한국역사연구회
이형우, 1997,「우왕의 왕권강화 노력과 그 좌절」, 『역사와 현실』23. 한국역사연구회
강은경, 2000,「고려후기 신돈의 정치개혁과 이상국가」, 『한국사학보』제9호, 한국역사연구회
도현철, 2001,「고려말 사대부의 왕안석 인식」, 『역사와 현실』42. 한국역사연구회
임용한, 2001,「고려후기 유학자와 국가개혁논의(서평)-
김인구, 1991,『고려후기 사대부의 경세론 연구』, 혜안」, 『역사와 현실』39. 한국역사연구회
김영수, 2002,「고려말 신돈의 정치에 대한 연구」上『동양정치사상사』1권2호, 한국동양정치사상학회
심재석, 2002,『고려국왕책봉연구』, 혜안
김인호, 2003,「원간섭기 이상적 인간형의 역사상 추구와 형태」,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종기, 2003,「원간섭기 사회현실과 개혁론의 전개」,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종기, 2003,「총론:원간섭기 유교지식인의 사상적 지형」,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신호웅, 2003,「공민왕대 신돈의 개혁정치와 우창비왕설」, 『이화사학연구』, 이화사학연구소
이익주, 2003,「14세기 유학자의 현실인식과 성리학 수용과정의 연구」,『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채웅석, 2003,「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용운, 1988,『고려시대사』, 일지사
김광철, 1991,『고려 후기 세족층 연구』, 동아대출판부
한국역사연구회, 1994,『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추천자료
정몽주와 정도전의 배불론 비교 검토
경기체가와 속요의 전반적인 특징☆
시조의 사적 전개 과정과 그 특성
조선시대 교육
강호가도의 형성과 성격
[국문학] 임춘의 국순전과 이규보의 국선생전 비교 연구(소논문)
가사와 시조의 기원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조선시대 교육의 문제점 및 고찰 및 현대교육에의 시사점
레포트_농업(고려시대와의 비교)
무신 집권기의 문학적 전환
[조선시대 문학][여성가사][시조][한문단편][청구야담]조선시대 문학의 특징, 조선시대 문학 ...
국문학사 정리 (6단원 ~ 9단원) -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설화]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개념,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개조식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