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상표의 정의
Ⅲ. 상표의 구분
1. 상표(Trade Mark)
2. 서비스표(Service Mark)
3. 단체표장(Collective Mark)
4. 업무표장(Business Emblem)
Ⅳ. 상표의 구조
Ⅴ. 상표의 등록요건
1. 상표법 제6조제1항 각호에서 정한 요건(자타상품의 식별력)
2. 상표법 제7조제1항 각호에서 정한 요건
Ⅵ. 상표의 국제등록제도
1. 마드리드의정서 성립의 경위
2. 의정서의 개요
Ⅶ. 상표와 상표명
Ⅷ. 상표와 도메인네임
1. 도메인 네임의 출처표시적 기능
2. 도메인 네임과 관련된 문제의 유형
3. 관련 이론
1) 혼동이론
2) 희석(dilution)이론
4. 현행법
1) 상표법
2) 부정경쟁방지법
Ⅸ. 상표의 상표자산
Ⅹ. 상표의 고려상표군
1. 고려 상표군의 형성
2. 고려 상표군의 개념
3. 고려 상표군의 형성과정
4. 고려 상표군의 구성(composition)
5. 고려 상표군의 크기
참고문헌
Ⅱ. 상표의 정의
Ⅲ. 상표의 구분
1. 상표(Trade Mark)
2. 서비스표(Service Mark)
3. 단체표장(Collective Mark)
4. 업무표장(Business Emblem)
Ⅳ. 상표의 구조
Ⅴ. 상표의 등록요건
1. 상표법 제6조제1항 각호에서 정한 요건(자타상품의 식별력)
2. 상표법 제7조제1항 각호에서 정한 요건
Ⅵ. 상표의 국제등록제도
1. 마드리드의정서 성립의 경위
2. 의정서의 개요
Ⅶ. 상표와 상표명
Ⅷ. 상표와 도메인네임
1. 도메인 네임의 출처표시적 기능
2. 도메인 네임과 관련된 문제의 유형
3. 관련 이론
1) 혼동이론
2) 희석(dilution)이론
4. 현행법
1) 상표법
2) 부정경쟁방지법
Ⅸ. 상표의 상표자산
Ⅹ. 상표의 고려상표군
1. 고려 상표군의 형성
2. 고려 상표군의 개념
3. 고려 상표군의 형성과정
4. 고려 상표군의 구성(composition)
5. 고려 상표군의 크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체적인 개념이 있는데 첫째, 고려 상표군은 새로운 상표가 인지 상표군에 들어올 때마다 그 상표 하나만으로 결정한다. 소비자들은 어느 한 시점에서 하나의 상표만을 고려하여 이 상표가 장래의 고려대상(구매의사 결정)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가부간에 결정(binary decision)한다. 만일에 이 상표가 적합하다고 생각되면 고려 상표군에 들어가고 아니라고 생각되면 거부된다. 이 가부간의 결정은 소비자가 자신이 그 상표를 평가할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다고 느끼자마자 이루어진다(Bebuax와 Mittelstaedt 1978). 두 번째의 개념으로는, 고려 상표군은 어느 한 시점에서 인지 상표군내의 모든 상표를 동시에 고려하고 평가해서 형성된다. 만일 새로운 상표가 인지 상표군에 들어오면 전체 상표에 대해 이 모든 과정이 다시 반복된다(Parkinson와 Rellly.1979)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은 구매상황에서 구매가능한 상표들의 소집합(subset)만을 고려함으로써 소비자는 가용 상품관련 정보의 일부만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한 제품영역에서 최소한 2단계의 의사결정 즉 고려 상품군을 형성하기위한 의사결정(평가)과 고려 상품군만을 대상으로 하는 최종의사결정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첫 단계에서 구매자들은 정보처리 전략(processing strategy or judgment strategy)을 이용해서 다음 번 구매 시 고려할 상표군-고려 상표군-을 결정하며, 구체적 구매상황이 발생했을 때 소비자는 의사결정을 위해 고려 상표군내의 상표들에 대해 다른 전략-같은 전략을 재적용 한수 있다-를 적용한다(Parkinson과 Reilly,1979)
4. 고려 상표군의 구성(composition)
-Howard의 개념학습을 이론에 의한 고려 상표군의 구성
Howard는(1977) adoption process내의 3가지 개념학습 단계를 구분하였는데 첫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신제품의 차별적인 기능과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신제품의 개념을 형성한다. 이것이 개념형성(concept formation)단계이다. 개념형성은 여기서 미경험 상표군(untried set)에서 결과된 학습과정으로 정의된다. 즉 개념형성 단계에서는 고려상표군이 미경험 상표들로 구성된다. 신제품 채택의 두 번째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미경험 상표(untried brand)와 전에 이미 경험한 경험상표(tried brand)와 비교해서 제품개념을 확장한다. 이것이 개념획득(concept attainment) 또는 개념확장(concept extension) 단계이다. 개념확장 단계에서는 고려 상표군이 혼합 상표군(mixed set)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제품개념을 완전히 학습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고려 상품군을 경험한 상표(tried set)로만 구성하게 된다. 이 단계가 개념이용(concept utilization) 단계이다. 또한, 고려 상표군의 구성과 직업의 지위와는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직위가 높을수록 미경험 상표들로, 지위가 낮을수록 경험 상표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Howard 1977). 또한 정보에 대한 설명이 다른 것도 서로 다른 유형의 고려 상표군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즉, 특정 상품에 대해 어떤 상품을 원하느냐는 질문에 특정 상표를 지적하는 사람은 경험 상표들로만, 그의 특성을 지적하는 사람은 혼합 상표들로, 원하는 성능을 대답한 사람은 미경험 상표들로만 구성된다.(Howard 1977)나. 범주화 과정(categorization process)에 의할 고려 상표군의 구성 Troye(1983)는 고려 상표군이 범주화과정의 결과로서 구성된다고 하였는데 소비자가 그의 고려 상표군을 형성하게끔 하는 방법은,
(1) conjunctive cutoff rule을 이용하여 각각의 대안을 평가하는 방법
(2) 소비자가 바라는 바람직한 이상적인 원형(prototype)과 비교하는 방법(prototype model)
(3) 소비자가 바라는 바람직한 특정 견본(examplar)과 비교하는 방법(examplar model)
(4) 하나 이상의 차원으로 유사한 것끼리 자유로이 구분하는 방법(free classification)이 있다.
고려 상표군내의 상표들은 고려 상표군 이외의 상표들보다 그 사람의 이상적인(Ideal) 제품과 유사하다. 또한 서로 유사한 대체 안에 접한 사람은 서로 이질적인(heterogeneous) 대체 안에 접한 사람보다 그들 모두를 채택하거나 거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아주 유사한 대체안의 경우 고려 상표군의 크기는 매우 크거나 작게 된다.
5. 고려 상표군의 크기
고려 상표군의 크기는 구매자의 선택의 폭을 제한하는 조건이 되기 때문에 고려 상표군의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려 상표군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고려 상표군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고려 상표군의 형성 과정과 함께 그의 크기와 결정 요인들을 연구해 왔다. Campbell(1969)은 고려 상표군의 존재와 그의 결정요인을 찾는 그의 연구에서 거의 모든 응답자들의 고려 상표군이 7개를 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Narayama와 Markin(1975)은 그들이 실시한 실험에서 맥주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소비자용품에서 4개 이상의 고려 상표군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고려 상표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구(1998) - 상표개성을 통한 광고전략 연구, 광고학연구, 제 9권 1호
김흥규·김유경·최원주(2001) - 광고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 상표개성과 광고표현요소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 12권 3호
이동흡(1992) - 상표의 특별현저성, 지적재산권에 관한 제문제(하), 재판자료 제57집, 법원행정처
임헌문(1986) -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외국상표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 논문
황익(1992) - 상표법 제7조의 상표부등록사유, 지적재산권에 관한 제문제(하), 재판자료 제57집, 법원행정처
첫 단계에서 구매자들은 정보처리 전략(processing strategy or judgment strategy)을 이용해서 다음 번 구매 시 고려할 상표군-고려 상표군-을 결정하며, 구체적 구매상황이 발생했을 때 소비자는 의사결정을 위해 고려 상표군내의 상표들에 대해 다른 전략-같은 전략을 재적용 한수 있다-를 적용한다(Parkinson과 Reilly,1979)
4. 고려 상표군의 구성(composition)
-Howard의 개념학습을 이론에 의한 고려 상표군의 구성
Howard는(1977) adoption process내의 3가지 개념학습 단계를 구분하였는데 첫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신제품의 차별적인 기능과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신제품의 개념을 형성한다. 이것이 개념형성(concept formation)단계이다. 개념형성은 여기서 미경험 상표군(untried set)에서 결과된 학습과정으로 정의된다. 즉 개념형성 단계에서는 고려상표군이 미경험 상표들로 구성된다. 신제품 채택의 두 번째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미경험 상표(untried brand)와 전에 이미 경험한 경험상표(tried brand)와 비교해서 제품개념을 확장한다. 이것이 개념획득(concept attainment) 또는 개념확장(concept extension) 단계이다. 개념확장 단계에서는 고려 상표군이 혼합 상표군(mixed set)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제품개념을 완전히 학습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고려 상품군을 경험한 상표(tried set)로만 구성하게 된다. 이 단계가 개념이용(concept utilization) 단계이다. 또한, 고려 상표군의 구성과 직업의 지위와는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직위가 높을수록 미경험 상표들로, 지위가 낮을수록 경험 상표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Howard 1977). 또한 정보에 대한 설명이 다른 것도 서로 다른 유형의 고려 상표군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즉, 특정 상품에 대해 어떤 상품을 원하느냐는 질문에 특정 상표를 지적하는 사람은 경험 상표들로만, 그의 특성을 지적하는 사람은 혼합 상표들로, 원하는 성능을 대답한 사람은 미경험 상표들로만 구성된다.(Howard 1977)나. 범주화 과정(categorization process)에 의할 고려 상표군의 구성 Troye(1983)는 고려 상표군이 범주화과정의 결과로서 구성된다고 하였는데 소비자가 그의 고려 상표군을 형성하게끔 하는 방법은,
(1) conjunctive cutoff rule을 이용하여 각각의 대안을 평가하는 방법
(2) 소비자가 바라는 바람직한 이상적인 원형(prototype)과 비교하는 방법(prototype model)
(3) 소비자가 바라는 바람직한 특정 견본(examplar)과 비교하는 방법(examplar model)
(4) 하나 이상의 차원으로 유사한 것끼리 자유로이 구분하는 방법(free classification)이 있다.
고려 상표군내의 상표들은 고려 상표군 이외의 상표들보다 그 사람의 이상적인(Ideal) 제품과 유사하다. 또한 서로 유사한 대체 안에 접한 사람은 서로 이질적인(heterogeneous) 대체 안에 접한 사람보다 그들 모두를 채택하거나 거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아주 유사한 대체안의 경우 고려 상표군의 크기는 매우 크거나 작게 된다.
5. 고려 상표군의 크기
고려 상표군의 크기는 구매자의 선택의 폭을 제한하는 조건이 되기 때문에 고려 상표군의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려 상표군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고려 상표군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고려 상표군의 형성 과정과 함께 그의 크기와 결정 요인들을 연구해 왔다. Campbell(1969)은 고려 상표군의 존재와 그의 결정요인을 찾는 그의 연구에서 거의 모든 응답자들의 고려 상표군이 7개를 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Narayama와 Markin(1975)은 그들이 실시한 실험에서 맥주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소비자용품에서 4개 이상의 고려 상표군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고려 상표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구(1998) - 상표개성을 통한 광고전략 연구, 광고학연구, 제 9권 1호
김흥규·김유경·최원주(2001) - 광고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 상표개성과 광고표현요소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 12권 3호
이동흡(1992) - 상표의 특별현저성, 지적재산권에 관한 제문제(하), 재판자료 제57집, 법원행정처
임헌문(1986) -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외국상표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 논문
황익(1992) - 상표법 제7조의 상표부등록사유, 지적재산권에 관한 제문제(하), 재판자료 제57집, 법원행정처
추천자료
판례 인용상표
패션브랜드 상표분석-베이직하우스
[패션마케팅] 성공브랜드조사(후부)-FUBU 상표분석
소비자의 구매행동유형과 상표충성도에 관한 연구
상호, 상표, 외래어와 순화어
효과적인 공학 프로젝트 작성법과 외국의 상표도용 피해 사례
특허의 모든것, 실용신안/의장법/상표권/특허의 성공/실패 사례
◈국제기업의 상표(brand) 전략과 사례연구◈
한국 및 북미시장에서 제네시스의 포지셔닝과 상표확장 전략
소비자의 고려상표군에 포함시키기 위한 기업의 마케팅 노력에 관련된 사례를 찾아 그 이론적...
지적 재산권 (저작권 산업재산권 특허권 실용신안권 상표권)
대형마트의 유통업체 상표개발에 대하여 토론.
개별 소비자의 생활 배경에 따른 소비자와 상표간의 관계
개별 소비자의 생활배경에 따른 소비자와 상표간의 관계 [life story와 상품 구매 상관관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