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중국불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인도의 종교사상
인도불교
사성제 (四聖諦)
삼법인 (三法印)
공(空)
팔정도 (八正道)
十二緣生(십이연생)
열반, 해탈
중국불교
인도 유식(唯識)불교의 아랴야식 연기설
진여(眞如,眞心)연기설
천태불교, 화엄불교
화엄불교
사법계(四法界)
선(禪)불교

본문내용

인도와 중국불교








인도의 종교사상
━━━━━━━━━━─────────

[전통 “베다”를 신봉하는 바라문]

● 종교적 제사중시, 혈통중시 ,梵我如一 (인간의 자아인 아트만과 우주 근본원리인 브라만이 동일) 사상

[바라문을 반대하는 “사문”]

● 혁신적, 자유 수행가. “베다” 권위를 부정. 석가 역시 이들 중의 사상가 .








인도불교
━━━━━━━━━━─────────

● 불교는 기원전6-4세기경, “베다” 의 전통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새로운 사상가인 “사문”에 속한 혁신 사상으로 출현.

● 사문의 여러 사상가 중, 석가의 등장.

● 석가는 쾌락주의와 고행주의의 극단을 떠나 중도(中道) 를 바른 견해라고 함.








인도불교
━━━━━━━━━━─────────

● 초기 불교 경전인 “아함경” 의 주요내용으로는, 삼법인(三法印)과 사성제(四聖諦) 가 있고 수행방법으로 팔정도(八正道)가 있음.

● 사성제 (四聖諦) :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인생의 고통의 원인과 고통을 벗어나는 해탈의 방법을 설명하는 가르침.








사성제 (四聖諦)
━━━━━━━━━━─────────

● 고성제(苦聖諦) : 존재하는 모든 것이 고통.

● 집성제(集聖諦) : 고통의 원인은 집착.

● 멸성제(滅聖諦) : 고통의 소멸은 열반.

● 도성제(道聖諦) : 열반에 이르는 것이 도.








삼법인 (三法印)
━━━━━━━━━━─────────

● 諸行無常(제행무상) : 모든 것이 恒常,이나 不變이 아님.  무상(無常).

● 諸法無我(제법무아) : 모든 것에 고정된 불변의 자아가 없음.  緣起法(연기법) 의 인식.

● 涅槃寂靜(열반적정) : 집착에서 자유로워지고 새로운 깨달음을 얻음  열반(涅槃).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93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