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NGO & 긴급구호란?
2) 본론 – 기아대책 : 중국 칭하이 지진
월드비전 : 아이티 지진
굿네이버스 : 칠레지진
3) 결론 – 국내 긴급구호의 장점과 단점
+ 우리가 국제개발협력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것
2) 본론 – 기아대책 : 중국 칭하이 지진
월드비전 : 아이티 지진
굿네이버스 : 칠레지진
3) 결론 – 국내 긴급구호의 장점과 단점
+ 우리가 국제개발협력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것
본문내용
구: 3백만 명), 진앙지는 수도에서 남서쪽으로 15km 떨어진 곳
사망자 수
정확한 수가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아이티 대통령은 3만-5만 명을 추정하고 있으며, 최대 10만 명까지도 예상.
피해자수
최대 3백만 명 (국제적십자사 추정)
일반적인 피해현황
-공항이 파손되고 수많은 학교, 보건소, 건물들이 무너졌고, 대통령궁도 무너져 내림. 시내 곳곳에 시체들이 즐비한 상황이며, 집이 일부 무너진 사람들도 여진의 두려움으로 거리에 나와서 생활하고 있음.-전화, 인터넷을 비롯한 통신이 마비되어 현지 상황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나 월드비전 현지 직원들 중 현재까지 3명의 집도 완전히 무너졌다고 파악됨.
2. 초기 7일 대응계획 및 현황
이번 아이티 대지진에서 피해자들에게 식량, 식수, 피난처, 의료용품과 약품지원이 가장 긴급한 사항으로 결정되었다. 월드비전은 이번 아이티 대지진의 피해상황 중 특히 아동들의 피해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이번 재난으로 인한 아동들의 보호환경이 더 열악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아이티 아동들은 이미 수천 명이 아동노동의 피해자이고 아동권리가 취약, 서반구에서 아동교육과 보건이 가장 열악한 국가이며, 중남미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이다.
2-1 월드비전 한국의 대응현황 (지진 발생일로부터 7일 대응현황)
월드비전 한국은 초기 긴급구호사업비로 $30,000 (한화 약 3천 7백만 원)지원을 실시하였으며, 미화 50만불을 목표로 모금 진행하였다. 한국에서 의료진 파견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월드비전 아이티, 도미니카 공화국, 국제긴급구호팀 파견자들과 함께 신속한 연락을 하며 현지 상황을 계속 검토하였다. 현재까지(사건발생 후 7일) 포르토프랭스 내 동쪽지역인 Lower Petionville과 Canape Vert에서 약 7,000여 가구에 긴급구호물자를 배분하였고, 이 중 2,000여 가구분의 구호물품은 지진발생 이전부터 아이티 내에 사전에 비축하고 있던 식수, 의복, 위생키트, 조리도구 등이며, 미국에서 공수된 담요, 방수포, 조리도구 키트, 위생키트, 물통 등이 5,000여 가구에 계속해서 배분되어질 계획이다. 또한 긴급의약품을 아이티 시내 11개 병원에 지원했으며 월드비전 자원봉사자들은 이동보건소를 운영, 추가로 방수포, 담요, 비누, 식수, 식량 등이 지원될 예정이다. 월드비전은 초기 7일 까지는 식수위생, 긴급구호물품지원에 주력하였으나, 추가로 이번 지진으로 고아가 된 아동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빠른 시일 내에 아동쉼터 지원을 실시 계획을 세웠다. 당시 월드비전의 각 긴급구호 영역별 전문가가 포함된 현장 긴급피해 욕구 조사팀의 조사결과가 취합되어 초기 긴급구호 90일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 구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상태였다.
<참고 1> 대응현황 세부내용
<참고 2> 긴급구호 장소 및 물자 세부 목록
3. 아이티 대지진 90일 긴급구호계획
사업명 : 아이티 강진 90일 긴급구호
(Haiti Earthquake 90 days Emergency Response)
사업기간 : 90일 (2010년 1월 12일 ~ 4월)
사업예산 : USD 30,987,381 (한화 약 360억 원)
사업지역 : 아이티 정부와 현지 UN및 INGO들간의 조정회의, 초기 긴급 현장조사(Initial rapid assessment)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
포르토프랭스(Port-au-Prince) 내에 위치한 페시옹빌(Petion-Ville), 카나페베르(Canapevert), 델마스(Delmas), 생마르탱(St-Martin)
도미니카 공화국 내에 위치한 지마니(Jimani)
아이티 내 퐁파리생(Fonperisien)과 포르토프랭스와 지마니 사이지역
시테 솔레일(세계 식량기구와 협력하는 식량사업 지원)
북부와 남부지역 월드비전 ADP(대단위지역개발사업장)
직접 피해를 입은 월드비전 ADP(대단위지역개발사업장)
- 라 고나베 (La Gonave)와 센트럴 플라토(Central Plateau)
수혜 대상자 수 : 전반적인 수혜자 수는 피해지역 약 40,000가구(당시 약 200,000명 추산) / 식량 지원의 경우 400,000 예상.
비식량물자 및 보건, 식수 및 위생, 아동보호사업 - 200,000명
식량 - 총 493,500명
사업목적 : 강진으로 피해를 입은 아이티 아동과 가족들에게 생명연장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긴급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더 나아가 피해를 입은 지역사회의 고통을 경감시킨다.
사업분야
피난처 및 비식량물자(NFI)
식량
식수 및 위생
보호 / 아동보호 - 교육포함
보건
생계지원 / 초기재건복구
옹호사업
책무성
3. 굿네이버스 : 칠레 지진
2010년 2얼 27일 새벽 3시 34분에 칠레에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
이 강진으로 300여명이 사망, 200만 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함
굿네이버스는 3월 12일(금)~3월 13일(토) 양일간 8.8의 강진으로 피해를 입은 칠레 Talcahuano 지역에 2,000세대 약 10,000여명을 대상으로 식량 및 생필품을 긴급지원
이번에 배분된 식량 및 생필품은 주민 2,000세대가 약 4주간 이용할 수 있는 분량으로, 총 지원 금액은 약 30,000달러
결론.: 국내 긴급구호의 장점과 단점
민간 NGO 긴급구호의 장점
- 정치, 경제적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움.
- 인도적 차원의 도움.
- 민간단체와 포털사이트를 통한 모금 활발.
(네이버 해피빈, 싸이월드 도토리)
민간 NGO 긴급구호의 단점
- 규모가 작다.
- 자국의 정책에 반하는 일은 할 수가 없다.
- 후원자들이 긴급구호 모금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나 재정자료를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없음.
- 지진의 경우 피해가 막심하지만 지속적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 우리가 국제개발협력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것
1. 기억하며 도와주기
- 시급한 긴급구호도 필요하지만,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해외봉사단 지원
- 지원자격을 갖추기 위해 영어 공부
(조격 자건이 까다롭다.)
3. 각종 모금 지원
- 적은 돈이라도 그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사망자 수
정확한 수가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아이티 대통령은 3만-5만 명을 추정하고 있으며, 최대 10만 명까지도 예상.
피해자수
최대 3백만 명 (국제적십자사 추정)
일반적인 피해현황
-공항이 파손되고 수많은 학교, 보건소, 건물들이 무너졌고, 대통령궁도 무너져 내림. 시내 곳곳에 시체들이 즐비한 상황이며, 집이 일부 무너진 사람들도 여진의 두려움으로 거리에 나와서 생활하고 있음.-전화, 인터넷을 비롯한 통신이 마비되어 현지 상황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나 월드비전 현지 직원들 중 현재까지 3명의 집도 완전히 무너졌다고 파악됨.
2. 초기 7일 대응계획 및 현황
이번 아이티 대지진에서 피해자들에게 식량, 식수, 피난처, 의료용품과 약품지원이 가장 긴급한 사항으로 결정되었다. 월드비전은 이번 아이티 대지진의 피해상황 중 특히 아동들의 피해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이번 재난으로 인한 아동들의 보호환경이 더 열악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아이티 아동들은 이미 수천 명이 아동노동의 피해자이고 아동권리가 취약, 서반구에서 아동교육과 보건이 가장 열악한 국가이며, 중남미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이다.
2-1 월드비전 한국의 대응현황 (지진 발생일로부터 7일 대응현황)
월드비전 한국은 초기 긴급구호사업비로 $30,000 (한화 약 3천 7백만 원)지원을 실시하였으며, 미화 50만불을 목표로 모금 진행하였다. 한국에서 의료진 파견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월드비전 아이티, 도미니카 공화국, 국제긴급구호팀 파견자들과 함께 신속한 연락을 하며 현지 상황을 계속 검토하였다. 현재까지(사건발생 후 7일) 포르토프랭스 내 동쪽지역인 Lower Petionville과 Canape Vert에서 약 7,000여 가구에 긴급구호물자를 배분하였고, 이 중 2,000여 가구분의 구호물품은 지진발생 이전부터 아이티 내에 사전에 비축하고 있던 식수, 의복, 위생키트, 조리도구 등이며, 미국에서 공수된 담요, 방수포, 조리도구 키트, 위생키트, 물통 등이 5,000여 가구에 계속해서 배분되어질 계획이다. 또한 긴급의약품을 아이티 시내 11개 병원에 지원했으며 월드비전 자원봉사자들은 이동보건소를 운영, 추가로 방수포, 담요, 비누, 식수, 식량 등이 지원될 예정이다. 월드비전은 초기 7일 까지는 식수위생, 긴급구호물품지원에 주력하였으나, 추가로 이번 지진으로 고아가 된 아동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빠른 시일 내에 아동쉼터 지원을 실시 계획을 세웠다. 당시 월드비전의 각 긴급구호 영역별 전문가가 포함된 현장 긴급피해 욕구 조사팀의 조사결과가 취합되어 초기 긴급구호 90일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 구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상태였다.
<참고 1> 대응현황 세부내용
<참고 2> 긴급구호 장소 및 물자 세부 목록
3. 아이티 대지진 90일 긴급구호계획
사업명 : 아이티 강진 90일 긴급구호
(Haiti Earthquake 90 days Emergency Response)
사업기간 : 90일 (2010년 1월 12일 ~ 4월)
사업예산 : USD 30,987,381 (한화 약 360억 원)
사업지역 : 아이티 정부와 현지 UN및 INGO들간의 조정회의, 초기 긴급 현장조사(Initial rapid assessment)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
포르토프랭스(Port-au-Prince) 내에 위치한 페시옹빌(Petion-Ville), 카나페베르(Canapevert), 델마스(Delmas), 생마르탱(St-Martin)
도미니카 공화국 내에 위치한 지마니(Jimani)
아이티 내 퐁파리생(Fonperisien)과 포르토프랭스와 지마니 사이지역
시테 솔레일(세계 식량기구와 협력하는 식량사업 지원)
북부와 남부지역 월드비전 ADP(대단위지역개발사업장)
직접 피해를 입은 월드비전 ADP(대단위지역개발사업장)
- 라 고나베 (La Gonave)와 센트럴 플라토(Central Plateau)
수혜 대상자 수 : 전반적인 수혜자 수는 피해지역 약 40,000가구(당시 약 200,000명 추산) / 식량 지원의 경우 400,000 예상.
비식량물자 및 보건, 식수 및 위생, 아동보호사업 - 200,000명
식량 - 총 493,500명
사업목적 : 강진으로 피해를 입은 아이티 아동과 가족들에게 생명연장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긴급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더 나아가 피해를 입은 지역사회의 고통을 경감시킨다.
사업분야
피난처 및 비식량물자(NFI)
식량
식수 및 위생
보호 / 아동보호 - 교육포함
보건
생계지원 / 초기재건복구
옹호사업
책무성
3. 굿네이버스 : 칠레 지진
2010년 2얼 27일 새벽 3시 34분에 칠레에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
이 강진으로 300여명이 사망, 200만 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함
굿네이버스는 3월 12일(금)~3월 13일(토) 양일간 8.8의 강진으로 피해를 입은 칠레 Talcahuano 지역에 2,000세대 약 10,000여명을 대상으로 식량 및 생필품을 긴급지원
이번에 배분된 식량 및 생필품은 주민 2,000세대가 약 4주간 이용할 수 있는 분량으로, 총 지원 금액은 약 30,000달러
결론.: 국내 긴급구호의 장점과 단점
민간 NGO 긴급구호의 장점
- 정치, 경제적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움.
- 인도적 차원의 도움.
- 민간단체와 포털사이트를 통한 모금 활발.
(네이버 해피빈, 싸이월드 도토리)
민간 NGO 긴급구호의 단점
- 규모가 작다.
- 자국의 정책에 반하는 일은 할 수가 없다.
- 후원자들이 긴급구호 모금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나 재정자료를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없음.
- 지진의 경우 피해가 막심하지만 지속적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 우리가 국제개발협력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것
1. 기억하며 도와주기
- 시급한 긴급구호도 필요하지만,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해외봉사단 지원
- 지원자격을 갖추기 위해 영어 공부
(조격 자건이 까다롭다.)
3. 각종 모금 지원
- 적은 돈이라도 그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추천자료
전자상거래완벽 레포트(전자상거래의 주요국과 국제기구의 논의동향)
NGO 비영리 기구
아시아 태평양의 국제기구
국제 기구에 관한 조사
[무역학연습]WTO(세계무역기구)의 성격과 운영에 대하여
[한국정치/정치학A+] 비영리기구 NGO(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발생배경과 한국 NGO ...
[여성정책][여성문제][여성복지][여성복지정책][여성정책기구]여성정책의 현황, 여성정책의 ...
비영리조직(NPO)과 비정부 조직(NGO)
ODA의 방식과 관련 국제기구(OECD의 DAC),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
[국제인권][인권]국제인권의 의미, 국제인권의 인권기구, 국제인권의 도덕적 모델, 국제인권...
[아동권리위원회][아동권리][아동권리위원회 특별보호][아동권리위원회 국가별 기구]아동권리...
[WTO체제의 출범] WTO(세계무역기구)의 설립배경과 특징(특성)
국제기구, 뉴질랜드, 호주, 미국, 영국, 중국, 일본, 한국 가운데 한 국가를 선정하여 그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