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 사량의 생애
2. 당시의 시대적 상황
3. 천마(天馬)작품해설
4.작품속에 나타난 친일문제
5.저항 방식
6. 김 사량과 다른 작가들과의 비교
2. 당시의 시대적 상황
3. 천마(天馬)작품해설
4.작품속에 나타난 친일문제
5.저항 방식
6. 김 사량과 다른 작가들과의 비교
본문내용
1.‘김 사량’의 생애 (1)
- 소설가.
- 1914년 3월 3일 보수적인 아버지와 가톨릭을 믿는 어머니 사이에 태어남.
- 평양고등학교 재학. 재학시절 광주학생사건의 여파로 일어난 반일시위에 연루 일본군 배속장교 배척운동으로 1931년 퇴학.
- 1936년 도쿄제국대학 독문학과 입학.
- ‘조선일보’ 학예부 기자.
- 1939 도쿄제국대학 대학원 입학.
- 1940년 강원도 화전민 실태조사.
- 1941년 태평양전쟁 때 예비감속 50일간 구금.
- 1942년 평양에 머물며 <태백산맥>창작.
- 1944년 평양에서 대동공업전문학교 독일어 교사로 근무.
- 1945 조선의용군에 가담.
- 1945 8.15해방 이후 북한에서 김일성대학 강사, 북조선예술가총연맹 국제문화국장, 평안남도 예술연맹위원장 등 북한문화예술운동의 주도적 인물로 활동.
- 1950 6.25 종군작가로 참여했다가 남한강 근처에서 심장병이 발작 유격대로 전사.
- 소설가.
- 1914년 3월 3일 보수적인 아버지와 가톨릭을 믿는 어머니 사이에 태어남.
- 평양고등학교 재학. 재학시절 광주학생사건의 여파로 일어난 반일시위에 연루 일본군 배속장교 배척운동으로 1931년 퇴학.
- 1936년 도쿄제국대학 독문학과 입학.
- ‘조선일보’ 학예부 기자.
- 1939 도쿄제국대학 대학원 입학.
- 1940년 강원도 화전민 실태조사.
- 1941년 태평양전쟁 때 예비감속 50일간 구금.
- 1942년 평양에 머물며 <태백산맥>창작.
- 1944년 평양에서 대동공업전문학교 독일어 교사로 근무.
- 1945 조선의용군에 가담.
- 1945 8.15해방 이후 북한에서 김일성대학 강사, 북조선예술가총연맹 국제문화국장, 평안남도 예술연맹위원장 등 북한문화예술운동의 주도적 인물로 활동.
- 1950 6.25 종군작가로 참여했다가 남한강 근처에서 심장병이 발작 유격대로 전사.
키워드
추천자료
박노자의 한국사 탐험 한국적 근대 만들기
윤치호의 생애와 사상 연구
남한과 북한의 일제식민지 유제처리과정
[식민지][일제치하][청산]해방 후 일제 식민잔재 청산에 대한 문제
김사량 단편소설에서의 내선일체 논리
김사량 연구
여암(如菴) 최린(崔麟) 평전
[과외]중학 사회 2-1학기 기말 예상문제 13
[과외]중학 사회 3-2학기 중간 예상문제 02
송병준과 일진회
현대소설작가 김사량에 대해서
북핵 문제로 본 남한의 문제
이승만, 박정희, 김영삼 대통령의 행정 사례, 특징, 업무, 계획, 결과, 현황, 분석, 시사점, ...
한국근대사-개항 이전 중세사회의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