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단원
2.단원의 개관
3.단원의 목표
4.학습의 계통 및 관련
5.과제 분석
6.실태 분석 및 지도 대책
7.단원의 지도계획
8.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9.단원의 평가계획
10.교재 연구
11.본시 학습 수업 모형
12.지도의 실제
2.단원의 개관
3.단원의 목표
4.학습의 계통 및 관련
5.과제 분석
6.실태 분석 및 지도 대책
7.단원의 지도계획
8.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9.단원의 평가계획
10.교재 연구
11.본시 학습 수업 모형
12.지도의 실제
본문내용
좋을지 말해 봅시다.
◆ 공부할 문제 알아보기
-우리들의 이야기를 담은 뉴스 기사입니다.
-우리 학교 학생들입니다.
-진행자, 기자, 인터뷰를 하는 사람들이 나왔습니다.
-화양초등학교 학생들이 음악예능대회 준비를 위해 열심히 연습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희망적인 내용을 강조하고 있고, 밝고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긍정적인 관점인 것 같습니다.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어 볼 것 같습니다.
◇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7′
뉴스 동영상 편집본
동영상을 보며 본시 공부할 문 제를 생각해 보게 한다.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해 보자.
학습순서와 방법 알기
(전체)
◆ 학습활동 안내하기
◇ 학습내용 확인하기
<활동 1> 뉴스 기사 쓰기
<활동 2> 준비 및 연습하기
<활동 3> 뉴스 보도하기
문제 탐구
지식 적용하기
(모둠)
◆ <활동 1> 뉴스 기사 쓰기
뉴스 기사 쓰기
-저번 시간에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잘 드러나게 기사를 써 봅시다.
-‘진행자의 소개, 기자의 보도, 기자의 마무리 말’의 흐름에 따라 뉴스 기사를 쓴다.
10′
학습지
문제 해결
연습하기
(모둠)
◆ <활동 2> 준비 및 연습하기
뉴스를 진행하기 위한 준비 및 연습하기
-학습지에 작성한 뉴스 기사를 바탕으로 뉴스를 보도하기 위한 연습을 해 봅시다.
-뉴스 보도를 위한 연습을 한다.
8′
역할놀이의 형식으로 뉴스를 진행해 보도록 한다.
실연하기
(모둠)
◆ <활동 3> 뉴스 보도하기
연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뉴스 보도하기
-학습지에 작성한 뉴스 기사를 바탕으로 친구들 앞에서 뉴스를 보도하여 봅시다.
뉴스장면 동영상으로 녹화하고 평가하기
-각 모둠이 보도한 뉴스를 평가하여 봅시다.
-뉴스를 보도한다.
-관점의 타당성, 인터뷰의 적절성, 기사 내용의 사실성 등에 근거하여 평가한다.
10′
뉴스 촬영 소품 들
평가지
상호평가를 하도록 한다.
일반화
정리하기
(전체)
차시공부
알기
(전체)
◆ 단원 학습 내용 정리하기
뉴스 기사를 쓰고 발표해 봄으로써 알게 된 점 확인하기
-뉴스 기사를 쓰고 발표해 봄으로써 알게 된 점이나 느낀 점은 무엇인가요?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되돌아 보며 ○× 퀴즈 풀기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되돌아보며 ○× 퀴즈를 풀어봅시다.
◆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 공부할 내용 예고
-다음 시간에는 연설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단원 학습 내용 확인하기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발표 해 보니 제가 꼭 아나운서가 된 것 같았습니다.
-뉴스에 대해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 퀴즈를 푼다.
◇ 다음 시간에 공부할 내용 확인하기
5′
프리젠테이션 자료, 메모판,보드마카
자유롭게 활동을 평가해 볼 수 있도록 열린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한다.
다. 판서 계획
5. 사실과 관점
<공부할 문제>
♣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 를 만들고 발표해 봅시다.
<학습 활동 안내>
【활동1】뉴스 기사 쓰기
【활동2】준비 및 연습하기
【활동3】뉴스 보도하기
<뉴스의 짜임새>
진행자의 소개
↓
기자의 보도
↓
기자의 마무리 말
【하이모둠】 【팬던트모둠】
라. 자료 활용 계획
자료명
투입시기
내용
자료1
동영상
도입(동기유발)
우리들의 이야기를 뉴스로 다룬 편집 동영상을 보면서 공부할 문제를 생각해 보게 한다.
자료2
학습지
전개(활동1)
지난 시간에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모둠별로 기사를 쓸 때 활용한다.
자료3
뉴스 촬영
소품들
전개(활동3)
학생들이 직접 역할극을 할 때 쓸 소품으로 뉴스데스크, 뉴스 시그널 음악, 마이크는 교사가 준비하고 모둠별로 필요한 소품(기타 촬영 소품 및 시각자료 등)을 준비하여 활용한다.
자료4
평가지
전개(활동3)
모둠이 보도한 뉴스를 평가할 때 활용한다.
자료5
프리젠테이션 자료
정리
단원학습 내용을 정리할 때 활용한다.
자료6
메모판, 보드마카
정리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되돌아보며 ○× 퀴즈를 풀 때 활용한다.
마. 형성평가(수행평가) 계획
평가 목표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할 수 있다.
평가 관점
인지
각각의 뉴스가 정보나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가?
평가
방법
상호 평가,
관찰
기능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할 수 있는가?
정의
친구의 발표 내용을 바르게 듣는가?
평가
기준
상
중
하
인지
각각의 뉴스가 정보나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적절히 파악한다.
각각의 뉴스가 정보나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각각의 뉴스가 정보나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기능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잘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한다.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대체적으로 잘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한다.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정의
친구의 발표 내용을 바른 자세로 듣는다.
친구의 발표 내용을 대충 듣는다.
친구의 발표 내용을 바르지 않은 자세로 거의 듣지 않는다.
평가 처리
성취 수준에 따라 사후 개별 지도를 하고 부족한 점을 점검하여 습관화 할 수 있도록
계속적 연계 지도를 실시함
바. 학생 좌석 배치 안내
칠 판
교사 책상
책
꽂
이
책
꽂
이
◎
○★
◎
○★
김○○
김○○
김○○
김○○
◎
◎
○
박○○
김○○
하○○
김○○
학 습 자 료 정 리 대
예절판
우리들의 솜씨
독서판
【국어과 기본학습 능력: 우수 ◎보통 ○노력, 특수교육 대상자: ★】
* 참 고 문 헌 *
대전광역시동부교육청, 생각하는 수업교육교수학습안, 2005
대전광역시동부교육청, 국어과 좋은 수업 아이디어 5~6학년용, 2004
최현섭 등 저, 창의적인 쓰기 수업 어떻게 할까, 박이정, 2001
충청남도교육연수원,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2011
에듀스 충남 : http://www.edus.or.kr
에듀넷 : http://www.edunet4u.net
창의넷 : http://www.tcnc.net
◆ 공부할 문제 알아보기
-우리들의 이야기를 담은 뉴스 기사입니다.
-우리 학교 학생들입니다.
-진행자, 기자, 인터뷰를 하는 사람들이 나왔습니다.
-화양초등학교 학생들이 음악예능대회 준비를 위해 열심히 연습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희망적인 내용을 강조하고 있고, 밝고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긍정적인 관점인 것 같습니다.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어 볼 것 같습니다.
◇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7′
뉴스 동영상 편집본
동영상을 보며 본시 공부할 문 제를 생각해 보게 한다.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해 보자.
학습순서와 방법 알기
(전체)
◆ 학습활동 안내하기
◇ 학습내용 확인하기
<활동 1> 뉴스 기사 쓰기
<활동 2> 준비 및 연습하기
<활동 3> 뉴스 보도하기
문제 탐구
지식 적용하기
(모둠)
◆ <활동 1> 뉴스 기사 쓰기
뉴스 기사 쓰기
-저번 시간에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잘 드러나게 기사를 써 봅시다.
-‘진행자의 소개, 기자의 보도, 기자의 마무리 말’의 흐름에 따라 뉴스 기사를 쓴다.
10′
학습지
문제 해결
연습하기
(모둠)
◆ <활동 2> 준비 및 연습하기
뉴스를 진행하기 위한 준비 및 연습하기
-학습지에 작성한 뉴스 기사를 바탕으로 뉴스를 보도하기 위한 연습을 해 봅시다.
-뉴스 보도를 위한 연습을 한다.
8′
역할놀이의 형식으로 뉴스를 진행해 보도록 한다.
실연하기
(모둠)
◆ <활동 3> 뉴스 보도하기
연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뉴스 보도하기
-학습지에 작성한 뉴스 기사를 바탕으로 친구들 앞에서 뉴스를 보도하여 봅시다.
뉴스장면 동영상으로 녹화하고 평가하기
-각 모둠이 보도한 뉴스를 평가하여 봅시다.
-뉴스를 보도한다.
-관점의 타당성, 인터뷰의 적절성, 기사 내용의 사실성 등에 근거하여 평가한다.
10′
뉴스 촬영 소품 들
평가지
상호평가를 하도록 한다.
일반화
정리하기
(전체)
차시공부
알기
(전체)
◆ 단원 학습 내용 정리하기
뉴스 기사를 쓰고 발표해 봄으로써 알게 된 점 확인하기
-뉴스 기사를 쓰고 발표해 봄으로써 알게 된 점이나 느낀 점은 무엇인가요?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되돌아 보며 ○× 퀴즈 풀기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되돌아보며 ○× 퀴즈를 풀어봅시다.
◆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 공부할 내용 예고
-다음 시간에는 연설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단원 학습 내용 확인하기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발표 해 보니 제가 꼭 아나운서가 된 것 같았습니다.
-뉴스에 대해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 퀴즈를 푼다.
◇ 다음 시간에 공부할 내용 확인하기
5′
프리젠테이션 자료, 메모판,보드마카
자유롭게 활동을 평가해 볼 수 있도록 열린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한다.
다. 판서 계획
5. 사실과 관점
<공부할 문제>
♣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 를 만들고 발표해 봅시다.
<학습 활동 안내>
【활동1】뉴스 기사 쓰기
【활동2】준비 및 연습하기
【활동3】뉴스 보도하기
<뉴스의 짜임새>
진행자의 소개
↓
기자의 보도
↓
기자의 마무리 말
【하이모둠】 【팬던트모둠】
라. 자료 활용 계획
자료명
투입시기
내용
자료1
동영상
도입(동기유발)
우리들의 이야기를 뉴스로 다룬 편집 동영상을 보면서 공부할 문제를 생각해 보게 한다.
자료2
학습지
전개(활동1)
지난 시간에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모둠별로 기사를 쓸 때 활용한다.
자료3
뉴스 촬영
소품들
전개(활동3)
학생들이 직접 역할극을 할 때 쓸 소품으로 뉴스데스크, 뉴스 시그널 음악, 마이크는 교사가 준비하고 모둠별로 필요한 소품(기타 촬영 소품 및 시각자료 등)을 준비하여 활용한다.
자료4
평가지
전개(활동3)
모둠이 보도한 뉴스를 평가할 때 활용한다.
자료5
프리젠테이션 자료
정리
단원학습 내용을 정리할 때 활용한다.
자료6
메모판, 보드마카
정리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되돌아보며 ○× 퀴즈를 풀 때 활용한다.
마. 형성평가(수행평가) 계획
평가 목표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할 수 있다.
평가 관점
인지
각각의 뉴스가 정보나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가?
평가
방법
상호 평가,
관찰
기능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할 수 있는가?
정의
친구의 발표 내용을 바르게 듣는가?
평가
기준
상
중
하
인지
각각의 뉴스가 정보나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적절히 파악한다.
각각의 뉴스가 정보나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각각의 뉴스가 정보나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기능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잘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한다.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대체적으로 잘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한다.
정보나 사건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게 뉴스를 만들고 발표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정의
친구의 발표 내용을 바른 자세로 듣는다.
친구의 발표 내용을 대충 듣는다.
친구의 발표 내용을 바르지 않은 자세로 거의 듣지 않는다.
평가 처리
성취 수준에 따라 사후 개별 지도를 하고 부족한 점을 점검하여 습관화 할 수 있도록
계속적 연계 지도를 실시함
바. 학생 좌석 배치 안내
칠 판
교사 책상
책
꽂
이
책
꽂
이
◎
○★
◎
○★
김○○
김○○
김○○
김○○
◎
◎
○
박○○
김○○
하○○
김○○
학 습 자 료 정 리 대
예절판
우리들의 솜씨
독서판
【국어과 기본학습 능력: 우수 ◎보통 ○노력, 특수교육 대상자: ★】
* 참 고 문 헌 *
대전광역시동부교육청, 생각하는 수업교육교수학습안, 2005
대전광역시동부교육청, 국어과 좋은 수업 아이디어 5~6학년용, 2004
최현섭 등 저, 창의적인 쓰기 수업 어떻게 할까, 박이정, 2001
충청남도교육연수원,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2011
에듀스 충남 : http://www.edus.or.kr
에듀넷 : http://www.edunet4u.net
창의넷 : http://www.tcnc.net
추천자료
제7차 교육과정기의 국어과 교수-학습 유형 7가지
사회과 교수학습 지도안,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국어교육(국어과)의 특성, 국어교육(국어과)의 내용체계,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의 ...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성격,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고등학교 국어과(국...
국어과의 교육과정 변천과 목표,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내용,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특징과 방향,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내용체계, 국어과...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개정배경,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내용구성, 국어...
사회과 맞춤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극한개념학습지도(교육지도), 영어과 열린학습지도(...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및 수업방법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여러 가지 기체 학습지도안)
구성주의와 언어학습경험 (국어과 교육의 관점과 의사소통적 접근, 언어 학습 경험의 교수학...
[국어과교수매체개발] Have A Good Time (매너 학습지도안)
[국어과교수매체개발] (사랑법 학습지도안)
[교수-학습 과정안] <즐거운 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단원명 : 8. 색의 나라 | 본시 주제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