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실재주의와 교육
가. 실재주의란 무엇인가?
나. Aristoteles(B.C. 384-322)의 생애와 사상
다. Aristoteles의 교육사상
1) 교육목적
2) 국가의 교육에 대한 의무
3) 교육내용과 과정
4)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5) 교육방법
6) 교사론
라. 실재주의 교육원리
마.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2) 한계
가. 실재주의란 무엇인가?
나. Aristoteles(B.C. 384-322)의 생애와 사상
다. Aristoteles의 교육사상
1) 교육목적
2) 국가의 교육에 대한 의무
3) 교육내용과 과정
4)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5) 교육방법
6) 교사론
라. 실재주의 교육원리
마.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2) 한계
본문내용
목적에 적절한 학문과 교육의 분야가 있다. 직업적인 목적의 교육은 단지 수단으로서,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반면에 이런 공부들은 그 자체로서 목적이 되는 것
4)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세 유형의 학문
*이론적 학문: 세상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학문. 지적 호기심 혹은 그 자체의 가치 때문에 추구하는 학문. 진리에 대한 순수한 관조가 목표. - 수학, 자연과학 등
*실천적 학문: 좋은 행동을 하기 위해 추구하는 학문 - 윤리학, 정치학
*제작적 학문: 무언가 유용하거나 아름다운 것을 제작하기 위한 지식을 추구하는 학문 - 조선술, 공학, 시학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학은 윤리학처럼 실천적 학문. 대상이 인간의 삶과 행동이므로 사람에 따라,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른 해석이 가능
->따라서 이론적 학문처럼 절대적인 정확성과 엄밀성 기대하기 어려움
*이론적 학문이 실천적 학문에 우위. 가장 좋은 삶은 순수한 진리를 추구하는 관조적 삶. 교육에서도 무엇을 하거나 만들기 위한 지식보다는 순수한 진리를 위한 지식을 가르치 는 것이 최고의 교육 ->이러한 교육이 자유시민에게 적합한 교육
*시민을 위한 교육과 시민이 아닌 사람들을 위한 교육은 달라야 한다. 왜냐하면 양자는 그 능력과 사회적 기능이 다르기 때문: 시민 - 자유교육
비시민 - 직업교육
5) 교육방법
-직접적인 관찰법
-훈육
-반복 연습을 통한 습관화
-개별교육
6) 교사론
-가르치는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과 가르치는 방법에 능통한 전문가
라. 실재주의 교육원리
-교육은 이성 계발과 잠재성 실현 도움
-실재의 객관적 질서 중시 ->이를 체계화한 교과목 중심으로 학습: 교육방법보다는 교육내 용 중시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할 일군의 중심 교육과정이 있어야한다
-행복한 생활 영위하기 위해 자연적 본성, 습관, 이성의 조화
-교과전문가이자 교수학습전문가로서의 교사
-직접적인 관찰, 반복 학습을 통한 습관화, 훈육
마.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오늘날의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토대
*현실생활에 필요한 지식 중시하고, 우주의 신비로운 법칙을 탐구하며 진리를 추구하는 경건하고 엄정한 태도 기름
2) 한계
*이성 중심의 자유교양교육 강조하고 직업교육이나 정서교육 소홀
*이성 혹은 지성 훈련을 목적으로 삼고 있기에 교사 중심의 주입식 교육, 전통적 지식 전 달 위주의 교육 -> 학습자의 피동성/수동성
*여성교육 무시
4)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세 유형의 학문
*이론적 학문: 세상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학문. 지적 호기심 혹은 그 자체의 가치 때문에 추구하는 학문. 진리에 대한 순수한 관조가 목표. - 수학, 자연과학 등
*실천적 학문: 좋은 행동을 하기 위해 추구하는 학문 - 윤리학, 정치학
*제작적 학문: 무언가 유용하거나 아름다운 것을 제작하기 위한 지식을 추구하는 학문 - 조선술, 공학, 시학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학은 윤리학처럼 실천적 학문. 대상이 인간의 삶과 행동이므로 사람에 따라,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른 해석이 가능
->따라서 이론적 학문처럼 절대적인 정확성과 엄밀성 기대하기 어려움
*이론적 학문이 실천적 학문에 우위. 가장 좋은 삶은 순수한 진리를 추구하는 관조적 삶. 교육에서도 무엇을 하거나 만들기 위한 지식보다는 순수한 진리를 위한 지식을 가르치 는 것이 최고의 교육 ->이러한 교육이 자유시민에게 적합한 교육
*시민을 위한 교육과 시민이 아닌 사람들을 위한 교육은 달라야 한다. 왜냐하면 양자는 그 능력과 사회적 기능이 다르기 때문: 시민 - 자유교육
비시민 - 직업교육
5) 교육방법
-직접적인 관찰법
-훈육
-반복 연습을 통한 습관화
-개별교육
6) 교사론
-가르치는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과 가르치는 방법에 능통한 전문가
라. 실재주의 교육원리
-교육은 이성 계발과 잠재성 실현 도움
-실재의 객관적 질서 중시 ->이를 체계화한 교과목 중심으로 학습: 교육방법보다는 교육내 용 중시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할 일군의 중심 교육과정이 있어야한다
-행복한 생활 영위하기 위해 자연적 본성, 습관, 이성의 조화
-교과전문가이자 교수학습전문가로서의 교사
-직접적인 관찰, 반복 학습을 통한 습관화, 훈육
마.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오늘날의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토대
*현실생활에 필요한 지식 중시하고, 우주의 신비로운 법칙을 탐구하며 진리를 추구하는 경건하고 엄정한 태도 기름
2) 한계
*이성 중심의 자유교양교육 강조하고 직업교육이나 정서교육 소홀
*이성 혹은 지성 훈련을 목적으로 삼고 있기에 교사 중심의 주입식 교육, 전통적 지식 전 달 위주의 교육 -> 학습자의 피동성/수동성
*여성교육 무시
키워드
추천자료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차이점 비교 및 본인의 견해
플라톤의 교육사상과 고대그리스 수학교육의 쟁점
한글 맞춤법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고찰
미국의 교육사상
갈등주의 입장에서 바라본 국제중학교논란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모든것(내용 완벽/정보처리이론포함)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효경교육과 예절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통일교육과 미디어교육, ...
ADHD아동을 둔 부모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교육의 실제 - 중학교 3학년 1학기 국어 3단원 독서와 사회 - (2) 원미...
임용고시 대비를 위한 교육과정 및 평가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