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이론의 생성과 발전, 제약이론이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약이론의 생성과 발전, 제약이론이념

Ⅰ. 제약이론의 생성과 발전

1. 제약이론의 발단 - 최적생산기술(OPT)의 개발
2. 제약이론의 등장
3. 사고과정
4. 프로젝트 관리로의 확장

Ⅱ. 제약이론의 이념

1. 제약이론의 기본이념
2. 제약이론의 운용원칙
3. DBP 일정계획

본문내용

이론
에 의하면 꼭 해야 할 일을 하는 것(activation)과 할 수 있는 일(그러나 당장 필
요하지는 않은 일)을 하는 것(utilization)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비제약공정에
서는 생산시스템내의 제약공정의 요구를 반영하는 스케줄을 짜는 것이 매우 증
요하다. 비제약공정에서 100%에 해당하는 물량을 생산하여 효율성을 100%수준
에서 유지한다 하여도 제약공정에서 60%만을 소화시킨다면 생산시스템 전체에
서 볼 때 비제약공정의 효과성은 60%에 불과하다.
" 규칙 3 : 제약공정에서 1시간을 상실했다면 이는 곧 생산시스템 전체에서 1
시간을 상실한 것이다. 생산준비시간의 절감은 곧 생산적인 시간의 증가를 의미
한다. 따라서 제약공정에서의 생산준비시간의 절감은 생산시스템의 생산능력을
증대시키지만 비제약공정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비제약공정의 사간은 가공시간,
생산준비시간, 유휴시간(idle time)으로 나눌 수 있다. 비제약공정의 준비시간을
절감했다는 것은 곧 유휴시간을 그만큼 증가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
제약공정에서 절약한 1시간은 아무 가치도 없다. 물론 비제약공정에서의 생산준
비신 간의 절감은 로트의 크기를 줄여주는 효과를 발생한다. 한편 제약공정에서는
생산준비첫수를 줄여 실제 가동률을 높이는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 규칙 4 : 비제약공정에서 절약한 1시간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
" 규칙 5 : 생산시스템의 산출률과 재고는 제약공정에 의해 결정된다.
" 규칙 6 : 이동로트와 가공로트의 크기가 같을 필요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같아서는 안 된다.
" 규칙 7 : 가공로트의 크기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공정에 따라 변동한다. 전
통적인 제조관행에서는 정상적인 작업시간이든 또는 잔업시간이든 관계없이 로
트의 크기는 일정하다. 또 같은 제품이면 작업장에 관계있이 연제나 로트의 크기
가 일정하다 그러나 OPT에서의 가공로트는 이와 같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황
에 따라 달라진다.
" 규칙 8 : 생산능력과 우선순위는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며 순차적으로 고려
되어서는 안 된다. MRP에서 리드타임은 고정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리드타임은
제약공정에서의 작업순서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제품 A와 B를 생산하는데
각각 20시간이 걸린다고 하자. A를 먼저 생산하면 A의 리드타임은 20시간, B는
40시간이 된다. 그러나 순서를 바꾸면 A는 40시간, B는 20시간이 걸린다. 즉 작
업의 우선순위에 따라서도 리드타임이 달라진다.
" 규칙 9 : 생산능력보다는 흐름을 균형화 하여라. 일반적인 접근방식은 우선
생산능력을 균형화한 다음 계속적인 흐름을 유도한다. 조립라인의 균형이 바로
좋은 예이다. OPT에서는 생산과정에서제품별로 지속적인 자재의 흐름이 가능하
도록 통제한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자원보다는 제품생산의 흐름에 초점을 둔
다. 그렇다고 OPT가 생산능력에 무관심하다는 것은 아니다. MR)에서와 같이
공정별 생산능력과 자재의 흐름을 따로따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고려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29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