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성병 임질의 정의
Ⅲ. 성병 임질의 감염
Ⅳ. 성병 임질의 전파경로
Ⅴ. 성병 임질의 증상
1. 남성의 임질 자각 증상
2. 여성이 임질에 감염된 경우
Ⅵ. 성병 임질의 합병증
1. 남성이 임질을 치료하지 않을 시 생기는 합병증
2. 여성이 임질을 치료하지 않을 시 생기는 합병증
3. 남성과 여성 모두가 임질을 치료하지 않을시 생기는 합병증
Ⅶ. 성병 임질의 치료
Ⅷ. 성병 임질의 예방
참고문헌
Ⅱ. 성병 임질의 정의
Ⅲ. 성병 임질의 감염
Ⅳ. 성병 임질의 전파경로
Ⅴ. 성병 임질의 증상
1. 남성의 임질 자각 증상
2. 여성이 임질에 감염된 경우
Ⅵ. 성병 임질의 합병증
1. 남성이 임질을 치료하지 않을 시 생기는 합병증
2. 여성이 임질을 치료하지 않을 시 생기는 합병증
3. 남성과 여성 모두가 임질을 치료하지 않을시 생기는 합병증
Ⅶ. 성병 임질의 치료
Ⅷ. 성병 임질의 예방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라진다.
2. 성병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가장 최선의 예방책은 성병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이성과의 성관계를 전적으로 피하는 것이다. 속옷을 자주 갈아입고, 목욕을 자주하며, 더러운 손으로 생식기부위를 만지지 않는 등 위생을 청결히 하는 것도 중요하다. 만일 음경이나 질, 항문, 구강 등에 종창, 종양, 분비물이 발견되면 즉시 전문의를 찾아가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3. 직접적인 성관계가 아닌 행위로도 성병에 걸릴 수 있나요?
성병은 성교 시 직접 생식기를 통해서나 키스, 애무 등으로 전염되나 고름이나 분비물이 묻은 손, 속옷, 수건, 침구, 양변기, 요강, 공중목욕탕 등에서 간접적으로 전염될 수도 있다. 특히 저항력이 약한 어린이에게는 양변기 사용으로 임균이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부모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양변기는 주 1회 정도 크레졸로 소독하며, 변기 안도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이 좋다.
4. 포진(헤르페스, 물집)에 걸린 사람이 헌혈을 해도 안전한가요?
헤르페스의 증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초기단계에서는 작은 양의 바이러스가 핏줄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으므로 헤르페스 감염 초기단계에는 헌혈을 해서는 안 된다. 헌혈하는 사람의 건강에 문제가 없다면 헤르페스가 재발하는 동안에는 헌혈을 해도 무방하며 바이러스가 활동하지 않는 단계가 되었을 때는 아무런 문제없이 헌혈을 할 수 있다.
5. 성병에 걸리면 어떤 의사를 찾아가야 하나요?
여성은 부인과 전문의를 찾아갈 수 있고 남성은 비뇨기과에 찾아갈 수 있으며, 보건소에서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피부과 의사 또한 증상에 따라 성병 관련 치료가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성병에 관한 증상을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대상(의사)이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권관우·이경무·김훈수·김정순·정경균(2000), 성과 에이즈에 관한 보건교육 방법별 효과 측정,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7권 2호
서울 YMCA(2000), 성병의 예방법
서원당(1983), 최신성병치료도감
하재청 외 4명(2007), 성의 과학, 아카데미서적
현대건강연구회(2006), 성병 예방과 치료법, 太乙 출판사
Jane T. Bertrand 외(1991), AIDS-Related Knowledge, Sexual Behavior, and Condom Use among Men and Women in Kinshasa, Zair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 성병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가장 최선의 예방책은 성병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이성과의 성관계를 전적으로 피하는 것이다. 속옷을 자주 갈아입고, 목욕을 자주하며, 더러운 손으로 생식기부위를 만지지 않는 등 위생을 청결히 하는 것도 중요하다. 만일 음경이나 질, 항문, 구강 등에 종창, 종양, 분비물이 발견되면 즉시 전문의를 찾아가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3. 직접적인 성관계가 아닌 행위로도 성병에 걸릴 수 있나요?
성병은 성교 시 직접 생식기를 통해서나 키스, 애무 등으로 전염되나 고름이나 분비물이 묻은 손, 속옷, 수건, 침구, 양변기, 요강, 공중목욕탕 등에서 간접적으로 전염될 수도 있다. 특히 저항력이 약한 어린이에게는 양변기 사용으로 임균이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부모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양변기는 주 1회 정도 크레졸로 소독하며, 변기 안도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이 좋다.
4. 포진(헤르페스, 물집)에 걸린 사람이 헌혈을 해도 안전한가요?
헤르페스의 증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초기단계에서는 작은 양의 바이러스가 핏줄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으므로 헤르페스 감염 초기단계에는 헌혈을 해서는 안 된다. 헌혈하는 사람의 건강에 문제가 없다면 헤르페스가 재발하는 동안에는 헌혈을 해도 무방하며 바이러스가 활동하지 않는 단계가 되었을 때는 아무런 문제없이 헌혈을 할 수 있다.
5. 성병에 걸리면 어떤 의사를 찾아가야 하나요?
여성은 부인과 전문의를 찾아갈 수 있고 남성은 비뇨기과에 찾아갈 수 있으며, 보건소에서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피부과 의사 또한 증상에 따라 성병 관련 치료가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성병에 관한 증상을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대상(의사)이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권관우·이경무·김훈수·김정순·정경균(2000), 성과 에이즈에 관한 보건교육 방법별 효과 측정,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7권 2호
서울 YMCA(2000), 성병의 예방법
서원당(1983), 최신성병치료도감
하재청 외 4명(2007), 성의 과학, 아카데미서적
현대건강연구회(2006), 성병 예방과 치료법, 太乙 출판사
Jane T. Bertrand 외(1991), AIDS-Related Knowledge, Sexual Behavior, and Condom Use among Men and Women in Kinshasa, Zair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