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온 Factor와 2차 표정으로 나온 Factor를 비교한다.
5.결과 및 토의
0.1N HCl 표준용액의 표정
1) 일차표준물, Na2CO3 용액을 취한 양 (W): 0.214 g
2) 일차표준물, Na2CO3 용액을 조제한 부피: 500 mL
3) 표정에 사용한 일차표준물, Na2CO3 용액의부피 : 50 mL
4) Na2CO3 용액을 적정하는데 소비된 0.1N HCl 표준용액의부피45.6 mL
5) 0.1N HCl 표준 용액의 농도계수(factor)
f = = = 0.885
0.1N NaOH 표준용액의 표정
1차표정
1) 일차표준물, Oxalic acid을 취한 양(W): 0.1007 g
2) 일차표준물, NaOH 용액을 조제한 부피: 500ml
3) 표정에 사용한 일차표준물, NaOH 용액의 부피 50ml
4) NaOH용액을 적정하는데 소비된 0.1N NaOH 표준용액의 부피 16ml
5) 0.1N NaOH 표준용액의 농도계수(factor)
f = = =1.187
2차표정
1) 0.1N HCl 의 부피 30 mL
2) 0.1N HCl 의 농도 0.886
3) 적정시 소비된 NaOH 의 부피 24mL
N * V = N' * V 0.886 * 30 = N' * 24
2차표정으로 측정된 0.1N NaOH 의 농도( N') 는 1.1075
이론상 0.1N NaOH의 1차표정에 의한 농도계수와 2차표정에의해 얻어진 결과가같아야 되는데 그값이 1.187 와 1.1075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수있었다.
표준물질이란?
일차 표준물 은 매우 순수한 화합물이고 모든 부피법 적정과 무게법 적정에 기준물질로 사용된다. 이러한 분석법의 정확도는 결정적으로 이화합물의 순도에 의존한다. 일차 표준물의 중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고순도, 순도를 확인하는 확실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어야한다
2.공기중에서 안정성.
3.수화물이 없을 것. 상대습도의 변화로 조성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4.적당한 가격으로 쉽게 구입이 가능할 것.
5.적정매질에 알맞은 용해도.
6.큰 분자량. 무게 측정에 수반하는 상대적 무게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런 기준과 일치하거나 근접한 화합물의 수는 너무 적고, 제한된 표준물질만 이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는 일차 표준물보다 덜 순수한 화합물을 때때로 일차 표준물 대신 사용한다. 이러한 이차 표준물의 순도는 조심스럽게 분석해야 한다.
당량이란?
적정반응으로서 사용되는 반응물의 당량은 다음과 같다.
1. 산과 염기의 반응
당량은 화학반응에 따라 다르고 산.염기반응에서는 1그램당량은 1mol의 H30+을 내든지 또는 H30+ 1mol과 반응하는 물질의 양을 말하고 eq.로 표시한다. 그의1/100은 밀리당량이고, ㅂfh 표시한다. 이를테면 염산, 황산, 인산 은 각각 1염기산, 2염기산, 3염기산이고 이들 1mol에 해당하는 무게는 각각 1eq.w 2eq.w 3eq.w이라고 불 수 있다 따라서 이들 1eq.W은 각각 그물질의 1mol 1/2mol 1/3mol 에 해당한다 그러나 실제 물제로는 한 물질의 1그램당량의 무게는 이와 같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그 물질이 실제로 참여하는 화학반응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다.
2.산화.환원반응
산화.환원반응의 1그램당량은 전자 1mol을 내어 주거나 받아들이면서 이것과 반응하는데 필요한 물질의 양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무게이다.
3. 침전생성반응 또는 착물생성반응
이 경우의 1그램당량 은 1가의 양이온은 1mol, 2가의 양이온은 1/2mol을 내어 주거나 이들과 반응하는 데 필요한 물질의 양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무게이다.
6.참고문헌
김석구저 분석화학의실험 1996
박기채저 분석화학 탐구당 1999
5.결과 및 토의
0.1N HCl 표준용액의 표정
1) 일차표준물, Na2CO3 용액을 취한 양 (W): 0.214 g
2) 일차표준물, Na2CO3 용액을 조제한 부피: 500 mL
3) 표정에 사용한 일차표준물, Na2CO3 용액의부피 : 50 mL
4) Na2CO3 용액을 적정하는데 소비된 0.1N HCl 표준용액의부피45.6 mL
5) 0.1N HCl 표준 용액의 농도계수(factor)
f = = = 0.885
0.1N NaOH 표준용액의 표정
1차표정
1) 일차표준물, Oxalic acid을 취한 양(W): 0.1007 g
2) 일차표준물, NaOH 용액을 조제한 부피: 500ml
3) 표정에 사용한 일차표준물, NaOH 용액의 부피 50ml
4) NaOH용액을 적정하는데 소비된 0.1N NaOH 표준용액의 부피 16ml
5) 0.1N NaOH 표준용액의 농도계수(factor)
f = = =1.187
2차표정
1) 0.1N HCl 의 부피 30 mL
2) 0.1N HCl 의 농도 0.886
3) 적정시 소비된 NaOH 의 부피 24mL
N * V = N' * V 0.886 * 30 = N' * 24
2차표정으로 측정된 0.1N NaOH 의 농도( N') 는 1.1075
이론상 0.1N NaOH의 1차표정에 의한 농도계수와 2차표정에의해 얻어진 결과가같아야 되는데 그값이 1.187 와 1.1075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수있었다.
표준물질이란?
일차 표준물 은 매우 순수한 화합물이고 모든 부피법 적정과 무게법 적정에 기준물질로 사용된다. 이러한 분석법의 정확도는 결정적으로 이화합물의 순도에 의존한다. 일차 표준물의 중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고순도, 순도를 확인하는 확실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어야한다
2.공기중에서 안정성.
3.수화물이 없을 것. 상대습도의 변화로 조성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4.적당한 가격으로 쉽게 구입이 가능할 것.
5.적정매질에 알맞은 용해도.
6.큰 분자량. 무게 측정에 수반하는 상대적 무게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런 기준과 일치하거나 근접한 화합물의 수는 너무 적고, 제한된 표준물질만 이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는 일차 표준물보다 덜 순수한 화합물을 때때로 일차 표준물 대신 사용한다. 이러한 이차 표준물의 순도는 조심스럽게 분석해야 한다.
당량이란?
적정반응으로서 사용되는 반응물의 당량은 다음과 같다.
1. 산과 염기의 반응
당량은 화학반응에 따라 다르고 산.염기반응에서는 1그램당량은 1mol의 H30+을 내든지 또는 H30+ 1mol과 반응하는 물질의 양을 말하고 eq.로 표시한다. 그의1/100은 밀리당량이고, ㅂfh 표시한다. 이를테면 염산, 황산, 인산 은 각각 1염기산, 2염기산, 3염기산이고 이들 1mol에 해당하는 무게는 각각 1eq.w 2eq.w 3eq.w이라고 불 수 있다 따라서 이들 1eq.W은 각각 그물질의 1mol 1/2mol 1/3mol 에 해당한다 그러나 실제 물제로는 한 물질의 1그램당량의 무게는 이와 같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그 물질이 실제로 참여하는 화학반응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다.
2.산화.환원반응
산화.환원반응의 1그램당량은 전자 1mol을 내어 주거나 받아들이면서 이것과 반응하는데 필요한 물질의 양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무게이다.
3. 침전생성반응 또는 착물생성반응
이 경우의 1그램당량 은 1가의 양이온은 1mol, 2가의 양이온은 1/2mol을 내어 주거나 이들과 반응하는 데 필요한 물질의 양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무게이다.
6.참고문헌
김석구저 분석화학의실험 1996
박기채저 분석화학 탐구당 1999
추천자료
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
[화학실험]인산의 적정과 완충용액(예비보고서)
장애인표준사업장
[제조물책임법][PL법][제조물책임][PL]제조물책임법(PL법)의 정의, 성립배경과 제조물책임법(...
인산적정과 완충용액
[수소이온지수(pH)측정, 천칭저울]수소이온지수(pH)측정과 시험방법, 수소이온지수(pH)측정과...
[무선 랜, 무선LAN]무선 랜(무선LAN)의 정의, 특징과 장점, 무선 랜(무선LAN)의 등장배경, 제...
무기합성및 분석화학 실험 -실리카겔의 제조와 특성
[화공 기초 실험] 과산화수소의 농도 측정 [예비] : 습식 정량분석법 중의 하나인 적정법을 ...
[실험보고서] HBCD 용액 CRM 단기안정도 실험
[화학공학 기초 실험] 완충용액 실험 : 약산에 강염기를 조금씩 첨가하며 pH를 변화를 측정해...
식품 분석학 실험 - 용액의 농도계수 측정
[분석화학실험] (예비) 나뭇잎 중에 있는 납의 분광광도법 정량 : 나뭇잎에 있는 납을 디티존...
용액溶液의 산도측정법 및 완충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