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낙태 ‘당하는’ 여성
1-1. 비혼/미성년 여성의 임신과 낙태
1-2. 여아 성감별 낙태
.
.
.
2. 낙태의 사회적 현실
.
.
.
3. 낙태를 둘러싼 환경
.
.
.
4. 결 론
1-1. 비혼/미성년 여성의 임신과 낙태
1-2. 여아 성감별 낙태
.
.
.
2. 낙태의 사회적 현실
.
.
.
3. 낙태를 둘러싼 환경
.
.
.
4. 결 론
본문내용
적인 지원을 마련하고 지지담론을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원하지 않는 임신’을 막기 위해 피임을 비롯한 성교육이 성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청소년기부터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또 이것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남성중심의 ‘이성애의 성적 각본’이 성평등하게 전환되어야 하는것도 중요하다. 낙태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피임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문제가 어느 일방에 의해 결정되거나 전혀 고려되지도 않는다면 여성들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장받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이것은 결코 말처럼 쉽지 않은 일이지만, 자신의 섹슈얼리티와 재생산에 대한 여성의 온전한 권리를 획득하는데 결코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낙태에 대한 옹호와 지지담론을 충분하게 형성하고 공론화하는 것이다. 낙태반대의 담론에 비해, 한국에서 낙태를 지지하고 이를 여성의 입장에서 바라보려는 노력들은 너무나도 힘이 없어 보인다. 여성들로 하여금 낙태에 대한 죄책감과 침묵을 떨쳐내고, 그 경험을 공개하고 공유하는 것은 그녀들의 상처를 불완전하게나마 치유하고, 여성의 입장에서 재생산권을 구축해 나가는 운동에 있어 큰 힘이 될 수 있는 경험적 자산일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낙태에 대한 옹호와 지지담론을 충분하게 형성하고 공론화하는 것이다. 낙태반대의 담론에 비해, 한국에서 낙태를 지지하고 이를 여성의 입장에서 바라보려는 노력들은 너무나도 힘이 없어 보인다. 여성들로 하여금 낙태에 대한 죄책감과 침묵을 떨쳐내고, 그 경험을 공개하고 공유하는 것은 그녀들의 상처를 불완전하게나마 치유하고, 여성의 입장에서 재생산권을 구축해 나가는 운동에 있어 큰 힘이 될 수 있는 경험적 자산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