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성격
Ⅲ.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목적
Ⅳ.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실태
Ⅴ.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내용선정
Ⅵ.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수행평가
1. 평가
2. 이해 영역의 평가
3. 표현 영역의 평가
1) 가창
2) 기악
3) 창작
4) 감상
4. 음악 애호심, 음악에 대한 태도 등의 평가
Ⅶ.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협동학습
Ⅷ.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창의성
Ⅸ.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학습지도 방향
Ⅹ. 결론
참고문헌
Ⅱ.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성격
Ⅲ.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목적
Ⅳ.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실태
Ⅴ.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내용선정
Ⅵ.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수행평가
1. 평가
2. 이해 영역의 평가
3. 표현 영역의 평가
1) 가창
2) 기악
3) 창작
4) 감상
4. 음악 애호심, 음악에 대한 태도 등의 평가
Ⅶ.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협동학습
Ⅷ.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창의성
Ⅸ.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학습지도 방향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제시하고 이를 적절하게 조직함으로써 성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고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음악 학습에 필요한 요소는 학습 내용(content), 제재(context), 활동(behavior), 지식 표현의 형태(mode of knowledge), 인지 과정(cognitive process), 수업 태도(attitudinal climate) 등이다.
학습 내용이란 학생들이 음악 수업을 받은 뒤 그들에게 습득되었을 것으로 기대하는 내용으로서, 곧 음악적 개념들을 의미한다.
제재는 개념을 담고 있는 그 어떤 것을 말하는데 음악 학습에서 사용되는 제재곡은 미적 가치를 지니고,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대표하며, 다양한 양식에서 학습자의 나이나 경험에 적합한 것이 선정되어야 한다.
지식 표현의 방식 면에서 보면 교사는 수업 계획을 세울 때 학생들의 개념화 수준을 알고 현재 수준에 적절한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하며, 그 다음 지식 표현 단계로 나아갈 경험을 점차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인지 과정은 학습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생들의 심리적 인식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사는 학습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과정을 의도적으로 결정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 경험을 계획하여야 한다. 그리고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지 않고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얻게 하기란 어렵다. 그러므로 수업의 태도는 앞의 어느 것보다 중요하다.
음악 수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은 어떻게 바람직한 학습 환경을 마련하느냐 하는 것이다. 교사가 ‘학습’이 일어나도록 의식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학습 순서, 수업 전략을 세울 때에만 ‘새로운 앎’이 발생한다. 학습자에게 새로운 학습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이미 경험한 내용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익숙하도록 하고, 새로운 요소들이 이미 학습한 것과 관련하여 하나씩 첨가되어 잘 연결되어야 한다.
Ⅹ. 결론
음악은 정체의 개념이 아니라 항상 변하고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이런 음악의 변화를 포괄하는 ‘음악’, 특정 시공간의 관습 문화로서의 ‘음악’이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한 음악의 본질, 그 자체에 대한 본유적인 이해를 위해서도 음악 교육은 제재곡 위주적 접근 일변도를 벗어나 개념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음악 교육은 특정 음악 관습의 음악 ‘작품’을 감상하고 연주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것이 필요한 이유는 특정 ‘작품’의 이름이나 가사, 선율을 외우게 하는데 궁극적 목표를 두는 것이 아니라 특정 ‘작품’이 속한 그 음악 문화에의 옳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인 것이다. 특정 ‘작품’이외의 ‘작품’을 새로이 대하게 되더라도 그것이 동일한 문화적 배경의 것이라면 언제든지 느끼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 그 능력을 위해 음악 교육은 ‘작품’을 가르친다. 그렇다면 ‘작품’의 연주 외에도 그러한 능력을 고양할 방법들이 있다면 교육은 역시 그것들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지 않겠는가. ‘작품’이외의 또 다른 접근으로서 필자가 생각하는 것은 음악의 ‘개념’적 접근이다. 관습 언어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음(音) 언어에 공존하는 본유적인 음악의 면모들을 개념화하고 그것을 이해시키는 교육은 특정 악곡을 외워 부르는 교육 못지않게, 아니 그 보다 가일층 음악적 경험의 능력을 향상 시키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국립교육평가원(1996),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성경희(1988), 음악과 교육론, 서울 : 갑을출판사
윤양석(1983), 음악형식론, 수문당
정세문(1986), 음악과 학습지도, 창지사
홍운표(1994), 창의적 표현활동 중심의 음악수업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학습 내용이란 학생들이 음악 수업을 받은 뒤 그들에게 습득되었을 것으로 기대하는 내용으로서, 곧 음악적 개념들을 의미한다.
제재는 개념을 담고 있는 그 어떤 것을 말하는데 음악 학습에서 사용되는 제재곡은 미적 가치를 지니고,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대표하며, 다양한 양식에서 학습자의 나이나 경험에 적합한 것이 선정되어야 한다.
지식 표현의 방식 면에서 보면 교사는 수업 계획을 세울 때 학생들의 개념화 수준을 알고 현재 수준에 적절한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하며, 그 다음 지식 표현 단계로 나아갈 경험을 점차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인지 과정은 학습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생들의 심리적 인식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사는 학습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과정을 의도적으로 결정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 경험을 계획하여야 한다. 그리고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지 않고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얻게 하기란 어렵다. 그러므로 수업의 태도는 앞의 어느 것보다 중요하다.
음악 수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은 어떻게 바람직한 학습 환경을 마련하느냐 하는 것이다. 교사가 ‘학습’이 일어나도록 의식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학습 순서, 수업 전략을 세울 때에만 ‘새로운 앎’이 발생한다. 학습자에게 새로운 학습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이미 경험한 내용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익숙하도록 하고, 새로운 요소들이 이미 학습한 것과 관련하여 하나씩 첨가되어 잘 연결되어야 한다.
Ⅹ. 결론
음악은 정체의 개념이 아니라 항상 변하고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이런 음악의 변화를 포괄하는 ‘음악’, 특정 시공간의 관습 문화로서의 ‘음악’이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한 음악의 본질, 그 자체에 대한 본유적인 이해를 위해서도 음악 교육은 제재곡 위주적 접근 일변도를 벗어나 개념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음악 교육은 특정 음악 관습의 음악 ‘작품’을 감상하고 연주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것이 필요한 이유는 특정 ‘작품’의 이름이나 가사, 선율을 외우게 하는데 궁극적 목표를 두는 것이 아니라 특정 ‘작품’이 속한 그 음악 문화에의 옳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인 것이다. 특정 ‘작품’이외의 ‘작품’을 새로이 대하게 되더라도 그것이 동일한 문화적 배경의 것이라면 언제든지 느끼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 그 능력을 위해 음악 교육은 ‘작품’을 가르친다. 그렇다면 ‘작품’의 연주 외에도 그러한 능력을 고양할 방법들이 있다면 교육은 역시 그것들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지 않겠는가. ‘작품’이외의 또 다른 접근으로서 필자가 생각하는 것은 음악의 ‘개념’적 접근이다. 관습 언어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음(音) 언어에 공존하는 본유적인 음악의 면모들을 개념화하고 그것을 이해시키는 교육은 특정 악곡을 외워 부르는 교육 못지않게, 아니 그 보다 가일층 음악적 경험의 능력을 향상 시키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국립교육평가원(1996),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성경희(1988), 음악과 교육론, 서울 : 갑을출판사
윤양석(1983), 음악형식론, 수문당
정세문(1986), 음악과 학습지도, 창지사
홍운표(1994), 창의적 표현활동 중심의 음악수업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초등교육에서의 다문화 음악교육 - 한국유초등음악교육학회(KOEM) -
자유 발도르프학교의 감성 교육 감상문
음악교육의 역사적 배경
유아음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중요성,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의미와 필요성, 유아국...
외국 음악과 교육과정 (미국
[ICT활용교육]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의미, 목적, 필요성,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운영 방향, 초등학교 국어과와 영어과의 정보통신기술...
음악과 창작활동중심학습(창작수업)의 의미와 이론적 배경, 음악과 창작활동중심학습(창작수...
[아동보육 A+]아동음악과 동작 : 창의적 동작활동 지도를 위한 교육계획안 - 나비의 성장(사...
[음악감상활동][음악감상활동 수업모형]음악감상활동의 유형, 음악감상활동의 목표, 음악감상...
음악감상학습(음악감상교육, 음악감상수업)의 중요성과 실제, 음악감상학습(음악감상교육, 음...
음악교육의 역사적 배경
아동음악교육을 위한 환경 중 가정의 음악 환경은 어떻게 조성해야하는지 쓰시오.(자녀가 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