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미디어에 의한 과거의 역사화 기억화 과정에 대한 리포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풍경 하나)

(풍경 둘)

(풍경 셋)

reference

본문내용

. 선택된 기억만이 미디어를 통해 역사화되고, 거기서 상처받고 보상받지 못한 우리 할머니들의 어두운 풍경. 미래의 언젠가 인터넷의 흔적을 통한 효과적인 역사 공부의 밝은 풍경. 이 모든 풍경들은 저자의 의견처럼 미디어가 우리에게 어떠한 방식으로든 역사를 규정짓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전제로 한 모습들이다.
이제 미디어가 역사를 규정짓는다는 사실을 부정할 순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간단하다. 과연 어떻게 효과적으로, 아니 올바르게 미디어를 통해 과거를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것. 미디어에 의한 역사화는 이용되기에 따라 득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는 양날의 칼인 것이다. 어두운 풍경으로의 이용에서 밝은 풍경으로의 전화이 필요하다.
과거를 생각한다는 것은 “끝난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으로 지속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타자와의 교류를 통하여, 미디어와 같은 "다른 화자"의 입장에 대한 성찰과 이해가 수반 되어야 한다. 미디어의 칼날에 베어 상처 받는 또 다른 위안부 할머니를 낳지 않도록 올바른 방향, 참된 방향으로의 우리의 인도가 있을 때 우리안의 과거는 한층 더 의미 있게 다가오지 않을까?
reference
- 테사 모리스 스즈키 ; 우리안의 과거 ; humanist ; 2006
- 끝나지 않은 과거 일본군 위안부
http://blog.naver.com/mycampuslife?Redirect=Log&logNo=130032283973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e역사관
http://www.hermuseum.go.kr/
- 원용진의 미디어 이야기
http://airzine.egloos.com

키워드

미디어,   역사,   역사화,   재구성,   기억,   분석,   구성,   대중매체
  • 가격2,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9.1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