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에서의의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사진에서 의미는 어떻게 찾아지는가?

2, 사진도 기호학의 대상인가?

3, 어떤 텍스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4. 분석방법

5, 기호학적 글 읽기란?

6. 텍스트의 의미작용 (기호-상징적 체계 그래마스의 동위소)

7. 기호학 너머의 세계

8. 다른 사진 분석

9. 사진 텍스트의 기호학적 분석 - 그 실천을 위하여‥‥‥

본문내용

접근방법 >
- 스투디움(studium)
문화와 세계에 대한 이해, 즉 재현되는 것에 관한 주제가 보여주는 흥미나 정보로 코드화 · 개념화되어 감상자가 감지할 수 있는 사진적 특성
( 일종의 폭, 넓이로서 그것은 지식과 교양에 따라 쉽사리 알아볼 수 있는 영역으로, 전형적인 정보로서 무수한 기호들로 이루어져 있는 문화적 개념으로 보는 이가 그 요소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 푼크툼(punctum)
사진의 세부로부터 화살처럼 날아와 텍스트의 장면에 구멍을 내고, 사진의 분위기를 흩트리고 우리의 가슴을 찌르는 사건
( 찌름, 작은 구멍의 뜻으로 사진의 의미 스스로가 마치 화살처럼 그 장면을 떠나 나를 꿰뚫기 위해 오는 것을 말한다. )
그러나 이것은 보는 사람마다 느낄 수 있고 못 느낄 수도 있는
주관적인 요소이다.
■ 드와노의 <시청에서의 입맞춤〉에서의 푼크툼 2가지
▶ 낭만적이고 서정적인 아름다운 사랑의 입맞춤이 있는 화면
곁에서 일어나는 매혹적인 장면에 눈길조차 돌리지 못하는 현대인의 메마르고 무기력한 삶
이들이 코드화된 세계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스투디움)
무기력으로 표현되는 죽음의 공간을 사랑과 열정으로 다시금 활기차게 만드는 입맞춤의 순간 바로 푼크툼의 세계가 열리는 곳이다.
비록 그 입맞춤이 연인들에게 너무나도 짧은 순간일지라도 혹은 주변의 인물들에게 쳐다볼 필요조차 느끼지 못하는 무의미한 시간일지라도, 세느강의 안개로 젖은 파리의 아침거리에서 나누었던 그 입맞춤의 향기는 수천 년 수만 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을 영원의 순간이 되리라.
▶ 신화적 삶의 죽음(비존재)
흐트러진 모습과 밤의 향락성으로 존재하는 남자의 현존은 단정한 옷차림과 낮의 활동성으로 등장하는 주변 인물들의 세계에서 아무런 가치가 없을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모든 사람들이 삶의 일터로 바쁘게 향하는 아침 시간에 나누는 두 남녀의 입맞춤은 뜨거운 열정이 아닌 무모함으로 인식될 수 있기도 하다.
바로 여기에 또 다른 푼크툼의 세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영원으로 승화될 줄 알았던 아름답고 서정적인 입맞춤에 숨겨진 의미, 감미롭고 생명력이 넘치는 입맞춤으로 무기력한 삶을 지탱하는 주변사람들에게 활기를 가져올 줄 알았던 가치의 또 다른 실체는 박제된 삶, 즉 현대세계에서 받아들여 질수 없는 신화적 삶의 죽음 바로 그것이다.
8. 다른 사진 분석
“Dose the world have its priorities right?" 이 말은 현재 우리가 무엇이 우선인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말
달에 갈 수 있을 정도의 과학이 발달했지만 여전히 굶어 죽는 아이들이 있다는 내용의 사진이다
1) 시각적 범주의 대조
① 등장 인물의 외모 ② 등장 인물의 복장 ③ 주변의 배경 인물의 조화
1. 등장 인물의 외모
우주복을 입은 남자 우주에 갈 수 있는 현대의 최첨단 과학기술차림.
대조적 소년. 뼈가 앙상한 어린이. 제대로 음식을 먹지 못해 마른 모습. 가난, 빈곤, 기아에 허덕이는 지구 어느편의 아이들의 모습.
즉, 부유함과 빈곤함으로 정리.
또한, 우주복을 입은 남자 온 몸을 최첨단 과학기기로 무장함
어린이는 거의 옷을 입지 않은 채, 무방비 상태 힘들어 함
즉, 무장과 무방비로 2개의 요소로 정리.
2. 등장 인물의 복장
우주복을 입은 남자가 뼈가 앙상한 어린이를 안고 있다.
미래를 위해 우주의 탐사를 위한 우주선 개발, 우주에 관한 연구를 하고
하지만 다른곳에서는 가난하고 먹을 것이 없어서 굶어 죽어가고, 이미 굶어 죽은 아이들도 많이 있다는 현실. 즉, 미래와 현재로 표현.
3. 주변의 배경과 인물의 조화
지면과 하늘을 나누어 생각해 볼 때.
땅의 모습은 거칠고 메마름.
우주복을 입은 남자가 달표면에 있는 듯한 모습. 사람들의 지지와 관심
몇 그루의 나무들은 아프리카에 있는 나무와 흡사
뼈밖에 남지 않은 어린이가 아프리카의 소외받는 어린이들을 표현.
즉 관심과 소외로 표현
● 시각적 대조적 특성
부유
빈곤
무장
무방비
미래
현재
관심
소외
2) 화면 초점 구도와 카메라 대상의 공간적 시점
1. 우주복을 입은 사람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에 이 사진의 초점이 중심이고 뒤의 지면과 나무 하늘 등 배경의 주변. 이는 중심성과 주변성
2. 우주복을 입은 남자는 화면의 중앙에 서 있고 머리와 팔 다리 모두 수직적인 모습. 소년이 누워있는 모습과 땅과 지평선의 모습, 그리고 나무와 하늘을 통해서 수평성. 이는 수직성과 수평성으로 정리
3. 우주복은 하늘을 위로 향하는 상승성을
어린아이는 굶어 죽어가는 모습의 땅을 향하는 하강성으로 정리
● 구조적 특성
중심성
주변성
수직성
수평성
상승성
하강성
2. 동위소를 통한 분석
1) 시각적 범주의 동위소
부유, 무장, 미래, 관심을 통해서 “강함”
빈곤, 무방비, 현재, 소외를 통해서 “약함”
2) 공간적 범주의 동위소
주변성, 수평성, 하강성을 통해서 “소멸성”
중심성, 수직성, 상승성을 통해서 “창조성”
9. 사진 텍스트의 기호학적 분석 - 그 실천을 위하여‥‥‥
스탁(Stock)의 「파리, 플로르 까페(Paris, Cafe de Flore)」
입맞춤이라는 동일한 소재지만 드와노와는 상이한 구조.
근경 : 여기 저기 휴지가 널려 있는 테라스의 텅 빈 공간
우측 끝 부분의 정리중인 몇 개의 탁자가 열려 있는 공간
(드와노에서는 원경의 건물과 한 귀퉁이의 하늘이 흐릿하게 제시되 었음을 기억하자)
중경 : 연인들과 종업원이 등장
탁자와 의자가 차곡차곡 쌓여 있음
(드와노에서는 입맞춤에 열중하는 연인들이 주위의 시선을 모른다는 점에서는 일치하지만, 관찰자가 존재한다는 차이점에 주목)
원경 : 불이 밝혀진 카페의 내부가 닫혀진 공간.
① 근경에 놓인 텅 빈 테라스의 공간과 널려있는 휴지들,
쌓여진 의자들의 의미,
② 화면의 양끝에 배치된 연인들과 종업원의 상관 관계,
③ 주도적으로 입맞춤을 이끄는 여성의 구실과 대비되는 남성의 자세
④ 상대적으로 원경의 밝은 카페내부와 비교되는 근경·중경의 어둠의 의 미,
⑤ 등장인물이 위치한 장소로서의 카페가 갖는 상징성등 이외에도 다양한 측면의 접근이 가능하다.
학기말 과제로 진행중에 있습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1.09.14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