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론] 읽기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ㄱ. 내용 정리
4. 읽기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1) 기능 및 전략의 지도 방법
2) 독해 지도 방법

5. 읽기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할까?
1) 평가의 방향
2) 평가의 방법

ㄴ. Reflection

ㄷ. 질문거리

본문내용

RP, ④DRA/DRTA가 설명되고 있는데, 이들 중에서 특히 ②와 ③의 설명이 빈약하여 지도 방법의 이해에 혼란을 겪게 되었다. ②와 ③을 보다 쉽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면 그 설명은 어떻게 이뤄질지 궁금하다.
② SQ3R
☞ SQ3R은 각 단계 Survey, Question, Read, Recite, Review의 이니셜만 모아서 지은 이름으로, 오하이오 주립 대학 심리학자인 Francis P. Robinson에 의해 1941년 개발된 학습 방법이다. 교재를 공부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이미 많은 학생들이 사용하여 효과가 검증된 교과서 공부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⑴ S = Survey
▶ 읽으려고 하는 내용을 조사한다.
▶ 먼저 제목을 읽어보고 각 장의 뒷부분에 있는 ‘그 장의 요약’부분을 찾아서 읽는다.
▶ 각 장의 큰 제목, 소제목들을 읽는다.
⑵ Q= Question
▶ 조사한 내용을 기초로 문제를 제기해 본다. 예를 들어, 제목이 “SQ3R"이라면, ‘SQ3R이란 무엇일까?’, ‘SQ3R은 공부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 것인가?’등의 질문들을 만들어 본다.
⑶ R = Read
▶ 첫 단락을 읽고, 그 단락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 그림이나 표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자신이 잘 모르는 개념이나 단어들을 찾아본다.
▶ 앞에서 제기한 문제들을 생각하면서, 이에 대한 답을 찾으면서 읽는다.
⑷ R = Recite
▶ 앞에서 제기했던 문제들을 다시 자문해 보고, 책에 있던 표현 그대로가 아니라 내용을 소화해서 자기 자신의 표현으로 답을 만들어 본다.
▶ 만약 질문에 답을 할 수 없으면, 답을 찾아 답안을 써본다.
▶ 책의 내용과 그 주제에 대해 자신이 이미 알고 있던 내용들을 연결지어 보는 것4h 중요하다.
⑸ R = Review
▶ 전체적으로 자신이 읽은 내용을 복습하는 단계이다.
▶ 스터디 그룹에서 이러한 복습이 행해지는 것도 좋다.
▶ 핵심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핵심내용과 책의 전체적인 관계들을 살펴본다.
▶ 책의 내용들이 친밀하게 느껴질 때까지 복습한다.
▶ 시험 전에 자신이 제기했던 질문과 대답을 참고로 하여, 반드시 다시 한 번 복습한다.
③ GRP
▶ 글의 구조 확인을 통한 내용 이해와 내용의 기억에 효과적인 학습 모형이다.
▶ 내용이나 사실을 기억해야 하는 내용교과적인 글을 가르칠 때 유용하다.
▶ 단계 - 읽는 목적 설정하기, 글을 읽고 내용 기억하기, 내용 확인하기, 기억한 내용을 구조화하기, 질의응답하기, 2-3주 후 평가하기
예시) 한국 문학의 개념과 특질(설명문)
▶ 읽는 목적 설정하기 - 국문학의 뜻을 안다. 국문학의 특징을 안다.
여러 가지 시가 형식을 안다. 여러 가지 산문혁식을 안다.
▶ 글을 읽고 내용 기억하기 - 글을 읽고, 읽은 내용을 기억해 내게 한다.
▶ 내용 확인하기 - 기억해 낸 내용을 분류정리한다.
▶ 질의 응답하기 - 잘 이해되지 않거나 더 알고 싶은 내용에 대해 질의 응답한다.
▶ 2-3주 후 평가하기 - 중요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9.1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2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