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화확] 숙취해소음료를 통한 혈중알콜농도의 감소 효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개요

Ⅱ. 본론
(a) 동기
(b) 조사과정
(c) 화학적 사실
(d) 숙취해소음료의 화학작용
(e) 음주측정기의 화학작용

III. 결론
(a) 조사결과(혈중알콜농도)
(b) 화학적 사실에 대한 요약
(c) 토의

본문내용

여야만 아세트알데히드가 빠르게 분해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c) 토의
동기부분에서도 밝혔듯이, 대학생 신분으로 활동하다보면 술자리가 잦아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다음날 수업을 결석 할 수도 없으니 할 수 없이 숙취해소음료를 선택하는게 이땅의 대부분의 대학생일 것이다. 이번 기회를 통해 평소 의문점이 있었던 숙취해소음료의 효과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 있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위와같은 주제의 자료를 구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것을 느꼈다. 각각의 숙취해소음료 제작업체에 전화문의 및 인터넷 문의를 수차례 넣어봤으나, 어떠한 곳에서도 정보를 주지 않아 부득이하게 모든 실험을 직접 하게 되었고, 시간상의 제약 때문에 충분한 횟수의 실험을 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차후 이와 같은 실험시에는 여건을 갖추고 하고 싶다.
Ⅳ. 참고자료
- 한국인과 술에관한 48가지 리포트(sbs보도국 기자들 / 서지원출판)
- 한잔의 유혹(스티븐 브라운 / 코기토 출판사)
- 위키백과(http://en.wikipedia.org/wiki/Breathalyzer)
(http://electronics.howstuffworks.com/gadgets/automotive/breathalyzer3.htm)
- Lieber CS. 1994. Alcohol and liver. Gastroenterology 106:1085-1090
- Shrriffs and Maughan, 1997
- Song I, Choi IS, Yoon HK, Koo SJ. 2005. The effect of Camellia sinensis LINNE on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normal healthy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91-598
- Yang DS, Hong SG, Choi SM, Kim BN, Sung HJ, Yoon Y. 2004. Effect of an oriental herbal composition, Jang BeakUnion (JBU), on alcohol-induced hangover and CCl4-induced liver injur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33: 78-82.
- Ko BS, Jang JS, Hong SM, Kim DW, Sung SR, Park HR,Lee JE, Jeon WK, Park S. 2006. Effect of new remediesmainly comprised of Hovenia dulcis Thumb on alcohol degredationand liver protection in Sprague Dawley male rats.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24-834
-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의 알코올 분해 효과(한승관)
- HCI 음주운전과 혈중알콜농도에 관한 연구(정성학)
- 음주 후 이온음료 섭취가 생리적대사, 반응시간 및 호흡알콜농도 회복에 미치는 영향(이황기)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9.17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2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